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의 농구 경기수행능력 평가

        박일혁(IlHyeokPark),이기봉(GeeBongLee),이영석(YoungSukLee)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남학생들의 농구 경기수행능력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국가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과 기존에 고안된 농구 기능평가 방법을 고찰하였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는 농구 기능평가 실태와 체육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평가 도구 개발에 참고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농구 경기수행능력 측정 항목을 선정하고 실제 학생들이 경기하는 장면을 촬영하여 각 항목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3개 학교의 9학급 153명으로, 각 학급별로 학생들을 3개 팀(팀당 5-7명)으로 나누고 각 팀당 2경기, 경기당 전후반 각 10분씩, 20분의 경기를 하였다. 학생들의 경기수행능력 항목별 기록을 전문가의 평가 점수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전문가들의 평가자내 신뢰도와 두 경기의 동일 항목 평가점수 간 상관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교육적 중요성, 전문가의 중요도 평가, 측정의 용의성 등을 고려할 때, 캐치, 슛성공, 어시스트, 스틸의 조합이 남자 중학생의 경기수행력을 평가하는 데에 적절하였으며 단순 기능 측정 방법에 비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몇몇 항목들은 0의 기록이 너무 많고 신뢰도가 낮아 이를 중학교 남학생에게 적용하는 데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of basketball game performance ability for middle school male students. The items that may represent basketball game performance ability were sele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interview. Some of the selected items can be measured during the game and some can be measured through the analysis of video-taped games. Pilot test was conducted to revise the items and the assessment procedure. One hundred fifty three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at least 2 games with the minimum duration of 20 minutes for each student. All games were video taped and the scores for each item were recorded for validity examination. In addition, traditional performance tests were administered and compared with the selected assessment items in terms of validity. Three experts subjectively evaluated the students' game performance ability for criterion measure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calculate criterion-related validity coefficients, and split-half reliability and Cronbach's alpha were used to obtain reliability coefficients. The combined items of catch, goals assist and steal showed a validity coefficient of .78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any traditional performance test. However, some items such as assist and steal were found to be not appropriate for representing game performance ability because these items had too many '0' records and/or low reliability. The extent of application for this new assessment tool was discussed.

      • KCI우수등재

        측정평가 : 종단적 운동수행력의 변화 분석: 잠재성장모형의 이용

        이기봉(GiBongLee),박일혁(IlHyeokPark)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장모형(LGM; Latent Growth Model)의 기본적인 논리를 설명하고 실제 자료를 분석한 예를 제시함으로써 LGM이 운동학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틀 내에서 만들어진 LGM은 반복 측정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다. LGM은 평균차에 기초한 전통적인 분석 방법들의 몇 가지 제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구자가 어떤 변인의 변화 경향에 관심을 갖을 때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LGM에서는 반복 측정된 변인들의 초기 상태와 변화(성장)를 둘 이상의 잠재 요인으로 설명한다. LGM을 이용하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다변량정규분포하고 측정 변인에서 개인의 변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체계적인 관련성을 가져야 하며 결측치가 없고 반복측정치들은 동일한 시점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LGM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평균 변화뿐만 아니라, 변화에 있어서 개인간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LGM은 초기값과 변화 요인들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변화에 대한 외부 변인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이외에도 LGM은 곡선적인 모형, 다변량적인 구조를 가진 모형 등 다양한 모형으로 확장될 수 있고, 집단간 모형의 비교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LGM은 운동 과학이나 체육 교육의 연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통계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고, LISREL, EQS, AM0S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조방정식모형의 프로그램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앞으로 운동학 연구에서 그 활용이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troducing Latent Growth Model (LGM) in the area of exercise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LGM is a relatively new statistical model for th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s data. This statistical model is a general form of traditional analysis methods that are based on the mean differences, and it overcomes sever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methods. Although LGM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repeated measures data, it is most useful when a researcher is interested in the pattern of the change of a variable. In a typical LGM the initial status and the change (growth) are represented by two or more latent factors. The most notable merit of LGM is that it takes into account the individual level of change in a model, allowing one to investigate the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change as well as the average change over time. This characteristic also allows 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status and change factors,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two or mor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a predictor(s) on change. One can easily extend the basic model to various curvilinear, multivariate or multi-group comparison models LGM can be a very useful statistical model for the research in exercise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field. Following basic concepts, a brief overview of analysis procedure and an example of analysis with a real data set are given.

      • KCI등재

        운동선수 구타 실태 및 개선방안

        권순용(SunYongKwon),나영일(YoungIlNa),박일혁(IlHyeokPark),권성호(SungHoKwon),조욱연(WoogYeonJo),김종호(JongHoKim),주종미(JongMiJoo)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이 연구는 운동부에서 일어나는 구타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타 근절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조사는 2010년 현재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전국 초·중·고 및 대학·일반 운동선수와 지도자 및 학부모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등록선수 수와 비율, 성별 및 종목(개인/단체)을 고려하여 총 2,041명(운동선수 1,734명, 지도자 202명, 학부모 105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최종으로 수집된 설문지 자료의 항목별 단순 빈도 표와 백분율을 계산하기 위해 SPSS(Versio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과거 구타와 최근 구타 경험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운동선수 구타 실태를 파악해 보았고, 둘째, 운동선수, 지도자, 학부모 등 운동부 관계자들의 인식 및 태도를 바탕으로 구타가 반복되는 원인을 분석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각 주체들이 인식하고 있는 구타 근절 대책을 제시하였다. 운동선수 구타는 선수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가정, 지역사회, 정부 등 여러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구타 예방을 위해서는 그 동안 지향되어온 단편적인 시각에서 탈피하여 운동부 주체들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동원한 대책수립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thletes' experiences on physical violence and suggest alternatives to eradicate physical violence in sports. To achieve this purpose, all athletes except professionals, coaches, athlete's parents were targeted and finally a total of 2,041 respondents(1, 734 athletes, 202 coaches, 105 parents) were selected to conduct this study. The gathered data were examined by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Version 17.0). The main topic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actual condition of physical violence among athlet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past and recent experiences. Secondly, this study reviewed the causes of athletes' experiences on physical violence through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athletes, coaches and parents. Finally, it proposed some suggestions to solve the physical violence in sports. Physical violence in sports is a complicated issue that combines various element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homes,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solutions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 must be multifaceted, including all stak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