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근리평화기념관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및 조직 운영방안

        박신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0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3 No.2

        본 논문은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에 2011년 개관 예정인 노근리평화공원 내 노근리평화기념관의 운영 활성화와 조직운영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노근리 사건은 한국전쟁 초기 노근리에서 다수의 피난민을 살상한 미군의 범죄에 대한 진실 규명을 이루어낸 것으로, ‘피해자 중심 인권운동’의 국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노근리사건특별법에 근거하여 조성된 평화공원은 매우 중요한 인권과 평화의 장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기념관 운영은 그 의미를 살려내기 위한 핵심적인 시설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근리평화기념관을 역사적 장소성을 보유한 문화교육형의 시설로 성격과 방향을 부여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발전전략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획전과 기념사업을 통한 재방문 기회를 제공하고, 연령별, 대상별 접근을 통한 관람객 개발의 노력과 연구소 활동을 다각화함으로써 아카이브 기능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별히 기념공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기념관 활동을 대중화할 필요성도 강조하였다. 또한 조직 운영에 있어서도 기념관 활동의 전문성을 살리되, 민간 전문인력의 적절한 배치와 활용을 전제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적 맥락에서의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비선형 관계에 대한 연구

        박신의,최형근,황의갑 대한범죄학회 2022 한국범죄학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Contrary to western countries where the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fear of crime is negative and significant, it appear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are positive or not significant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at this uniqu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s non-linear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We used ‘Korea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of 2018’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The curve estimation test result revealed that F-value was increase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was non-linear(a curve of secondary degree) than it was linear. Additional tests such a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classify groups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ose group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variables in groups along with the effects of those variabl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관계가 비선형 관계가 나타나는 것에 대한 깊 이 있는 검토를 위해 진행되었다. 한국에서는 서구와 달리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정적이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현상이 두 변수의 관계가 선형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세워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곡선추정 분석을 실행하였고, 집합효율성과 범 죄두려움의 관계는 직선일 때보다 이차곡선일 때 모형의 설명력이나 F값이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비선형 관계를 면밀히 살펴보았는데,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 해 집단을 구분하였고, ANOVA를 통해 각 집단 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이용하여 각 변인이 어느 집단으로 속할 확률이 높은지와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관계가 비선형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한 한국적 맥락의 시사점 을 논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창작공간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변화 연구: 금천예술공장을 중심으로

        박신의 서울연구원 2013 서울도시연구 Vol.14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ocial impact of Art Space through examiningthe perceptional changes in Geumcheon community, a district that is included as part of Seoul ArtSpace Project. Geumcheon Art Factory, the focal arena of this study, is located in Geumcheon, thecommunity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culturally fragile and heavily industrial. For data collection,surveys were mainly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were borrowed from "social impact of the arts" stud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i.e. thecommunity members of Geumcheon) generally show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toward art andartists as well as acknowledged the positive role of the Geumcheon Art Factory for the environmental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e data also showed that the perceptional changes of theparticipants groups(visitors, art program participants and non-visitors), were heavily influenced bythe number of visits and the exposure to the art program offered at the facility; other influenceswere based on demographic figures such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omes, and the type of profession. In this vein, we expect this study as a primary research to reflect on the issues of theArt Space and to redesign its role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서울시 창작공간 사업에 따른 지역주민의 인식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창작공간의 사회적 영향 관계를 밝히려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가운데 산업지역으로서 문화적 기반이 취약한 금천구 소재의 금천예술공장을 대상으로 이론적 접근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에 기초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창작공간으로 인해 지역주민의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변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지 그룹별(방문자, 프로그램 참여자, 비방문자)로 인식 변화에서 차이를 드러내고있어 방문과 프로그램 참여가 인식 변화의 직접적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도 학력과 수입, 직업별 요인이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를 감안함으로써 본 연구가 현재 창작공간이 갖는 쟁점을 성찰하며, 나아가 추후 창작공간의 역할을 조정하는 데 참조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 고통을 기억할 것인가? 고통 극복의 미래상을 보일 것인가? - 에스토니아 독립기념관 ‘바바무, 점령과 자유박물관’-

        박신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8 현대사와 박물관 Vol.1 No.-

        2003년 개관한 에스토니아 독립기념관은 2018년 독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전시를 전면 개편하면서 재개관하였다. 명칭도 ‘바바무, 점령과 자유박물관’으로 바꾸었는데, 이는 소련 및 독일의 지배로 인한 고통을 어떻게 재현하고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오랜 논쟁의 결과라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결과적으로 역사적 고통을 호소하기 보다는 미래 세대를 위해 자유라는 주제적 논쟁을 앞세운 점, 이에 따라 전시기법과 연출에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한 점, 그리고 점령시기의 일상생활을 재현함으로써 삶이라는 지점에 주목한 점, 현대미술작품을 배치함으로써 동시대적 해석을 주도한 점 등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경영 연구 영역과 방법론 개발의 전망

        박신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4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경영의 연구 영역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쟁점을 기술한 후 적합한 방법론 개발을 전망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경영의 주요 연구 영역을 비교 및 사례연구, 효과 및 영향 연구, 관객 연구로 나누 었다. 이 영역은 ‘예술의 효율적 사회화’라는 문화예술경영학의 정의를 두고, 실제 문화예술의 가치를 사회적 으로 인식하고 설득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시된 것이다. 실제로 이 영역은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 기금 투자의 당 위성을 증빙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구 영역이며, 그런 점에서 각 영역별로 필요한 방법론을 덧붙일 것 이다. 하지만 빈번하게 사용되는 반면, 연구 영역에서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거나 성과주의적 관점에서 활용하게 될 경우의 오류와 한계도 명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로 인해 문화예술경영의 학문적 정의와 역할을 전제 로, 문화예술의 가치를 드러내기 위한 연구 영역과 방법론을 제시한 것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treatise suggested a new territory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research and described its issues, accordingly, and then tried to predict on development of proper methodology. For this, it divided a main research field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into comparative studies, effect and impact studies, audience studies. These fields come from the definition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being efficient socialization of the arts and is suggested to perceive and persuade the value of arts and culture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is a very popular field to prove a justifiability of public fund invested into the arts and culture so that the required methodology, by each section, is added. Especially, it specifies the error and limitation which came from not considering the context in the research field or the application for perspective of performance. As a result, the study has meaning in terms of suggesting a new research field and the methodology for revealing the value of arts and culture on the premise of an academical definition and a role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 KCI등재

        소셜 아트(Social Art)의 개념 및 구도를 위한 탐색적 연구: 범주화 필요성을 중심으로

        박신의,민지은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tegorize not only activities in institutional space but also field activities in life and various art activities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 solving into social art, and to find historical grounds and continuity accordingly. To this end, the historical context of French social art, which first began discussing social art in the 19th century, was examined, and based on this, the definition and nature of social art were summarized by finding continuity after the mid-20th century. French social art practiced the role of art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civil society after the French Revolution, but it was no longer used after the Third Republic. Since then, questions and critical reflections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art have continued, although contemporary art did not advocate social art nor consciously connect French social art. And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a different type from elite art was formed. In particular, in the 21st century,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point of continuity by confirming active social art movements in Quebec, Canada, and the Korean situation was viewed in this context. 본 논문은 사회변화를 위한 예술이라는 명제 속에서 제도 공간 내 활동만이 아니라 삶의 현장 활동, 그리고 사회문제 해결에 대응하는 다양한 예술 활동을 소셜 아트로의 범주화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에 따른 역사적 근거와 연속성을 찾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19세기에 최초로 소셜 아트 논의를 시작한 프랑스 소셜 아트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고, 이에 기반하여 20세기 중반 이후의 연속성을 찾아 소셜 아트의 정의와 성격을 정리하였다. 프랑스 소셜 아트는 프랑스대혁명 이후 시민사회 출현에 따라 그에 걸맞는 국가 재건에 예술의 역할을 실천한 것이지만, 제3공화국 이후 그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현대예술에서는 소셜 아트를 표방하거나 프랑스 소셜 아트를 의식적으로 이어낸 것은 아니지만, 예술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질문과 비판적 성찰은 지속되었으며, 이로 인해 엘리트 예술의 유형과는 다른 유형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특히 21세기 들어 캐나다 퀘벡지역에서 활발한 소셜 아트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연속성의 지점을 새롭게 찾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적 상황을 조망하였다.

      • 청주시립미술관 건립계획 연구 - 성격과 방향 설정을 중심으로

        박신의,박승리,도난정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3 문화예술경영 Vol.3 No.-

        충청북도 청주시에서는 청주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현대미술 진흥을 통해 문화도시로서의 면모를 만들어 가기 위해 2011년부터 청주시립미술관 조성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해 왔다. 특히 청주시는 10년간 방치되어 온 (구)KBS청주방송국을 미술관으로 전환하여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하면서 본격적인 건립 준비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추 후 청주시립미술관의 건립에 도움이 되도록 건립계획을 세우되, 그 가운데 미술관의 성격과 방향 설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청주시 문화 환경을 분석 할 뿐만 아니라 청주시립미술관의 입지 분석 및 국내외 미술관의 대응을 살펴보고 청주시립 미술관의 차별화된 전략을 찾아낸다. 더불어 SWOT 분석과 대응전략을 통해 청주시립미술 관의 정체성과 특성 확보를 위한 미술관 성격과 방향 도출을 시도하고자 한다. Cheongju City in Chungcheongbukdo made the Cheongju Museum of Art masterplan in 2011 and has implemented the plan since then, in order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art and cultural experience of citizens and create a cultural city, promoting contemporary art. In particular, Cheongju city government made a decision to convert the former KBS Cheongju broadcasting station,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10 years, into an museum of Art and a plan for the construction. In the light of the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onstruction plan as to support the Cheongju museum of Ar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the museum of Art. For the study, cultural environment, location of the museum of Art, the response of other galleries, and differentiated strategies of Cheongju museum of Art will be analyzed.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museum of Art with SWOT and coping strategy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