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측정기에 따른 고에너지 X-선의 표면 선량 및 최대 선량 지점 고찰

        이용하(Yong Ha Lee),박경란(Kyung Ran Park),이종영(Jong Young Lee),이익재(Ik Jae Lee),박영우(Young Woo Vahc),이강규(Kang Kyoo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고에너지 X-선의 표면선량과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서의 선량분포는 일반적으로 방사선 계측에 사용되는 전리함 측정기로는 정확한 선량분포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고에너지 X-선 선량계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측정기를 이용하여 팬톰 표면에서의 흡수선량과 최대 선량 지점(dmax)을 측정하여 측정기 사이의 정확성을 비교 분석하고, 각 치료기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측정기 중 표면 선량 측정에 적절한 측정장치를 제안하고 그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에서는 6 MV와 15 MV X-선에 대해 조사면이 10×10 cm 2,SSD=100cm에서 TLD, 팀블형 전리함(thimble type ion chamber), 다이오드 검출기, 다이아몬드 검출기와 Markus 평행판 전리함 등을 이용하여 심부선량백분율(percent depth dose: PDD)을 측정하여, 표면 선량(surface dose)과 최대 선량 지점(dmax)을 비교 분석하고,또한 TLD 측정 시와 동일 조건으로 Monte Carlo 계산을 실행하여 TLD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6 MV와 15 MV X-선에 대해 Markus 평행판 전리함을 이용하여 측 정 한 표 면 선 량 은 각각 29.31%와 23.36%으로 측정되었으며, TLD는 37.17%와 24.01%, 다이아몬드 검출기는 34.78%와 24.06%, 다이오드 검출기는 38.18%와 27.8%, 팀블형 전리함은 47.92%와 36.01% 였으며, Monte Carlo 계산에 의한 표면 선량 값은 6 MV X-선에 대해 TLD 측정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팬톰 내에 가상적인 TLD를 삽입한 경우 36.22%로 실제 측정값 37.17%와 유사하였다. 최대 선량지점의 깊 이는 모든 측정기에서 6 MV X-선에 대하여 14˜16mm, 15 MV X-선에서는 27˜29mm 사이의 측정기에 따라 작은 차이를 보였다. 결 론: 표면 선량의 경우에는 측정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Markus 평행판 전리함이 사용된 측정기 중 가장 정확한 결과를 보였고, 팀블형 전리함의 경우 다른 측정기에 비해 약 10% 이상 높은 선량을 보여 피부 표면에 가까이 위치한 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계획시에는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팀블형 전리함의 선량 값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오류가 발생하므로 가능한 표면 선량 측정에 적절한 측정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측정기 특성을 고려한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대 선량 지점(dmax)의 결과는 모든 측정기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본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측정기는 그 특성에 상관없이 최대 선량 지점 측정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t is difficult to exactly determine the surface dose and the dose distribution in buildup region of hi gh energy X-rays by using the conventional ion chamb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widely used dosimetry systems to measure the surface dose and the depth of maximum dose (d max).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percent depth dose (PDD) from the surface to the dmax in either a water phantom or in a solid water phantom using TLD-100 chips, thimble type ion chamber, d i o de detector, diamond detector and Markus parallel plate ion chamber for 6 MV and 15 MV X-rays, 10 × 10 cm 2, at SSD=100cm. We analysed the surface dose and the dmax.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TLD data, we executed the Monte Carlo simulation for 6 MV X-ray beams. Results The surface doses in 6 MV and 15 MV X-rays were 29.31% and 23.36% for Markus parallel plate ion chamber, 37.17% and 24.01% for TLD, 34.87% and 24.06% for diamond detector, 38.13% and 27.8% f or diode detector, and 47.92% and 36.01% for thimble type ion chamber, respectively. In Monte Carlo simulation for 6 MV X-rays, the surface dose was 36.22%, which is similar to the 37.17% of the TLD measurement data. The dmax in 6 MV and 15 MV X-rays was 14 16 mm and 27 29 mm,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max among the detectors. Conclusion There was are markable difference in the surface dose among the detectors. The Markus parallel plate chamber showed the most accurate result. The surface dose of the thimble i on chamber was 10% higher than that of other detectors. We suggest that the correction should be made when the surface dose of the thimble ion chamber is used for the treatment planning for the superficial tumors. All the detectors used in our study showed no difference in the dmax.

      • Li^+이온이 주입된 D_2O 얼음의 열자극 발광 현상에 관한 연구

        박영우,황정남,이철주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7 學術論文集 Vol.19 No.-

        저온에서 편극시킨 탈이온수 얼음의 열자극 편극 소거 전류(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 ; TSDC)를 77K∼250K 범위에서 측정하여 Li^+ 이온이 주입된 D_2O 얼음의 이온공간전하 열자극 전류(Ionic Space Charge Thermocurrent ; ITC)와 열자극 발광(Thermoluminescence ; TL)을 측정하였다. D_2O 얼음의 TSDC인 경우는 173K에서 heterocharge가 나오고 200K에서 homocharge가 나온다. 이 때 heterocharge는 1차 kinetic임을 알았고, initial rise법으로 구한 활성화에너지는 0.16eV이다. D_2O 얼음의 heterocharge는 bulk에 의한 효과이고, homocharge는 공간전하에 의한 TSDC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속기를 이용해 Li^+이온을 주입시킨 D_2O 얼음의 TL을 조사해본 결과 114K(A-peak), 180K(C-peak)에서 3개의 TL peak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활성화에너지는 0.03eV, 0.15eV 및 0.29eV이다. 이중에 B-peak의 활성화에너지 값과 거의 일치하여 그 결과로 부터 B-peak의 근원이 이온공간전하에 의한 쌍극자 재정렬임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TSDC) has been measured in distilled and deionized water ic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7∼250K at a constant heating rate, and the ionic space charge thermocurrent(ITC) and thermoluminescence(TL) has been measured from Li^+ion implanted D_2O ice. In the case of TSDC of D_2O ice, the heterocharge give rise to 173K, while the homocharge give rise to 200K TSDC peak. The heterocharge peak TSDC is found to be 1st kinetic and that the activation energy is o.16eV using the initial rise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at the heterocharge is due to the polarization in the D_2O ice and the homocharge due to the ionic space charge, TL curve from Li^+ion implanted D_2O ice and the homocharge due to the ionic space charge, TL curve from Li^+ion implanted D_2O ice shows three peaks at 114K, 148K and 183K.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se TL peaks are 0.03eV, 0.15eV and 0.29eV,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for B-peak(0.16eV) is coincide with that of ITC peak which means that both TL peak and ITC peak are caused by the dipole reorientation due to ionic space charge. This approach to clarifies for the first time to my knowledge.

      • 전자선 조사방법을 이용한 PET박막의 전하분포 측정

        이철주,박영우,최대선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3 學術論文集 Vol.11 No.-

        전자선의 입사에너지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PET박막에 주입된 전자에 의한 전하 분포를 측정하였다. 가상전극의 위치는 실제 전자 위치보다 1.3~2배나 더 깊게 위치하여 있었으며, recall시간은 2~5분 정도가 적당함을 알았다. 5 keV의 전자선을 조사시켰을 때 음전하가 0.2~1μm영역에 분포되어 있었고 0.2μm이하에서는 2차 이온 발생에 의해 양전하가 분포됨을 알았다. The spatial charge distribution in 25㎛ PET film was investigated increasing stepwisely the incident energy of electron using small accelerator. The location of virtual electrode was found to be deeper by a factor of 1.3∼2 than real electron penetration range, which means that the tail of conduction profile is extended more deeper than real charge location. The adequate recall time was found to be 2∼5min. The negative charge in 5 keV electron beam irradiated PET film were distributed in the region from 0.2㎛ to 1㎛, and unexpected positive charge were distributed in the region less than 0.2㎛ due to secondary ion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