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法稱(Dharmakīrti)의 감각지각(indriyapratyakṣa)론은 과연 經量部적인가? __上座 슈리라타(Ṡrīlāta)의 감각지각 불신론과 이에 대한 世親의 절충론을 통해 본 경량부 前5識說의 전개 과정__

        박창환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In the chapter on perception (pratyakṣapariccheda k. 194-230) of his Pramāṇavārttika, Dharmakīrti deals with an issue of Abhidharma epistemological proposition: “Five kinds of consciousnesses have congregated [atoms] as their objects (sañcitālambanāḥ pañca vijñānakāyāḥ).” Tosaki Hiromasa attributes Dharmakīrti's view on this issue to Sautrāntika on the basis of its similarity to the one ascribed to Sautrāntika in Kue-chi's commentary (二十唯識論述記) on the Viṃśatikā of Vasubandhu. Despite Tosaki's claim, Dharmakīrti's understanding of the sense-object (ālambana) shows a marked difference from the Sautrāntika position described in Kue-chi's commentary. The Sautrāntikas put much emphasis on the congregated and thus hypothetical aspect of the sense-object, denying the causal role of atoms (paramāṇu) themselves in its formulation. By contrast, Dharmakīrti acknowledges the causal capacity of each and every atom in producing the image (ākāra) of an sense-object, while granting that such causal capacity can be exercised only on the condition that atoms remain in a congregated state.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this particular view of Dharmakīrti derives not from the Sautrāntika position as such but from Vasubandhu's opinion of the issue via Dignāga's elaboration of it. Further, it also shows the Sautrāntika understanding of the issue at hand as described in Kue-chi's commentary is, in effect, an extension of the Dārṣṭāntika master Śrīlāta's idea of it. Thereby, this paper draws a conclusion that Dharmakīrti's view on the sense-object is not so much as Sautrāntika, as depicted in Kue-chi's commentary, as Vasubandhu's modification of Śrīlāta's position on it. 본고는 기존 학계에서 소위 경량부설로 통념화 되어 온 법칭의 세속제에 대한 입장의 사상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첫 번째 비판적 검토이다. 토사키는 『양평석 현량장』 194∼196게송에 나타난 법칭의 감각지각론을 규기의 『二十唯識論述記』에 보이는 경량부설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경량부 소종의 입장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규기가 이해한 경량부설과 법칭의 입장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규기가 본 경량부설은 전5식의 인식대상은 실유인 극미 하나하나가 아니고 가유로서의 그 집적 또는 화합이란 사실을 강조한다. 그런데 이 입장은 경량부의 실질적인 창시자인 상좌 슈리라타의 감각지각 불신론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법칭의 입장은 극미 전체가 인식대상으로 작용하기는 하지만, 이 경우에도 집적된 극미 하나하나가 여전히 인식발생의 원인이 된다는 절충적 입장이므로 감각불신론으로까지는 나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토사키가 경량부 소속의 학설이라고 확신한 법칭의 감각지각론은 세친의 『유식이십론』이나 진나의 『관소연연론』에서 비판되고 있는 외경실재론(경량부설)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엄밀히 말해서 법칭의 입장이란 세친(Vasubandhu)이 설일체유부와 상좌 슈리라타 류의 경량부설을 절충해서 만든 입장을 진나(Dignāga)가 확대·발전시키고 이것을 법칭이 다시 철학적으로 재정립한 것이다.

      • KCI등재

        구사론주(kośakāra) 세친(Vasubandhu)의 현상주의적 언어철학

        박창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In Vasubandhu’s view, the ultimately reals are phenomenal property-particulars or the atomic constituents of phenomena or sensibilia. Bimal K. Matilal calls such a position of Vasubandhu ‘Buddhist phenomenalism’. Phenomenalism is the view that physical objects are reducible to or definable in terms of the occurrence and obtainability of such sensory experiences. What matters in this phenomenalistic position is the bare percept that we perceive; there is no need to posit any entity behind it. Everything is to be accountable within these phenomenalistic boundaries. This is a strong Buddhist antithesis to the realistic position of the Brahmanical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Upon such ontological premise, it follows that Vasubandhu’s view of language is naturally nominalistic in that any name given to such complex object constituted of the atomic components only names a concept and not an item in the real worl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plore how Vasubandhu’s phenominalist ontology exerts influences over his nominalistic view of language. To this end, I try to analyze Vasubandhu’s theory of two truths as well as his view of syllables (vyañjana), names (nāma), and sentences (pada). Thereafter it is concluded that Vasubandhu’s way of accounting how words convey meaning (artha) is based upon his thorough-going phenomenalistic stance on language-phenomena. 세친은 경량부의 현상주의적 존재론에 기초하여 언어와 이를 통한 의미의 전달은 모두 현상과 현상의 인과적 연쇄를 통해 발생하는 조건부 사건일 뿐이라고 본다. 현상의 인과적 고리를 벗어나는 추상적인 실체나 존재를 상정할 필요는 없다. 경량부 세친은 오직 <개별>(viśeṣa)적 현상만(dharmamātra)을 인정하며 <보편>(sāmānya, 즉 실체)을 전제하는 명칭(nāma)의 용법은 가설적으로만 받아들인다. 현상간의 특수한 인과 연쇄만(hetuphalamātra)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세친의 이러한 현상주의적 태도는 그의 언어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세친의 현상 중심의 언어관은 불설이나 <명․구․문>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쟁에 있어 실체론적 성향을 띠는 유부의 입장과 충돌하게 된다. 유부는 음소, 이름, 문장(명․구․문)은 의미를 전달하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단순한 소리(śabda)와 구분되어야 한다고 보고 심불상응행법에 배속시킨다. 즉, <명․구․문>은 물질 현상(rūpa)인 소리(śabda)가 우리의 의식 속에서 개념(saṃjñā=의미)이라는 심리현상(caitta)으로 질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메커니즘으로 이해된다. 반면 경량부는 <명․구․문>의 특별한 존재론적 위상을 인정하지 않으며 <명․구․문>도 본질적으로는 소리(śabda)라는 물리현상일 뿐이라고 본다. 경량부의 관점에서 <명․구․문>은 소리라는 현상이 서로 결합하고 전개되는 과정에서 보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소리라는 물리현상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명․구․문>의 차이도 결국 개별적 현상의 차별상(avasthāviśeṣa)을 설명하는 경량부의 상속전변차별(saṃtatipariṇāmaviśeṣa)의 메커니즘으로 해명이 가능해 진다. 세친의 언어철학은 이러한 개별/특수(viśeṣa差別)를 중시하는 경량부의 현상주의적 태도가 반영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