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악성종양의 언더라이팅

        박잎새,성수,Park, Ip-Sae,Park, Sung-Soo 한국생명보험의학회 2006 保險醫學會誌 Vol.25 No.-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는 악성 종양 발병률의 증가, 생존률의 향상, 조기발견의 증가 등이 암 기왕자의 보험 수요 상승을 가져오고 있으며, 보험시장에서 더 이상 암 기왕자를 도외시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암 기왕자를 인수할 수 있는 상품과 언더라이팅 인수 기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 하에서 기존에 거절체로 인식되었던 암 기왕자의 적극적인 인수를 위해 악성종양에 대한 보험 의학적인 고찰과 사망률, 위험도에 대해 분석하고, 국내에서 암 기왕자의 보험 인수 시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종양은 종양세포의 성장과 확산의 정도를 나타내는 병기와 조직학적 등급에 의해 그 예후와 경과가 예측 가능하며, 이 병기를 표준화하려는 국제적 시도로 1977년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AJCC)는 TNM system 을 제시하였다. 병기를 기초로 치료의 결정도 함께 이루어지는데, 주요 치료법을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면역요법이 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후기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이차성 암(Secondary malignant neoplasm)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병기에 따른 암환자의 사망률을 살펴 보면, 암은 일정시기 동안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에 점차 사망률이 감소하고, 그 이후에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사망률 변화의 특성은 암 기왕자에게 평준식 정액 할증법(Per mille flat extra)의 적용이 적절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악성 종양 기왕자를 위한 상품이 전무한 상태이며, 암의 병리적 병기와 치료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도구도 부족하고, 명확한 인수 기법이 없다. 또한, 자체의 경험통계의 부족으로 위험에 대한 부담감이 큰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병기에 따른 사망률의 변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평준식 정액 할증법의 도입이나, 악성종양의 병기(Stage)별 정액 할증률을 삭감법으로 전환하는 기준을 개발한다면, 종신보험은 충분히 인수가 가능하다. 또한, CI 보험도 암에 대한 부담보를 하는 선진사의 인수 기법을 도입하거나, 암 기왕자만을 위한 CI 상품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인수 기법을 모색한다면, 암기왕자 인수의 폭은 넓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과 함께, 언더라이팅의 정보 획득을 위한 암 기왕자만의 고지서를 개발하고, 전문 언더라이터의 양성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암기왕자를 적극적으로 인수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국내 보험사가 위와 같은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고, 비교적 예후와 경과가 양호한 0기와 1기 암 기왕자부터 단계적으로 종신보험의 인수를 시도한다면, 비교적 안전하게 경험치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 보험업계는 새로운 시장의 확보와 보험에 대한 대외 이미지 개선이라는 효과도 함께 얻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

        박잎새,남은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4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parenting, father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oddler emotion regulation for parents with 3, 4, or 5-year-old childre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ddler emotion regulation was influenced by coparenting—higher levels of supportive coparenting were associated with a child’s enhanced emotional control ability—conversely, higher levels of undermining coparenting yielded diminished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greater lability/negativity. Second, father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had a parti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oddler emotion regulation. Specifically, greater father caregiving/monitoring was associated with a child’s enhanced emotional control. Lastly, an analysis of coparenting consistency types and toddler emotion regulation revealed that substantial differences in toddler emotion regulation were observ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types of coparenting consistency. Subsequent verific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a child's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higher when coparenting was consistently supportive (or inconsistently supportive, so long as the father was being supportive) than for a consistently undermining coparenting style. Consistent support is also beneficial in comparison to inconsistent support if only the mother is being supportive. Moreover, lability/negativity was greater in the consistent undermining group than in the consistent supportive/inconsistent group when only the father is supportive.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부부공동양육과 아버지 양육참여가 각각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과 부부공동양육의 일치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아버지가 양육에 있어서 배우자에게 지지받고 있다고 느끼며 양육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고 느낄수록 유아가 정서를 잘 조절하며, 반대로 아버지가 배우자의 양육에 대해 불만족하며 비난할수록 유아가 정서를 잘 조절하지 못하며 불안정하고 부정적인 정서 수준이 높아졌다. 또한 어머니가 양육에 있어서 배우자에게 지지받고 있다고 느끼며 양육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고 느낄수록 유아가 정서를 잘 조절하며, 반대로 어머니가 배우자의 양육에 대해 불만족하며 비난할수록 유아의 불안정하고 부정적인 정서 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자녀의 일상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자녀의 일상생활과 생활지도에 참여하고, 사소한 주제라도 자주 대화를 나누는 아버지의 자녀가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지지적인 부부공동양육을 보이거나 아버지만 지지적인 부부공동양육을 보이는 경우가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비난적인 부부공동양육을 보이거나 어머니만 지지적 부부공동양육을 보이는 경우보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