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 그래픽 요소의 활용과 제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와의 상호 연관성 연구 -주방 용품 사례를 중심으로-

        박유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4

        A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design and design roles must be offered in order to cope with diverse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because product design has recently served an additional role of emotional value consumption matching individual consumer experie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a differentiated product design approach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roduct brand identity and product graphic elements. Toward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by using a 1st and 2nd survey, assorted and analyzed responses toward how graphic elements of kitchenware brands which effectively established identities for respective product groups are formed and recognized. The analysis results again highlighted how a consistent product brand identity must be built through integrated design planning rather than emphasizing a particular graphic element when product design is planned or new products are developed and that this can be a method of increasing emotional value and brand awareness for diverse consumers.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present study is in re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rporate activities aimed at establishing a consistent and sustained brand identity through the fact that sustained market involvement and brand identity formation operate prominently as eve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eek diversified approaches through a strategy of customer segmentation with regard to creative product group development. 최근에는 제품디자인이 생활 속에서 자신을 표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기능성과 실용성을 뛰어 넘어 소비자의 개별적인 경험에 맞는 감성적 가치 소비로 그 역할을 더 하게 되었으므로 시대 변화에 맞게 다양한 소비자에게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 디자인 개발 방향과 디자인 역할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제품 그래픽 요소와의 상호 연관성을 통한 차별화 된 제품 디자인 접근 방법을 모색해 봄으로써 이를 통해 최근 다양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제품 디자인 기획과 제품 개발 시 활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주방 용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제품군별로 아이덴티티 정립이 잘 되어 있는 브랜드들은 그래픽 요소들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등의 반응을 1차 설문과 2차 설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통해 제품 디자인 기획이나 새로운 제품을 개발 할 때는 어떤 특정 그래픽 요소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디자인 통합 기획을 통한 일관된 제품 아이덴티티를 형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는 것과 이는 곧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감성적 가치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모색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 기회가 되었다. 또한 기업의 지속적인 시장 관여와 오랜 아이덴티티 형성 부분이 여전히 우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통해 앞으로도 일관되고 지속적인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기업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재 확인해 본 것에 논문의 의의와 가치를 둘 수 있다. 추후 창의적인 제품군 개발에 있어서 고객 세분화 전략을 통한 다각도적인 접근 방법의 모색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제품 브랜드 인식과 제품 그래픽 요소, 제품 아이덴티티에 대한 소비자 성향 분석에 있어 보다 관여도가 높은 척도를 마련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3D개념에서의 시퀀스 특성을 통한 아이덴티티 확장에 관한 연구

        박유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In an environment where new and various identity design expression methods are emerging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identity design expression methods and possibilities for the extension of communication, not based on the screen media but on the conventional printing media. Therefore, this thesis conducts research on 3D-typed logo designs, investigates related cases and makes an analysis on various types created by the visual perceptual effect through sequence characteristics. That is, 3D-typed logo designs remind us of various invisible types even in a consistent identity design due to the visual perceptual effect caused by a three dimensional shape, not by a two dimensional, plane shape. Focused on this idea, the thesis defines the concept of sequence as various visual perceptual slices, which are not seen in a 3D-typed logo design, in other words, a single scene. For this, the thesis approaches and suggests sequence and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in the forms of two concepts such as variable continuity and image association. By doing this, the thesis finds that people recognize from a 3D-typed logo design, with maintaining the same identity, not only a single scene but also variable continuity and image association of various invisible scenes, which is suggested as an expression method for identity extension, and thus differentiates this thesis. The author expects this thes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k not only a new communication aspect of the digital media era but also various expression methods of identity design in connection with conventional designs. In addition, by making an experiment on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and the extension of brand identity recognition in a conventional printing media basis, this thesis will further suggest a new momentum to provide another role and direction in the two dimensional identity design expression method. 본 논문은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로운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표현 방법들이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스크린 매체 기반이 아닌 전통적 인쇄 매체 기반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확장성을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표현 방법과 그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D 형태의 로고 디자인을 그 연구 대상으로 삼고, 사례들을 조사하여 시지각적 효과에 의해 생겨난 다양한 형태들을 시퀀스 특성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즉 3D 형태의 로고 디자인은 평면적인 2차원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3차원의 입체적 형태에서 보여 줄 수 있는 시지각적 효과로 인해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안에서도 보이지 않는 다양한 형태들을 우리에게 연상하게 해 준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퀀스의 개념을 3D 형태의 로고 디자인에서 보이지 않는 다양한 시지각적 효과의 형태 단면들 즉 하나의 씬(scence), 하나의 개별 장면으로 정의 내리고, 시퀀스와 시지각적인 특성을 가변적 연속성, 이미지 연상성 두 가지 특성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3D 형태의 로고 디자인에서는 하나의 씬(scence)만을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도 보이지 않는 다양한 씬(scence)들의 가변적 연속성과 형태의 이미지 연상성을 인지 할 수 있음을 확인 했고, 이를 아이덴티티 확장을 위한 표현 방법으로 제시해 보는데 본 논문의 차별적 의의를 둘 수 있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서 우리가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양상만을 추구하기 보다는 전통적인 디자인과의 전후 관계의 연결 선상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함께 모색해 보는 기회가 마련되길 바란다. 또한 전통적인 인쇄 매체 기반에서 효과적인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인지도 확장을 실험해 봄으로써 앞으로 2차원적 공간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표현 방법이나 표현 영역에 있어 또 다른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과 개념 미술에서의 텍스트 활용 방식에 관한 비교 연구

        박유선,유우종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3

        This dissertation aims at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xpansion of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the various works of typography as interesting contents in both areas of conceptual art and typography design which mainly utilize text,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various genres of arts coexist with their own personality as opposed to the past. Even though the areas of conceptual art and typography design commonly deal with text from the standpoint of visual style, the text utilization method of conceptual art shows difference from that of typography design in that the conceptual art basically puts emphasis on the meaning given to forms rather than forms and materials themselves. Therefore, this thesis, from understanding this, stud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ual art and typography design through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cases of designers or artists,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recent attempts utilizing text in new ways. Through this, I could ascertain the changes of the images and text utilization methods dealt with in both areas of contemporary conceptual art and typography design, th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modes. and the aspects of typography seeking new perspectives. It will serve as a momentum of presenting alternative directions in the method of expression of typography design and in the realm of expression, and it is to be hoped that this will be a basic study for experimenting with typography designs in various angles. 본 논문은 과거와는 다르게 여러 장르의 미술들이 개성을 가지고 혼재하는 지금, 텍스트를 주로 활용하는 개념 미술과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두 영역에서 다양한 타이포그래피 작품들이 흥미로운 콘텐츠로서 미술과 디자인에 그 표현 가능성을 확대해 가고 있음을 비교 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개념 미술과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영역은 시각적인 스타일면에서 텍스트를 공통적으로 다루고는 있으나 개념 미술은 형태와 재료 보다는 근본적으로 그 형태에 부여된 의미에 더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에서의 텍스트 활용 방식과는 다르게 모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점에 착안 하여 개념 미술과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간의 관계를 시대적인 변화와 디자이너 혹은 작가와 작품의 사례들을 통해 고찰하고, 최근 새로운 방식으로 텍스트를 활용한 다양한 작업들의 시도들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서 현대의 개념 미술과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두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이미지와 텍스트 활용 방식의 변화, 다른 양상의 차이 그리고 새로운 관점들을 모색해 가는 타이포그래피의 면모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표현 방법이나 표현 영역에 있어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각도에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실험을 해 보는데 있어 기초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선인장산업 확대를 위한 디자인콘텐츠 개발 연구

        박유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2

        The items in the horticulture industry cactus flowers on a successful breeding industry to expand production and exports made variously, but the actual design and the distribution and promo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insufficient content, respectively. In other words, foreign demand for exports and domestic production of self-study research on varieties of cactus as a natural science and horticulture majors major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in the study.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se varieties of cactus proportion of industrial expor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sign and marketing associated with the lack of content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research is the corporate role in influencing the gender-L does not have to. In this sense, the industry associated with cactus design on a layer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consumers and producers of content, communication design, design development as was urgent. Intensifying competition in the market and consumer needs, depending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more important factors to recognize all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that can be competitive and will serve as. In addition, the design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society is a social,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process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target product in the form,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consumers of products, includ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es, including the elements of a comprehensive communications concept with the concept of the designer's creative role when he can be maximized. To this end, the general concept of this study, and the type of design, the resulting universal design, communication design, literature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dissertation work of the practical approach was first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actus illustration work second fact, using this Third, character development, design, content and private sector case studies and practical exhibition presents examples of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to promote the cactus industry, and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export. 원예산업 중 화훼의 한 품목으로 선인장산업 확대를 위한 품종개발은 성공적인 생산과 수출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유통 및 홍보에 따른 디자인과 관련된 콘텐츠 개발 및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외 수출 및 국내 수급을 위한 생산에 대한 연구는 선인장 품종자체에 대한 연구로써 자연전공학문과 원예전공학문에서 활발히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품종개발에 따른 선인장 산업의 비중을 수출과 판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디자인과 연관된 콘텐츠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미흡하여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선인장 산업과 연관된 계층을 위한 디자인에 관한 기초적인 이해와 함께 소비자와 생산자의 커뮤니케이션디자인으로써 디자인콘텐츠의 개발이 시급하게 되었다. 이는 시장경쟁의 심화와 소비욕구의 다변화에 따라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모든 자원의 정보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가장 중요한 이 사회의 디자인의 목적은 사회적, 조직적, 기술적 대상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위한 과정으로 상품의 형태, 구조, 사용자와 생산품의 특징 등 소비자의 감각에 따른 감성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의 요소를 포함한 포괄적 개념과 디자이너의 창조적인 개념이 함께 할 때 그 역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일반적인 개념과 종류, 이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이해를 이론적 문헌과 학위논문으로 접근하였으며 디자인의 실천적 작업으로 첫째, 선인장의 사실적인 특징에 따른 일러스트 작업 둘째, 이를 이용한 캐릭터 개발 셋째, 디자인콘텐츠 분야별 사례로 홍보를 위한 전시회와 실제적인 상품개발 제작물을 제시함으로써 선인장산업 확대를 이루는 근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Y세대와 S세대의 색채감성 및 이미지 언어 인지차이 연구(1)

        박유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1

        본 연구는 청년(Y)세대와 노인(S)세대를 대상으로 색채에 대한 감정, 행동반응과 색채이미지 평가에 사용되는 형용사에 대한 이해도를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시대에 증가하는 노인세대들의 감성적 특성 및 행동반응을 연구하는 것은 외부환경 자극 요소이자 경제적 소비활동, 사회적 태도를 형성하는 주요인으로서 디자인의 향방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시자극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색채를 대상으로 세대별 선호도와 소비행동을 비교하여, 과거 젊은층, 노인층의 구분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었던 디자인의 행보가 다소 달라질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에는 피험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언어와 평가도구가 적용되어야 함도 실험분석결과 도출되었다. 인간의 감성반응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활용되는 형용사 이미지 척도가 피험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아가 제품, 패션, 광고, 공간 환경 등 구체적 외부환경요인에 대해 노인세대의 건강, 경제, 행복지수 등의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어떠한 감정과 행동반응을 일으키는지에 관한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different groups, the younger generations (Y) and the older generations (S), of their reactive actions and emotions about colors, and of their understandings on descriptive adjectives which are used to evaluate color images. To study the emotional character and reactive actions of the increasing older generations is the external environmental stimulation as well as the main element which forms the economical consumption activities and social bearings, especially when we are entering the aging society. This study compared each generation's preferences for colors, which take the most importance in visual stimulants, and their consumption behaviors. In result, we were able to draw an assumption that the direction of designs which had been applied to both generations with no difference would now change. Another conclusion we drew through analysing the study is that when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older generations, appropriate tools and languages that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em should be applied. This means that the measure for adjective-images which are used to evaluate human's emotional response sh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subject. Furthermore,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extend its arm to find out how the different factors of older generations such as health, economy and happiness index react to specific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roducts, fashion, advertisement or space environment, and to ultimately find out what kinds of emotions and reactive actions they bring about.

      • KCI등재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ocial Networking Site)상의 개인정보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연구 - 최근 미국 판례를 중심으로 -

        박유선 한국지식재산학회 2012 産業財産權 Vol.- No.37

        The absolute anonymity on the Internet has gone away. Along with the emergence and the explosive growth of social networking sites, digital dossier created by aggregating personal information on social networking sites like Facebook, MySpace and Twitter has an effect on the person's real life counterpart. Unlike politicians, businessmen and celebrities, a general user utilize social networking sites to communicate with her "friends" who have been invited by the user based on the existing relationship, and the user does not expect her personal information on her profile, pictures, comments on a "wall" to be shared or disseminated to third parties or to the public. Therefore, i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allowed only for the user's friends or a certain group of people to access has been disseminated, it can cause harm, especially with respect to individual privacy. In recent years, social networking sites have turned out to be a primary source of evidence in legal proceedings.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determine who controls the user's privacy on social networking sites. It has been well settled that a user has no privacy interest in her personal information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cause the information is no longer a "private fact" that can be protected from public disclosure. When the user utilized the available privacy settings on Facebook and MySpace to restrict access to only those “friends” she wanted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user can assert her privacy right against unauthorized disclosure of her personal information. On this issue, the courts in each coast of the U.S. have reached different conclusions. In Romano v. Steelcase, Inc., the New York court found that the user had no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in what she posted to her Facebook and MySpace pages, regardless of her individual privacy settings, and granted defendants access to the plaintiff’s current and historical Facebook and MySpace pages and accounts, including all deleted or archived content. In Crispin v. Audigier Inc., however, the California court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private messages and comments posted on a "wall" accessed by the user's "friends" or the public, and inferred the user's subjective expectation of privacy from her privacy setting. In denying the user's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the New York state court reasoned tha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hich the user restricted access by adjusting her privacy setting still can be accessed by the user's friends and social networking site operators. In addition, the court gave a significant weight to the fact that most social networking sites provided privacy policies and recognized that the user was informed that her personal information might be disseminated by her friends or third parties. On the other hand, the California court distinguished private messages from posting and personal information disclosed to the public, and potentially recognized the user's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with restricted access. Furthermore, the privacy policy of social networking sites could be interpreted as a warning to avoid the subsequent legal liability. The existing concept of privacy and current privacy legislation are subject to the physical space. Privacy concerns and personal relationship in cyberspace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real world. It might be required to reform the evolving privacy concept to reflect the nature of cyberspace having no walls, floor and ceiling and "shallow friendships" on social networking sit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asoning behind these decisions with respect to privacy issues on social networking, and propose solutions to privacy protection in cyberspace.

      • KCI등재

        3D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형태 인지 특성에 관한 연구

        박유선,이하라 히사야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2

        It has been already verified that when we see objects, we have a habit to commonly recognize forms of them, by considering form-recognition theories. Experiments with various form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y perceptual psychologists. From the backgrounds, this thesis attempted to seek out objective index which can be systematically used through form-recognition experiments with scientific method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orm-recognition experiments, those in this study aimed to study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form-recognition factors, by observ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form-recognition on one object with a 3D modeling simulation tool. To this end, questionnaires and experiments were implemented and analyzed by suggesting limited form-exploration conditions: direction of light and perspective based on the same setting standard. The findings show that: first, the subjects selected the most stable and familiar forms viewed from top as 3D forms which most clearly exhibit inh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object; and second, they commonly selected forms and shadows occurring when the direction of light sifted from left to right, like the natural flow of gaze. The author, therefore, could verify general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form-recognition on 3D forms in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te the experiments in this thesis, from the existing theoretical and psychological form-recognition experiments, in that the former could extract quantitative data necessary for examining form-recognition characteristics by using 3D modeling simul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objectified characteristics of quantitative form-recognition by enabling mathematical expressions for 3D forms. Thus, it has a value and an implication, in that it can be used in not only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tents, but also designs and various industrial fields, by further extending the subjects and experimental methods, based on the experiments. 본 논문은 우리가 형태를 인지함에 있어서 정량적인 형태 인지 특성을 객관화하여 창의적인 컨텐츠 개발 분야에 체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3D 모델링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제한적인 형태 탐색 조건을 제시한 후 이를 통해 하나의 대상에 대한 공통된 형태 인지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형태 인지 실험 방법들과는 다르게 좀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 형태 인지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동일한 설정 기준의 투시 도법과 동일한 빛의 방향 설정 기준을 제시한 툴을 사용하여 설문과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로 형태 인지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즉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시점의 가장 안정적이고 익숙한 형태를 피 실험자들은 각 대상의 고유한 형태 특성이 잘 드러난 3차원 형태라고 선택하였고, 빛의 방향이 자연스런 시선의 흐름과 동일시되어 익숙하게 그림자가 생성되는 형태를 공통적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의 실험 결과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3차원 형태의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형태 인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의 이론적이고 심리적인 측면의 형태 인지 실험에 비해 3D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형태 인지 특성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추출해 낼 수 있다는 것에 차별화를 두었다. 또한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3차원 형태에 대한 수학적 표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객관화된 정량적 자료를 디자인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인 영화, TV, 비디오 게임, 건축, 건설, 제품 개발, 과학 및 의료 산업 분야 등 모두에서 활용 할 수 있다는 것에 그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형에서 형태와 디멘션의 시각적 인지와 표현에 관한 연구 - 조형 예술 사례의 시각 표현 중심으로 -

        박유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This Study is for searching a feature and a case on formative expression through dimensional consideration of 2D(plane) and 3D(3 dimension). Hereupon, I am looking for a new possibility as cases of creative consideration and formativeness expression with roles and meanings able to support basic formativeness study. This needs to search for not only basic formativeness study but also applying of design educational field for an opportunity to raise the utilization value. In formativeness art, there are many ways for searching of form-expression, but I define 'Dimension' is dimension first in this study. And after searching a plane and 3-D concept, I am going to suggest cases of four ways for shape recognition and expressional features such as light and shadow, internal and external space, flame, and perspective in details and I am going to mention cases following dimens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Through this, I suggest features and the result about the visu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hape and dimension. That is, when we describe many sides and solid of 3 Dimension material at 2D surface, we express 2-dimensional formation with analyzing 3D's depth and volume with taking perspective space to pieces. Whereas, 2D surface will have 3-dimensional volume by perspective or many kinds of formation and expression methods. Moreover, I define Dimension to different concept with space and I suggest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shape expression. Therefore, Dimensional consideration such as 2D and 3D is valuable to make efficient use of visual expression for various expression and creative consideration expression of formativeness art with recognition and expression about shape. Hence, I consider creative access methodological possibility through research of the exist data and the basic formativeness data for the study of formativeness art expression. This means this study will be one methodological chance which can offer creative consideration and expression mo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형 예술에서 평면과 입체의 디멘션(차원)적 사고를 통한 형태 표현의 특징과 사례들을 탐색해 봄으로써 이에 따른 기초 조형 연구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서의 역할과 의의를 통해 창조적 사고 및 형태 표현의 사례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는 기초 조형 연구 뿐 만이 아니라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도 적용, 활용 가치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조망해 볼 필요성이 있다. 조형에서 형태 표현의 탐색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먼저 디멘션의 용어를 ‘차원’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라 평면과 입체 개념을 살펴본 뒤 세부적으로 빛과 그림자, 내부, 외부 공간, 프레임, 투시도법 4가지의 형태 인지와 표현 특징을 제시하여 그에 따른 사례들과 디멘션 인지와 표현에 따른 사례들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조형에서 형태와 디멘션의 시각적 인지와 표현에 대한 특징과 그 결과를 제시해 보았다. 즉 3차원 물체가 가지고 있는 다면성과 입체성을 2차원 평면에 묘사할 때는 원근법적 공간을 해체 시켜 3차원이 가지고 있는 깊이와 볼륨을 분석해서 2차원적 형태로 표현한다. 반면 2차원적 평면은 투시도법이나 여러 가지 형태 인지와 표현 방법에 따라 3차원의 부피와 볼륨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디멘션을 공간과는 다른 개념으로 정의 내리고 이에 다른 형태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디멘션(차원)적 사고 즉 2차원, 3차원의 차원적 사고는 형태에 대한 인지와 표현에 있어서 형태와 디멘션의 시각적 관계를 조형의 다양한 표현과 창의적인 사고 표현을 위한 하나의 시각 표현 방법으로 활용 될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형 예술 표현을 위해 연구 되어진 기존 자료와 기초 조형 자료의 재탐색을 통해 다양한 사고와 표현 방법으로 형태를 인지하고, 형태를 개념화, 표현해 감에 있어서 창의적인 접근의 방법적 가능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는 곧 조형에 있어서 창조적 사고와 표현 모티브를 제공하는 하나의 방법적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