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정책의 추세 분석 - 정부재정을 중심으로 -

        박양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2

        The paper aims to draw implications and provide suggestions of cultural content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vernment finance, which consists of budget and fund. Particularly based on the finance allotted to the cultural content area during the 17 years in Korea from 1997 to 2012, the paper studies the trend of the cultural content policy of the administrations, from Kim Young Sam’s administration, to Kim Dae Jung’s, Rho Moo Hyun’s, and Lee Myung Bak’s administration. Also, the research goes beyond to analyze the financial size of the cultural content,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overall fin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the f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size of the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ring the past seventeen years, regardless of administrations. Second,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overall fin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rregular, rising and falling from year to year and also according to each administration during the period. Based on this analysis, Kim Dae Jung’s administration was the most favorable to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the f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im Dae Jung’s administr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ontent field the most among the four administrations. The ratio, on the average, declined in Rho’s government, while it has been gradually recovering in Lee’s government. Fourth,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cultural content policy distinctively varies from administration to administration. Through these four findings, it became clear that even though the size of the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has been increasing, it does not mean that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overall fin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the f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multaneously increase. Some suggestion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 amount of finance portioned to the cultural content field for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Second,the Content Promotion Fund should be newly established under the Content Promotion Law. Third, the present system of government finance which consists of general budget accounts, special budget accounts and fund should be reestablished under the unified financ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nt Promotion Law and the abolition of special budget accounts. 본 연구는 지난 1997년부터 2012년까지 16년 동안의 한국의 문화콘텐츠 재정(예산과 기금)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 정책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콘텐츠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기준 곧 문화콘텐츠 재정의 절대규모와 그 추세, 정부전체 재정 대비 문화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그리고 그 추세, 문화체육관광부 재정 대비 문화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그리고 그 추세를 통계적으로 정리한 다음 이 재정통계를 바탕으로 연도별 및 각 정부별 문화콘텐츠 정책을 문화정책기조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재정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콘텐츠 재정의 절대 규모는 지난 16년 동안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에 관계없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정부전체 재정 대비 문화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측면에서 보면 연도별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였다. 전체 정부 안에서 문화콘텐츠의 위상을 가장 정립시킨 정부는 국민의 정부였다. 셋째, 문화체육관광부 재정 대비 문화 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측면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국민의 정부에서 가장 중시되었고, 참여정부에서 전반적으로 그 비율이 하락했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서서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 넷째, 문화콘텐츠 재정이 절대 규모 측면에서 증가하고 있다 하더라도 문화체육관광부 내에서의 점유율은 물론 정부 전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율과는 그 추세가 다른 양상을 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문화콘텐츠 관련 재정규모는 연도별로 부침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정부(정권)에 따라 우선순위가 구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 또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부는 정책기조에 맞게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해 더 많은 재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콘텐츠진흥기금을 설치하여 지속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큰 의미가 없어진 특별회계를 없애고 대신 전술한 콘텐츠진흥기금을 설치하는 등 통합예산관리를 위한 통합재정의 운영 취지에 맞게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기금 간의 역할 분담을 분명히 하고 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상관광정책 네트워크 체계에 관한 연구

        박양우 한국관광학회 2008 관광학연구 Vol.32 No.2

        This paper is to explain a current network system among the stakeholders, and to find out a model for film-induced tourism in Korea. First, the network among policy actors should be more flexible to foster film induced tourism industry in more effective way. Second, a participation of more diverse policy actors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desirable policy network. Third, major actors should participate more. Fourth, the role of local author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address viable development of regional film induced tourism industry. Fifth, roles of each actor in film induced policy network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a partnership among them should be cultivated. Sixth, systemic measure such as a consultative committee should be formulated comprising film induced tourism related stakeholders.

      • 특집 - 공업화 건축 : 공업화건축과 조립식공업의 활용문제

        박양우 대한건축학회 1987 建築 Vol.31 No.5

        여기에서는 공업화건축의 발전과정에 조립식공법이 처한 위치와 조립식공법의 구조종별유형을 밝히고, 공업화 촉진을 위한 대책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소형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테레오정합

        박양우 경운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8 産業技術硏究論文誌 Vol.1 No.1(A)

        In this paper, a new stereo matching method based on a compact genetic algorithm is proposed. The stereo matching is an essential procedure to reconstruct 3-dimensional information from 2-dimensional images. Genetic algorithms are efficient searching methods based on population genetics. So, in order to find the disparities which denote the position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stereo images, a genetic algorithm having 2-dimensional chromosome composed by the disparity is presented. In conventional genetic algorithms, since a number of chromosome are used to have easy access of the better solution,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in the sense of computational cost and memory efficiency.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compact genetic algorithm using population-based incremental learning is used and modified for stereo matching. As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it is shown that the used memory space is diminished and stable outputs are obtained by the simple matching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