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승배 全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21 初等敎育硏究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본위론이 교수법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본위론과 교육의 의미를 살폈다. 장상호에 의하면, 교육은 품위의 틈새에서 선진과 후진이 벌이는 모종의 활동이다. 후진은 상구하기 위해서 자리, 존경, 자조, 혁신, 내화, 순차, 자증 등의 내재율을 지켜야 하고, 선진은 하화하기 위해서 이타, 관대, 원조, 보존, 외화, 하강, 타증 등의 내재율을 지켜야 한다. 후진의 상구를 상구 교육이라 하고, 선진의 하화를 하화교육이라 한다. 상구교육과 하화교육을 합하여 협 동교육이라 한다. 협동교육의 한 차원인 ‘구제의 대상’ 차원에는 이타-자리의 내재율 이 있는데, 이 내재율에서 ‘이타-자리의 법칙’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법칙은 ‘남을 가 르치면 정확히 알게 된다.’는 우리 일상의 경험을 잘 설명할 뿐만 아니라 교수법에도 귀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