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약야채재배(軟弱野菜栽培)에 있어서 잔반퇴비(殘飯堆肥)의 효과적(效果的) 이용법(利用法)

        박봉선,Park, Bong Sun 유기성자원학회 1996 유기물자원화 Vol.4 No.1

        1. 잔반퇴비의 비효특성을 봇뜨시험에 의하여 비효의 지속기간 및 사용한계량을 밝혔으며 실용규모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논을 밭으로 만든 토양을 이용하여 잔반퇴비와 다른 유기질비료를 시용하여 재배한 연약야채의 수량 및 영양성분특성을 조사하여 잔반퇴비의 연약야채재배에 미치는 효과적 이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2. 화학비료를 시용하지 않을 경우는 10a 당 8 ton 의 시용에서도 토양 EC 및 pH가 발아장애나 그후의 생육저해를 일으키는 위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대판(大阪)시로나 (갓)을 4모작 재배하는 사이에 10a당 $5t{\times}4$회 합계 20 ton 의 잔반퇴비를 시용하였지만 적지의 EC, pH가 발아장애 또는 생육저해를 일으키는 위험성은 볼 수 없었다. 4. 연약야채는 잔반퇴비 10a당 2 ton 정도 시용하였을 때 건조우분 바크퇴비, 다른 유기질비료와 비교하여 수량, 외관의 품질 및 내용성분에 대해서도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5. 잔반퇴비는 분해가 빠르고 유실이 많다고 생각된다. 비효기간이 짧기 때문에 차작시 퇴비(堆肥)가 필요하고 작물재배시마다, 2~3 ton 정도의 연속시용이 수량증가에 대해 효과적이었다. The exp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fertilizer efficiency of a garbage-based compost in cultivation of leaf vegitables. 1. Only application of 8 tons per 10 of the compost did not have any growth injury to "Osaka-shirona" (a cultivar of Brassica pekinensis L.) in a pot experiment 2. In four continuous cropping with application of 3 tons per 10 a of the compost before every seeding, "Osaka-shirona" grew satisfactorily. 3. Osaka-shirona, spinich and garland chrysanthemum were cultivated under a plastic house applied with 2 tons per a of each of the garbage-based compost and cattle manure, delayed release fertilizer and bark compost on the market.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vegetable yields among the applied field, as well as of the contents of ${\beta}$-carotene, vitamin C, Ca and Fe.

      • KCI등재

        軟弱野菜栽培에 있어서 殘飯堆肥의 效果的 利用法

        朴鳳仙(Bong Sun Park) 유기성자원학회 1996 유기물자원화 Vol.4 No.1

        The exp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fertilizer efficiency of a garbage- based compost in cultivation of leaf vegitables. 1. Only application of 8 tons per 10 of the compost did not have any growth injury to ‘ Osaka-shirona" (a cultivar of Brassica pekiηeηsis L.) in a pot experiment 2. In four continuous cropping with application of 3 tons per 10 a of the compost before every seeding, ‘ Osaka -shirona’ grew satisfactorily. 3. Osaka-shirona, spinich and garland chrysanthemum were cultivated under a plastic house applied with 2 tons per a of each of the garbage- based compost and cattle manure, delayed release fertilizer and bark compost on the market.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vegetable yields among the applied field , as well as of the contents of P-carotene, vitaminC, Ca and Fe. 1. 잔반퇴비의 비효특성을 봇뜨시험에 의하여 비효의 지속기간 및 사용한계량을 밝혔으며 실용규모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논을 밭으로 만든 토양을 이용하여 잔반퇴비와 다른 유기질비료를 시용하여 재배한 연약야채의 수량 및 영양성분특성을 조사하여 잔반퇴비의 연약야채재배에 미치는 효과적 이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2. 화학비료를 시용하지 않을 경우는 10a 당 8 ton 의 시용에서도 토양 EC 및 pH 가 발아장애나 그후의 생육저해를 일으키는 위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大版시로나 (갓)을 4모작 재배하는 사이에 10a당 5tX4 회 합계 20 ton 의 잔반퇴비를 시용하였지만 적지의 EC, pH 가 발아장애 또는 생육저해를 일으키는 위험성은 볼 수 없었다. 4. 연약야채는 잔반퇴비 10a당 2 ton 정도 시용하였을 때 건조우분 바크퇴비, 다른 유기질비료와 비교하여 수량, 외관의 품질 및 내용성분에 대해서도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5. 잔반퇴비는 분해가 빠르고 유실이 많다고 생각된다. 비효기간이 짧기 때문에 차작시 堆服가 필요하고 작물재배시마다, 2-3 ton 정도의 연속시용이 수량증가에 대해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박봉선(Park, Bong-Se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2

        본 연구는 목적은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7차년도(2016년) 조사자료의 1,919명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Sobel-test를 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은 휴대전화 의존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우울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lienat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919 elementary students, with data taken from the 7<SUP>th</SUP> year (2016)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lienat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In addition, a Sobel-test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eer aliena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life mobile phone dependency. Secon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lienat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Based on these result,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봉선 ( Park Bong Seon ),엄명용 ( Um Myung Y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4 No.-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인 직장과 가정 사이의 역할갈등의 방향적(일 → 가정 역할갈등, 가정 → 일 역할갈등)측면과 유형적측면(시간, 긴장, 행동갈등)을 살펴보고,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과 양육태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 지역의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 267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의 방향적 측면과 양육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취업모의 일 → 가정 역할갈등(WIF) 총합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모의 가정 → 일 역할갈등(FIW) 총합이 높을수록 자율적 양육태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의 유형적 측면(시간, 긴장, 행동갈등)과 양육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행동갈등과 시간갈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긴장갈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일 → 가정 긴장갈등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의 가정 → 일 긴장갈등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work-family role conflict on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To accomplish study purpose, 267 working mothers were asked to fill out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the effects of both direction of work-family role conflict on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the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the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rejection child-rearing attitudes and control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and the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autonomic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three types of work-family role conflict on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the work□family strain-based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the work□family strain-based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rejection child-rearing attitudes and control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and the family□work strain-based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and autonomic child-rearing attitudes of working mother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육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흉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우,백인기,박봉선,Choi S. W.,Park I. K.,Park B. S.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단세포 단백 사료 자원으로 이용하고, DHA를 강화시킨 변종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그 이용성과 도체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210수를 반복당 10수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 함량과 조단백 질함량이 전기에는 3,150 kcaHg, $22\%$, 후기에는 3,200 kcal/kg, $19\%$가 되도록 한 대조구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병아리(Ross) 250수를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첨가한 구와 EGBD를 0.5, $1.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고 매주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시험종료 후 대사시험을 실시하고, 가슴살을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Euglena 첨가구들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의 이용율은 EG를 첨가한 구들이 EGBD를 첨가한 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가슴살 내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가 $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performance, nutrient avail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studied. In experiment I, two hundred ten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3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22\%$ CP and 3,150 kcal ME/kg for starter diet, $19\%$ CP and 3,200 kcal ME/kg for finisher diet.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p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wo hundred fifty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3; T1 + EGD $1.0\%$, T4; T1 + EGBD $0.5\%$, T5; T1 + EGBD $1.0\%$. The weight gain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weekly.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determined. In experiments I and 2, Euglena supplement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experiment 1, EGB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concentration but decreased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in breast muscle.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concentration (14.27%) which is 3.9 times of that of the control ($3.66\%$). In experiment 2, $1.0\%$ EGBD treatment showed highest EPA, lignoceric acid and DHA level in breast muscle (P<0.05). Also, EG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and EPA concentration. It was concluded that EGBD and EGD can be supplemented to broiler diet to produce DHA enriched broiler meat.

      • KCI등재

        산란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의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우,백인기,박봉선,Choi S. W.,Park I. K.,Park B. S.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사료자원으로 이용하고, Euglena의 DHA를 강화시켜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그 이용성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32주령의 산란계(ISA-Brown) 280수를 7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함량과 조단백질함량이 2,750 kcal/kg과$17\%$인 대조구 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구와 EGBD(Euglena gracilis B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84주령의 산란계 300수를 5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2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사료에 EGBD를 $0.5\%$ 첨가한 구와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두시험 모두 사양시험은 4주간 실시하였고, 시험기간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케 하고 정상적인 점등관리를 실시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c일계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시험사료 급여결과 $1.0\%$의 EG 첨가구가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가 가장 가벼웠다. 난황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EG를 첨가한 구들의 난황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을 보면 $2.0\%$ EGBD 첨가구의 DHA와 EPA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arachidonic acid의 수준은 가장 낮았다. 시험 2에서도 일계 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0.5\%$의 EG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D를 첨가한 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2.0\%$ EGD 첨가구의 myristic acid, myristoleic acid와 pentadecanoic acid가 모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DHA는 $0.5\%$%의 EGB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EGD를 첨가한 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는 산란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EG의 첨가가 난황색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고, EG, EGD 그리고 ECBD 모두가 난중을 높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Euglena의 DHA를 강화시킨, EGD나 특히 EGBD의 첨가는 난황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어진다.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was studied. In experiment I, two hundred eighty 32-wk-old ISA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4 w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4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housed in two birds cages.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17\%$ CP and 2,750 kcal ME/kg.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hree hundred 84-wk-old ISA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GBD $0.5\%$, T3;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4; T1 + EGD $1.0\%$, T5; T1 + EGD $2.0\%$.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ion of 12 birds each housed in two birds cages. In experiments 1 and 2, Euglena suppplem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gg production but increased egg weight and feed intake. In experiment 1, EG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egg yolk color score than EGBD. Egg yolk color of EG $1\%$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EGBD supplementation increased DHA concentration of egg yolk.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and the lowest palmitic and stearic acids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In experiment 2, EGBD $0.5\%$ treatment showed highest DHA level in egg yolk (P<0.05). It was conducted that EGBD is a single cell protein source rich in DHA, that can be used to produce DHA enriched egg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김동순(Dong-Soon Kim),박봉선(BongSeon Park),이의빈(Eui Bhin Lee),손가현(Ga Hyun Soh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CAP) 6차(2016년) 자료의 1,228명을 살펴보았다.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위축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체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athexi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participants were 1,228 adolesc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ith data taken from the 6th year(2016)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Panel Study(MCAP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athexi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body-cathexis was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 on the depression. Further, partial mediating effect of withdrawal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athexis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젊은 여성의 식습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피부건강과의 관련성 연구

        김종규(Kim, Jong-Gyu),박봉선(Park, Bong-Seon),김중순(Kim, Joong-Soon) 한국생활과학회 201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habits and life style on the skin health of young Korean females in their late teens and twenties. The study focused on facial skin and us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 examination of skin type, and pH tests. More than half of the females had combination skin type or pH level higher than 5.8 which is regarded as normal. The variables that turned out to significantly (p<0.05) effect their facial skin types were body mass index (BMI), the type of residence, the amount of water intake, whether or not they intake drinks, the frequency and amount of alcohol drinking, favorite foods as side dishes at meals, intake frequency of fruit, the dairy, seaweed, and fast food, the frequency of washing their faces per day, the method of how they used water during face washing, whether or not they had professional skin care, and whether or not they wore color make up. The variables of the females age, BMI, the amount of alcohol drinking,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xercise, the controlling methods of stress, their favorite foods as side dishes at meals, and the intake frequency of soy products or animal food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facial pH levels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me food habits and life style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cial skin health. More importantly BMI and favorite foods as side dishes during daily food intake could have remarkable effects on facial skin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