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재 평가를 통한 고급 한국어 문법 교재의 개발 방향 연구

        박민신 ( Min Sin Par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10 先淸語文 Vol.37·38 No.-

        This study seeks development course of advanced Korean grammar textbooks suitable for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on universities abroad on the basis of evaluations of the existing educational grammar textbooks. A textbook is a collection of visually suggested contents which are pre-chosen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enabling a learner to achieve certain educational goals. Therefore a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with substantial reflection of contents from the curriculum and conversely, during the process of textbook evaluation, one should determine if the textbook embodies the contents declared in the curriculum properly. Hereupon in this research, criterions of textbook evaluation are categorized into formal and substantive aspect. Criterions for formal aspect are further subcategorized into physical, audio-visual elements, where in the same manner components of curriculum for substantive aspect, namely education goal, syllabus, methodology and evaluation is established. By applying thusly mentioned evaluation items, a case of textbook evaluation to determine if the existing two educational grammar textbooks are suitable for grammar courses conducted in Egyptian university is demonstrated. Result of textbook evaluation will enable each organization to choose textbooks appropriate for its curriculum and arrange standards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actual circumstances of education field as needed. Furthermore, result of textbook evaluation is expected to perform the role of guiding principle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a new textbook.

      • KCI등재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실제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류은수(Ryu, Eun-soo),박민신(Park, Min-sin),박진희(Bak, Jin-hui),김자영(Kim, Ja-young),오현아(Oh, Hyeon-ah)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본 연구에서는 다언어 · 다문화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에서 필요한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제안하고 그 구현 가능성을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문화 융합 사회에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3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은 문화 다양성 교육의 관점과 세계시민 교육의 관점 그리고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그 방향성을 설정하고 문화 간 이해 및 상호 존중, 역량 중심의 교육 내용을 개발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여 개발한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향성의 의의를 검토해 보았다. In a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characterized by multiple languages and cultur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chool adapt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learn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was reviewed centering on ‘the cultural-orient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To do this, chapters 2 confirmed the need for pre-admission school adapt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learners in this research and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by closely examining existing prior studi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Chapter 3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should be se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vic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nd the contents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an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Lastly, Chapter 4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orientation presented in the original text by looking at ‘Next Generation Culture-Orient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ontents provided in Chapter 3.

      • KCI등재

        CEFR에 기반한 ‘매개(mediation)’ 영역의 한국어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강남욱(Nam-wook Kang),신필여(Pil-yeo Shin),김호정(Ho-jung Kim),박민신(Min-sin Par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에서 정초한 개념이자 언어사용능력의 한 갈래인 ‘매개(mediation’를 영역별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해 본 다음, 한국어교육의 어떤 지점에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교육 실례를 들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CEFR의 최신 버전에서 다룬 매개 영역의 중범주와 소범주의 능력기술문을 말뭉치로 구축한 다음 텍스트 마이닝으로 경향성을 살펴보며 매개를 구성하는 핵심 개념어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보면서 특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았고, 이어 현행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습 활동 중에서 성찰적으로 음미해야 할 지점들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 한국어교육에서 실천적으로 적용해 볼 만한 B2 단계의 교수 자료의 예시를 구성하면서 ‘매개’의 관점을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mediation’, a concept that originated from the European Common Reference Standard (CEFR) was analyzed for each scale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this, we tried to give specific educational examples of where this can be used significan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we built a corpus of medium- and small-domain descriptors in the latest CEFR-version and then implemented it as a word clou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omain in detail, focusing on the key conceptual words constituting the mediation. Secondly,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onduct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tion. Based on this, by constructing examples of B2 level teaching material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field Korean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reflecting the ‘mediation’ point of view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