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수교 이후 중국 조선족문학 연구 성과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박윤우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9 No.-

        일제의 동아시아 침탈과 군국주의 전쟁의 도발로 이어지는 근대사의 변동과 맞물려 전개된 현대문학사의 흐름에서 특히 조선족문학의 실체성은 이주문학으로서의 디아스포라적인 존재성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소수민족으로서의 삶의 현실성을 부여받는 이중정체성의 내면화를 담지한다는 점에서 창작 주체의 물리적(역사적․지리적) 실존성이 현실인식의 주도적 계기로 작용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중 수교이후 지금까지 축적된 조선족문학에 대한 연구는 첫째, 한국현대문학사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킨 점, 둘째, 탈식민주의론의 시각을 방법론으로 정립하여 기존의 역사주의적 문학사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 점, 셋째, 디아스포라문학론을 통해 ‘민족’문학의 내포에 대한 재인식을 촉구한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위주의 검토와 대상의 고유성 인식의 방법론적 결여, 소설 연구와 작가론에 집중된 연구 범위의 한정성, 한중 문화교류의 활성화라는 현실상황에 따른 한중간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교육의 관점에서의 연구 편향성과 같은 측면에서 문제의 소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향후 조선족문학 연구의 방향은 보다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시각에서 문학사적 현상에 대한 양식론적 접근과 미학적 실체화를 지향해야 하며, 동시에 역사적 공간성에 대한 인문학적 주소화와 통합문학사의 구축을 목표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중국내 조선족문학의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의 공간적 월경과 변혁의 문제가 한국현대문학사의 민족문학적 특징을 어떻게 형성시키고 범주화시키는가를 통찰할 수 있는 중요한 정신적 기반이자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In the flow of modern literatur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 of modern history leading to the invasion of East Asia and the provocation of militarism war by Japanese imperialism, the realit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s not only diaspora existence as migrant literature, but also internalization of dual identity which is given the reality of life as a minority in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is worth noting that one thing is done. The study on Korean-Chinese literature accumul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secondly, i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as a methodology and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historical literature history, and thirdly, it urged the re-perception of the inclusion of 'ethnic' literature through diaspora literature theory. Nevertheless, there are some problems in terms of the lack of methodology of text-oriented review and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s uniqueness, the limited scope of research focused on novel research and writer's theory, and the research bia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al situation of activat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Korean-Chinese literature should be more general and complex, and the stylistic approach to the phenomenon of literary history and aesthetic materialization should be aimed at at the same time, the humanistic address of historical spati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literary history should be aimed. In this sense, the stud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China can ultimately serve as an important spiritual basis and opportunity to insight into how the spatial menstruation and transformation of East Asia form and categorize the ethnic literary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 조선족 시에 나타난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방법의 인식

        박윤우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조선족 시단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방법에 입각한 작품 창작이 일반화되는 과정은 사회주의 국가 체제 속에 편입된 소수민족의 일원으로서 시인들이 자신의 새롭게 부여받은 정체성을 탐색하고 확보해나가는 방법론적 모색의 과정과 동일한 궤 적을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문학과 예술, 그리고 출판 언론, 언어연구 등 분야들은 동화와 비동화의 모대김 속에서 민족의 얼을 지키고 민족의 정체성, 독자성을 수호해왔다.”는 술회적 자평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방법론을 둘러싼 조선족 시인들의 형식 탐구가 지닌 현실적 의의를 대변해주기에 충분하다. 이 시기 시를 창작방법의 측면에서 살피는 것은 리얼리즘의 성취라는 미학적 국면과 동시 에 시적 담론에 내재한 시인들의 현실인식과 그 대응전략을 검토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갖 는다. 이것은 특히 이 시기 시가 이전과는 다른 뚜렷한 차이를 형성하면서 중국 조선족 시로 서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탈식민의 과정을 겪은 바, 이들 시의 문체나 구조, 현실인식 전반에 나타나는 변화가 시인 개인의 변화보다는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전환에 의해 총체적으로 이 루어진 측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민족문학으로서의 누적적 변모양상이라는 측면과는 다른 관점을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 시도된 대표적인 시양식인 ‘송가’와 ‘서정서사시’ 작 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이들 작품이 지닌 사실주의 창작방법상의 의미를 규명하는 동시 에, 그러한 방법적 시도에 담긴 조선족 시인들의 현실인식이 가지는 시대적 의의를 탐색하도 록 한다. 무엇보다, 이 시기에 송가와 서정서사시가 중심적인 시양식으로 채택된 것은 사회주의 문 예이론에 입각한 창작지침을 따른 결과 나타난 것으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당위성과 행복 한 인민 생활의 터전에 대한 낙관적 희망을 노래한다는 목적의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 이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족 시인들은 ‘조국’을 ‘중국’과 동일시함으로써 정치적 동화의 태도를 보임으로써 정체성 확보를 위한 지향을 보인다. 아울러, 송가의 형식에 의해 창작된 작품들은 화자의 과도한 노출로 중국에 대한 찬양과 당의 정책에 대한 계몽적 승인이라는 관념을 직접 드러낸 반면, 서정서사시 양식으로 쓰인 작 품들은 민족의 역사적 삶을 시적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서술자로서의 화자가 지닌 객관적 조 망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다만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을 창조하는 데 있어 그 영웅적 면모만을 부각한 결과 서사의 진술에 치우친 면을 보인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66년 문화대혁명 이전까지의 전체적 흐름을 통해 볼 때 이 시기에 다양한 시양식의 탐구가 이루어진 것은 한편으로는 ‘부인’의 과정을 통해 체제로 의 편입과 정체성 확보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적 모색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지만, 다 른 측면에 보면 소수민족으로서 민족문학의 전통에 대한 자의식을 변화된 사회 환경에 적응 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서정서사시 양식의 경우 역사 적 과거에 대한 기억을 통해 식민체험이 부과한 굴레로부터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삶을 영위 하고자 하는 현실인식의 지평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의 조선족 시가 모색한 사실주의적 창작방법은 양식 적 탐구를 통한 가능성을 얻는 데는 일정한 성과를 보였으나,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화의 측면 이나 현실적 전형성의 획득에는 한계를 보인다. 그것은 대체된 ‘조국’에 대한 동일시와 동화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난 양가적 정체성의 혼란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측면은 이 시기의 시가 추구한 사실주의적 창작방법이 결과적으로 시문학의 진실성과 시인의 개성을 위축시킨 점이다. 정치적 범주와 민족적 범주의 혼재가 빚어낸 이러한 과도적 양상은 변화된 현실 자체에 대한 내면적 탐구를 통해 민족 정체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을 동반 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문화대혁명기의 기나긴 어둠과 침체를 거쳐 개혁개방의 시대를 맞이함으로써 비로소 조선족 시의 민족문학으로서의 가치 탐색이 재개된 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조선족 시가 서정시를 통한 리얼리즘의 구축을 위한 확대된 인식을 결여한 채 전개된 점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in the strategy of socialist realism within the Chosunjok poets' creative method after constructing Chinese People's Republic showed a similar track with their identity tracing and securing process as a minor nations enrolled a socialist nation system. Therfore searching for the poems of Chosunjok in this era has a meaning of investigaion not only for aesthetic aspects of accomplishing realism but also for poets' recognition and correspondant strategy of changed social reality. In this regards, this study made to reveal the meaning of socialist realistic creative method surveing the poetic genre of ‘hymns’ and ‘lyrical ep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osunjok poets' choice of hymns and lyrical epics in this era was the result of following the creation guide based on socialist literary theory. And therefore it couldn't be free from the objective consciousness of singing the task of constructing socialist nation and the optimistic hope of happy life of people. In this process, they identified ‘mother-nation’ with ‘China’ showing the attitude of political assimilation. Second, the poems created as a form of hymn revealed the thought of praising Chinese People's Republic and accepting the policy of communist party extremely exposing speaker. Rather the poems created as a form of lyrical epic fulfilled the narrative speaker's role of objective viewing with the theme of people's historical life. But in creating the shape of lyrical subject, they showed plain statement of narrative just emphasizing his heroic feature. Third, seeing through from 1949 to 1966, various quests for poetic genres with Chosunjok poets had a meaning of system enrollment in the process of ‘negation’ and methodological search for accomplishing the desire of securing identity in one side, but also those were the result of accomodating their self-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as a minor nations to changed social environment. In these meanings, Chosunjok poets' research on creative method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nstructive era of Chinese People's Republic showed a certain positive result with generic quests. But it could not obtain realistic typicality and also weakened poet's individuality and sincerity. It had a reason for confusion of dual identification derived in identifing with the alternated ‘mother-nation’ and assimilat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