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18∼2024 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미술과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경향 분석

        박점영(Jeomyoung Park)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2024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미술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2018학 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미술과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년간 출제된 미술과 임용시험 7,159 문항을 수집하여, 7개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로 평 가내용요소의 출제 비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7개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로 평가내용요소의 출제 비중에 있어서도 상당한 수준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즉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55개(50%)의 평가내용요소가 출제된 것에 비해 2018학년도 교사 선발시험부터 2024학년도까지는 71개(64.5%)의 평가내용요소가 임용고사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향상에도 불구하고 39개(35.5%)의 평가내용요소가 배제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art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rom 2018 to 2024, according to the art and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59 questions from the art and appointment examination over 7 years were collected and the ratio of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as analyzed for each of the 7 basic subjects and fiel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portion of evaluation content elements in each of the seven basic subjects and fields is also balanc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other words, from 2009 to 2013, 55(50%)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compared to 71(64.5%) evaluation content elements from the 2018 teacher selection test to the 2024 school year. Despite this improvement, 39(35.5%)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ere excluded, so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미술 교육에 있어 한국화 감상 방안 연구

        민병권,박점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This study looks into developing curriculum education method in art education middle school through utilizing observing and appreciating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which contains aesthetic value intrinsic to Korean consciousness. Since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art education has been centered on Western art legacy. This lack of balance has led to biased sense of aesthetics in the impressionable minds of middle school students. Hence, the author of this research explored curriculum education methods that can potentially restore a more balanced sense of aesthetic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o the adolescent students through introducing ways to observe and appreciate Korean traditional painting in the art education. By study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education’s way of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 the paper aimed at formulating a foundation on which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the adolescent subject of education. Bearing the aforementioned as the base of the study, the paper offers three perspectives in the method of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 so as to systematically articulate the focal point: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visual-perceptual emotional development’, and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 as a way of cultivating personality character’. Through such method, the study looks at the issues and problems arising from middle school art education which is overly centered on Western art contents, and seeks curriculum education method employi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which is embedded with traditional aesthetic legacy. 본 연구는 한국인으로서 심미의식을 가장 잘 함유하고 있는 한국화 작품에 대한 감상을 통한 중등 미술교육에 있어 교과 교육의 방안을 다룬 것이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실기 및 방법론에 있어 서구미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으로 인하여 미적 체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청소년기에 한쪽으로 편중된 미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여 왔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화의 감상 방법에 있어 새로운 교육의 방안을 통한 청소년들의 동서양의 균형 잡힌 미감을 갖게 해줄 교과교육 방법을 찾고자하였다. 연구 목적의 실행을 위하여 현행 중등미술교육의 한국화에 대한 감상법의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화를 통한 교과교육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자는 한국화 감상의 방법 개발을 ‘역사적 맥락의 이해’, ‘시지각적 감성개발’, ‘인성도야로서 감상’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함 으로써 체계적으로 논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본 연구는 중등 미술 교육에 있어 서구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제점을 살펴보고 전통적 미감을 갖고 있는 한국화의 감상을 통하여 교과교육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

        최근 중등 미술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민병권(Min, Byoung–,Gwon),박점영(PARK, Jeom-young),최병옥(CHOI, Byung-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이 제시한 미술과목 평가에 있어 영역과 내용의 요소를 세분화하고,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중등미술 임용고사에 출제된 문항을 조사함으로써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 는 지난 5년 동안 출제된 미술과 임용시험 200문항을 상세히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7개 과목 간의 평가에 있어 영역과 내용의 요소별로 그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결과 중등미술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비중에 있어서 각 평가항목 사이에 차이가 크게나타남과 동시에 과목별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 간에도 출제 비중에 있어서도 큰편차를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등학교 미술 임용시험은 다양한 미적 경험을 통하여 미의식을 함양시켜야할 교사로서의 기본 자질을 검증하는 중요한 관문으로 편향된 출제 경향은 이와 같은 시험의 목적을 퇴색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출제 경향의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의 미술과 임용시험 출제에 대한 올바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by examining contents and elements in detail in each area of the middle school ar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between 2009 and 2013.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00 questions from the appointment examination pertaining to the subject of art for the aforementioned 5 years of period had been collected with diligence, and analysis on the proportion was conducted by its content, disciplinary domain, and element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seven subjec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examination questions from each evaluation area was far from an even spread out, and neither were evaluated contents and element consistent across different areas. Middle school ar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hould be able to screen qualified educators fit to cultivate students’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various art experiences. Having an unbalanced and biased questions to selected the educator defeats such purpose of the appointment examination.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ducing right implication of art educator appointment examination questions based on thorough analysis of the tendencies of the test subject areas, contents, and elements and their propor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