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자기효능감이 인터넷도박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완경 ( Wankyeo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최근 인터넷도박중독이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도박중독은 개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인터넷도박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규모 할당 표집을 실시하여 지난 1년간 인터넷도박에 참여한 적 있는 20, 30대 성인 5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인터넷 도박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도박중독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인터넷도박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20, 30대 성인의 인터넷도박중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자기효능감 향상과 우울감을 완화하기 위한 예방책과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internet gambling addiction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intervention because internet gambling addiction has an negative effect on people’s mental health and can be serious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net gambling addiction in adults. Fo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rough nationwide quota sample,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547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has not directly a negative effect on internet gambling addiction. Second, depre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net gambling addiction. Third, depression worked as full mediators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internet gambling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discussed preventive measures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to alleviate depression in order to lower internet gambling addiction of adult in their 20s and 30s.

      • KCI등재

        노인의 다차원적 결핍 경험이 우울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수비 ( Soobi Lee ),박완경 ( Wankyeo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노인층의 우울과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결핍 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2018년도(7개년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311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규명하고, 이 변화유형에 다차원적 결핍 경험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층의 우울 변화유형은 모두 3개 변화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정상 일반군’과 초기 우울 수준이 경증 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증 우울 유지군’, 초기 우울 수준이 매우 심각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심각한 우울 증가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노인층의 우울 변화유형에 다차원적 결핍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생활’, ‘직업경제’, ‘건강의료’ 영역의 결핍 경험이 많을수록 ‘정상일반군’보다 ‘경증 우울 유지군’과 ‘심각한 우울 증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주거’ 영역의 결핍 경험은 ‘심각한 우울 증가군’에게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overty experience in various living areas of the elderly.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otal 3,311 elderly in their 65 or up by utilizing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12-2018.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 on these change pattern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tal three change pattern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classified. They included the ‘normal group’, the ‘mild depression group’ that maintained the mild level of depression, and the ‘serious depression increase group’ who showed the very serious level of depression in the early stage and that was increasing as over tim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 on the depression change patterns of the elderly, when there were more poverty experiences in ‘dietary life’, ‘economy’, and ‘health care’, it was highly possible to belong to the ‘mild depression maintenance group’ and ‘serious depression increase group’ than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poverty experience in ‘hous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ly on the ‘serious depression increase group’.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measures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