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력의 조절효과

        박상문,이미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rior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es of new ventures founded by experienced entrepreneurs. There are inconclusive resul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new venture performance. Based on the data of Korean new venture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se relationships of different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Success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but no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ailure experience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employment. There are moderating effect of firm age on the relationship of only failure experience with performanc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s’ development and performances.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은 벤처창업기업의 중요한 인적자본으로서 후속 창업시 벤처창업기업의 운영과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실증적 연구결과들은 일관된 결과들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벤처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을 성공창업경험과 실패창업경험으로 구분하고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업력의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창업경험특성에 따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성공창업경험은 고용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재무적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창업경험은 고용과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는 실패창업경험에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성공창업경험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창업경험의 특성(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이후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창업기업의 업력이 늘어나면서 이전 창업경험의 효과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창업경험과 성과간의 단기적인 영향관계와 장기적인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의 효과가 경험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창업경험이 있는 창업가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서도 창업경험의 특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얇은 판모양의 SnO 합성과 역동적인 입자 파쇄현상 연구

        박상문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8

        SnO 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a simple hydrothermal reduction method at a low temperature of 150 ℃. X-ray diffraction patterns and transmission-electron-microscopic images of the SnO product were used to index the peak positions and the characterize the plate-like morphologies, respectively. A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well-crystallized SnO tetragonal lattice along the c-axis [00l ] was observed. The dynamic electron-beam-induced fragmentation (EBIF) process in SnO lumps under beam irradiation was monitored. The homogenous SnO nanoparticle-like droplets with diameters of about 20 to 300 nm produced through the EBIF process were scrutinized. One of leading factors influencing the fragmentations is discussed based on melting points. SnO 입자를 낮은 온도 (150 ℃)에서 간단한 수열 환원(hydrothermal reduction)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방법을 통해서 생성물에서 관찰된 회절피크가 SnO 결정구조를 보이고 있는지 인덱스 하였으며, 투과형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서는 얇은 판 모양의 SnO 입자 모양을 관찰 하였다. 정방정계 구조인 SnO의 결정화와 함께 c 축방향으로 선택 방향 성장 [00l]이 관찰되었다. 투과형전자현미경의 빔을 SnO 덩어리에 조사하여 SnO 덩어리가 역동적으로물방울 모양 같은 나노 입자들로 파쇄 (Fragmentation)되는 현상을모니터링 하였다. 전자빔 유도 파쇄현상에 의해서 20에서 300 nm 크기의물방울 모양 같은 균질한 SnO 나노 입자들이 형성됨을 관찰하였다. 이파쇄 현상의 가장 큰 요인은 각 물질들이 가지는 고유한 녹는점과 밀접한관계가 있다고 예측하였다.ㅂ

      • KCI등재

        프로젝트 아웃소싱에서 공정성이 고객사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문,김기중,현병환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ustice between agencies requesting outsourcing of R&D Projects and their providers on the performance of clients through partnership and Project Manager competency and the influence of project manager competency on management performance . For the analysis, we conducted a survey using sample of customers who use outsourcing and those who provide them, and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FA, SEM,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ustice has a positive (+) effect on partnership, and distribution and mutual justice, which is a sub - dimension of justice, a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rocedural justice has a positive. Second, mutual trust, mutual trust, and mutual dependence of partnership increase customer's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partnership and PM competency.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demonstrate justice in the outsourcing of R&D project through the partnership and project manager competency. It is important that procedural justice is an important factor in outsourcing. It is important that the partner's efforts to put in a competent Project Manager ar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outsourcing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suggest directions for effective project performance between R&D project requesting agencies and R&D projects. 본 연구는 R&D 프로젝트의 아웃소싱을 요청하는 기관과 수임기관 간의 공정성 인식이 고객사의 경 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Project Manager 역량이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컨설턴트역량의 조절 작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고객사와 이를 제공하는 협력사 각각의 집단을 표 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설문 251부를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CFA, SEM 등을 수 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공정성은 파트너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정성의 하위차원인 분배 및 상호공정성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절차공정성이 고객사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파트너십의 상호결속, 상호신뢰, 상호의존 모두 고객사의 경영성과를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정성이 파트너십과 PM역량을 통하여 고객사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D 프로젝트 아웃소싱에서 공정성이 파트너십과 Project Manager 역량을 매개로 고객사의 경영 성과에 대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아웃소싱에서 절차적 공정성이 중요한 요인임과, 아웃소싱 거래 상호 간 파트너십 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아웃소싱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 요인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R&D Project를 요청하는 기관과 수임기관 간의 효과적인 Project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향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실리콘밸리 창업보육 프로그램 운영방식 :산호세시 사례

        박상문 한국중소기업학회 2010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산호세시(City of San Jose) 창업보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운영방식과 주요성과 및 변화과정을 살펴본다. 기존연구들이 창업보육센터의 일반적인 현황이나 지원서비스 유형 및 개별 창업보육센터 또는 입주기업 성과와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지자체 차원의 창업보육 프로그램 사업 자체를 어떻게 개발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프로그램 차원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말 현재, 4개 창업보육센터를 운영 중인 산호세시 창업보육 프로그램의 태동배경, 발전과정, 운영방식, 전반적인 성과 및 최근의 구조조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산호세시의 창업보육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운영상의 지배구조 특징과 개별 창업보육센터들의 재정자립 실현을 위한 운영방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산호세시 창업보육 프로그램의 구조조정 동기와 주요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산호세시의 창업보육 프로그램과 국내 창업보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비교하고, 국내 창업보육 프로그램과 창업보육센터들이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siness incubating program operated by the City of the San Jose, a heart city of Silicon Valley. Previous research on business incubators and incubating programs has paid much atten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s new ventures, those of business incubators, and diverse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incubator’ services and its tenant companies. There are few studies on motivations, governance structure and performances of business incubating programs operated by regional governments. Based on business incubating program of the City of San Jose, this paper traces motivations, development processes, governance structure, overall performances including recent restructuring of business incubating programs. This study focuses on business incubating program objectives, different roles among key stake-holders and budget issues on incubating program. The results suggest policy implications on business incubating programs in Korea.

      • 클러스터의 유형별 특징 : 한국과 대만의 LCD클러스터 비교

        박상문,윤진효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5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혁신 클러스터의 유형을 도출하고 각 혁신클러스터별 특징과 진화의 성공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혁신 클러스터의 유형은 클러스터 혁신주체(정부중심 vs. 시장중심)와 특정산업 집중도(높음 vs. 낮음)에 따라 크게 네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혁신 클러스터별 성공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클러스터 유형 분석틀을 활용하여 한국 아산 · 탕정과 대만 대난과학단지의 대표적인 혁신 클러스터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각국의 혁신 클러스터 특성과 성공요인들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향후 혁신클러스터의 지속발전을 위한 연구의의와 향후 우리나라 클러스터들의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