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현화(李鉉和)의 「키리에-위대한 위증」에 나타난 희생제의적(犧牲祭儀的) 폭력(暴力)의 의미(意味)와 한계(限界)

        박종수(朴鍾洙) ( Pak Jong-su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이 글은 이현화의 「키리에 - 위대한 위증」에 나타난 희생제의적 폭력이 이전의 작품들과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 그것이 지닌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키리에 - 위대한 위증」은 희생제의를 위하여 폭력에 순응하는 두 명의 희생양을 통해 희생제의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평가를 보여주고 있다. 과거의 희생제의는 폭력을 통해 더 큰 폭력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신성시된다. 반면 현재의 희생제의는 희생양이 헛된 폭력의 대상임을 밝힘으로써 희생제의까지도 반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성은 관객들이 가해자임을 깨닫게 함으로써 폭력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희생제의에 대한 상반된 평가는 1990년대라는 새로운 시대에 이르러 폭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희생제의가 아닌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폭력으로부터 해방된 현실에 대한 추구는 1990년대에 존재하고 있었던 폭력을 인식하는 것에 실패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acrificial violence in Lee Hyun-hwa’s 「Keyrier - Great Persecution」 was different from its previous works and wanted to analyze its meaning and limitation. This work shows two conflicting evaluations of the sacrifice to two scapegoats that conform to violence for the sacrifice ritual. The past sacrifice ritual is sacred based on the belief that greater violence can be solved through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sacrifice ritual reveals that the scapegoat is the object of vain violence, which makes the sacrifice ritual reflect on it. This reflection is creating an opportunity to free the audience from violence by making them realize that they are perpetrators. These assessmen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how that in order to resist violence in the new era of the 1990s, a new way, not a sacrifice ritual, is needed. But the pursuit of reality freed from violence can only be considered a limitation in that it fails to recognize the violence that existed on the 1990s.

      • KCI등재

        이현화의 <협종망치>에 나타난 애도와 그 의미

        박종수(Pak, Jongsu),박명진(Park, Myeong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논문은 이현화의 희곡 <협종망치>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나는 애도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이 작품이 지닌 개별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논문이 주목하고자 하는 애도는 <협종망치>에 주목한 소수의연구 안에서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점이 되고 있음에도, 그것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렇기에 이 작품에 나타나는 애도를 분석하는 것은기존의 논의가 주목하지 못하였던 작품의 개별성을 새롭게 살펴보는 작업이 될 것이다. 1986년 ‘부천서 성고문 사건’을 바탕으로 창작된 이 작품에서 애도의 대상은 국가에 의한 고문에 의해 가족, 그리고 생명까지도 상실하게 된 권선희로 나타나고 있다. 권선희는 자궁암으로얼마 남지 않은 삶을 희생해서라도 자신을 고문한 문근형을 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복수는 암울한 과거를 현재진행형이 아니게 하고, 신세기를 살아갈 사람들의 기억 속으로 이동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애도를 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애도를 실행하는 이, 문근형의 내연녀인강나리는 오히려 권선희가 요구하는 애도를 거부하고 그녀와 함께 평범한 삶을 살아가자고 설득한다. 이때 강나리가 수행하고자 하는 애도는 상실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상실한 대상과의 관계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고자 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강나리를 통해 드러나는 애도의 태도는 권선희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고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강나리는 애도의 대상인 권선희의 삶에대하여 무지한 것으로 그려지지만, 권선희에게 이루어진 고문을 역할놀이를 통해 체험함으로써상실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중요한 것은 이 과정에서 강나리가 문근형과의 관계를 타인에게 공개해서는 안 된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위험에 빠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협종망치>에서애도가 권선희뿐만 아니라 강나리의 삶 역시 상실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협종망치>는 과거를 어떻게 애도할 것인가에 대한 재성찰을 요구한다. 강나리가 보여주는 것과 같이 애도는 과거를 극복하거나 잊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살아가면서 현재의 삶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독자와 관객에게 타인의 상실에 대한가해자임을 잊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동시에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urning in Lee Hyun-hwa’s play <Hyubjong Mangchi> and to understand its meaning. So far, there has been almost no study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Especially, the mourning that this paper intends to pay attention to is an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the work in a few studies that focused on <Hyubjongmangchi>, but there is no analysis on how it is done. Therefore, analyzing the condolences that appear in this work will be a new look at the individuality of the works that previous discussions did not pay attention to. In this work, which was created based on the “Bucheon Police Station Sexual Torture Case” the object of mourning appears to be Kwon Sun-hee, who lost her life, family, and even her life by national violence and torture. Kwon Sun-hee is trying to kill Moon Geun-hyung, who tortured him at the expense of his life with uterine cancer. This revenge calls for condolences in that it is intended to move the grim past away from the present and into the memory of those who will live through the new year’s However, Kang Na-ri, Moon Geun-hyung’s lover, refuses the mourning demanded by Kwon Sun-hee and persuades her to live a normal life together. At this time, Kang Na-ri’s condolences are not about overcoming the loss, but about continuing her relationship with the lost object without giving up. The attitude of mourning revealed through Kang Na-ri in <Hyubjongmangchi>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life in that it changes itself through the relationship of Kwon Sun-hee. In this work, Kang Na-ri is portrayed as ignorant of the life of Kwon Sun-hee, the object of mourning, but he is reborn as a person who realizes what he lost by experiencing the torture made by Kwon Sun-hee through ‘role pla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fact that Kang Na-ri was unable to avoid the torture of Kwon Sun-hee was due to the fear that it should not be revealed to others.This process is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loss of Kwon Sun-hee, and also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at the life of Kang Na-ri can also be the object of loss. In this way, <Hyubjongmangchi> shows the concern about how to mourn the past which became the object of mourning. The mourning in <Hyubjong Mangch> aims not to overcome or forget the past but rather to change the present by living with it.In this regard, <Hyubjongmangchi> calls for readers and audiences to renew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ast by recalling the problem of national violence in the 1980s on stage, and through this, it makes the audience and readers realize the vulnerability of their lives.

      • KCI등재

        오학영 희곡 텍스트의 모순성 연구 ― 텍스트 내적 구조와 실존주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민선희(Min, Sunhee),박종수(Pak, Jongsu)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오학영 삼부작에 대한 기존 논의는 실존주의와의 상관성 속에서 텍스트 정체성을 구성해왔다. 이는 당시의 실존주의 사조의 유행과 이론적 논쟁 배경 속에 삼부작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삼부작은 장르적 범주 속에서 미완 혹은 과도기적 정체성으로 정의되고, 장르적 범주 밖에서는 형식적 차원에 국한된 텍스트 가치를 부여받고 있다. 전자와 후자는 모두 텍스트 삼부작을 형식과 내용으로 이분화한 작위적 인식론 속에서 불완전하게 텍스트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는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한계는 실존주의라는 서구 사조의 수용과 그 적용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인식론적 관점을 반영한다. 오학영은 텍스트 삼부작에서 다루고 있는 실존적 문제의식을 1950년대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유사한 텍스트 구조로 반복, 재현하고 있다. 이는 그의 삼부작이 1950년대라는 특정한 시대의 유행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텍스트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즉 삼부작에 대한 해석적 지층을 1950년대 이후로 확장할 때, 삼부작은 서구 사조의 영향 관계와 그 자체의 독자적인 텍스트 구조의 상관성 속에서 사유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때 삼부작의 구조는 형식과 내용으로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총체적인 텍스트 내적 구조를 확보한다. 왜냐하면 지속성은 동일성을 전제하고 동일성은 정체성이 전제되지 않으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기존 논의가 오학영의 삼부작을 원전적 실존주의와 ‘다르다’고 인식하는 지점은 여기서 텍스트 그 자체의 정체성의 조건으로 기능하게 된다. 오학영의 삼부작은 서구의 실존주의 텍스트와 다르며, 그 형식적 한계는 텍스트 자체의 내적 구조로 흡수되는 것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학영 텍스트의 미학적 지층이나 극적 완성도보다는 기존의 논의 속 실존주의 담론의 존재와 그 상관성 속에서 텍스트 삼부작의 내적 구조를 확보하고 해석하고자 한다. The existing discussion on Oh Hakyoung"s trilogy has formed text identity in its correlation with existentialism. This is because the trilogy is based on the trend and theoretical debate on existentialism at the time. However, it is defined as an incomplete or transitional identity in the genre category, and outside the genre category the text is only given the value of text on a formal level.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show limitation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the text incompletely in the contrived epistemology of dividing the trilogy into form and content. This limitation reflects the specific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that arise in the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Western existentialism trends. Oh Hak-young repeatedly reproduces the existential problem consciousness that is dealt with in the trilogy in similar text structure not only in the 1950s but also in the works created thereafter. This means that his trilogy is not limited to the trend of the 1950s but constitutes a lasting text identity. In other words, when the interpretation of the trilogy is extended to post 1950s, it becomes possible to think about the trilog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trend and the independent text structure of its own. 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trilogy secures one holistic textual inner structure that cannot be separated by form and content. Continuity presupposes identity; thus, identity is impossible if sameness is not premised. Paradoxically, the point where the existing discussion recognizes Oh Hak-young"s trilogy 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xistentialism functions as a condition of the identity of the text. Oh Hakyoung"s trilogy differs from the existential text of the West, and its formal limitations are absorbed in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xt itself. This thesis aims to secure and interpre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ilogy in its correlation with the existence of existentialism discourse in the existing discussion rather than the aesthetic level or dramatic perfection of Oh Hakyoung"s text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