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부봉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정읍지역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

        박대길 역사와교육학회 2019 역사와 교육 Vol.29 No.-

        In 1894, whe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ook place, and for many people, Kobu uprising was a symbolic event explain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other words, the uprising that started in highland was the beginning and the beginning of the revolution. However, Jang Bong-sun, who was from Jeongeup in 1936, distinguished the Kobu Uprising from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in the Jeon Bong-Jun-Shil Gi which was published in Jeongeup-Gunji. Since then, Choi Hyeon-sik and Cho Kwang-hwan of Chung-eup have organized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according to this logic. As a result, the Kobu Uprising was excluded from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as defined in the Special Act on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which was promulgated in 2004. Furthermore, many Certified Korean History Textbook summarize Kobu Uprising as the background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t is not easy to clarify whether the case of Kobu Uprising or Mujang Forces is the beginn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oreover, the revision of the Special Law on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and the revision of the approved Certified Korean History Textbook, which are beyond the academia, are a difficult problem. In particular, there is no excuse for the fact that the research results organized or published in the region where the Kobu Uprising took place, namely Jeongeup, distinguished Kobu Uprising from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refore, the assertion that the Kobu Upris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is the beginning of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Joint research or forums are needed for this.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1894년 당시는 물론 그 이후 다수 국민에게 고부봉기는 동학농민혁명을 설명하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즉 고부에서 시작된 봉기가 혁명의 출발이며 시작이었다. 그런데, 1936년 정읍 출신 장봉선은 정읍군지 에 실은 「전봉준실기」에서 고부봉기와 동학농민혁명을 구분하였다. 그 이후 학계는 물론 정읍의 최현식과 조광환 역시 이 논리에 따라 동학농민혁명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2004년에 공포된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에 정의된 동학농민혁명에 고부봉기가 제외되었다. 더 나아가 현행 검인정한국사교과서 다수는 고부봉기를 동학농민혁명의 배경으로 정리하고 있다. 고부봉기와 무장기포 중 어느 사건이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이냐에 대한 정리는 쉽지 않다. 더욱이 학계의 범주를 넘어선 「동학농민혁명 특별법」 개정과 검인정한국사교과서 수정은 난해한 문제이다. 특히 고부봉기가 벌어졌던 지역, 즉 정읍에서 그간 정리하거나 발표한 연구 성과가 고부봉기를 동학농민혁명과 따로 구분하였다는 사실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고부봉기가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이므로 동학농민혁명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정읍지역이 풀어야 숙제이다. 이를 위한 공동연구나 공개토론회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등가회로 추출 및 특성 분석

        박대길,김영현,구경헌,Park, Dae Kil,Kim, Young Hyun,Koo, Kyung Heon 한국항행학회 201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6.78 MHz 에서 공진하는 대형 코일을 이용한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3차원 전자계 시뮬레이션,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등가회로를 통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기공진방식의 무선전력전송 등가회로는 기존 등가회로에 추가적으로 코일 간에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코일을 측정하고 시뮬레이션 예측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전송 특성 및 공진 주파수 천이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제시한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등가회로 특성과 측정치의 오차는 ${\Delta}{\mid}S11{\mid}$이 최대 1.31 dB, ${\Delta}{\mid}S21{\mid}$이 최대 1.36 dB로 유사하게 예측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gnetic resonant WPT(wireless power transfer) scenario using a large coil resonating at 6.78 MHz,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through a three-dimensional electromagnetic field simulation and a magnetic resonant WPT equivalent circuit. The magnetic resonant WPT equivalent circuit proposed in this paper considers the parasitic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coil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equivalent circuit. Based on this analysis, we fabricated the magnetic resonant WPT coil and compared it with simulation predic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the resonance frequency shift can be predicted. Error proposed characteristics of equivalent circuit for the magnetic resonant WPT and the measured values are estimated to be ${\Delta}{\mid}S11{\mid}=1.31dB$ and ${\Delta}{\mid}S21{\mid}=1.21dB$, respectively.

      • KCI등재

        무선전력전송 송수신코일 거리에 따른 효율 및 임피던스 특성 해석

        박대길,김영현,구경헌 한국항행학회 202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6 No.3

        본 논문에서는 드론 무선충전을 위해 지상 고정 무선전력전송 송신기에 착륙하는 드론과 같이, 고정 송신기와 상대적인 거리 및 코일 정렬이 변화하는 수신기에 적용하는 6.78 MHz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제안하였다. 송신 및 수신 코일간 상대 거리와 코일 면적 부정렬비 등에 따른 전력전달 특성을 연구하였다. 송수신 코일은 직접급전방식으로 60x80mm2 크기로 설계하고 상대거리 최대 50mm에서 수평방향 면적부정렬 상태를 가정하여 코일 중심축이 XY평면에서 각각 0-40mm 어긋날 때 특성을 유도하였다. 송수신 코일간 거리 및 면적부정렬비에 따라 3차원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력전송특성을 유도하고 제작한 시스템 특성을 시뮬레이션과 비교하였다.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코일간 시뮬레이션 특성과 측정치는 수직거리 최대 30mm, 50% 면적 부정렬 상태에서–3dB 이상의 전달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송수신기간의 상대거리 및 부정렬 상황에 따라 직접급전 방식에 따른 특성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직접급전 방식은 송수신 코일간 상대적 거리가 짧고 부정렬 면적비가 작아 결합계수가 큰 경우 유리함을 알수 있었다.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삼례 행영소(行營所) 연구

        박대길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8

        1894년 4월 27일, 호남의 수부(首府)이자 조선 왕실의 본향인 전주가 동학 농민군에게 점령당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조정은 가장 이른 시간에 전주를 탈환해야 하는 절박함에 빠졌다. 이러한 조급증은 전주성이 함락당한 바로 다음 날, 청국에 차병(借兵)을 청하는 내락(內諾)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동학농민군 진압과 전주성 탈환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이 있었다. 먼저 전라 감영을 대체할 공간, 즉 행영(行營)을 물색하였다. 그곳은 바로 서울에서 내려와 전주로 들어갈 때 초입(初入)에 있는 삼례였다. 행영(行 營)은 고려와 조선 시대 지방관이나 장수(將帥)가 임시로 거처하던 관청과 군 영을 가리키는 공간이었다. 특히 전시(戰時)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삼례는 한양과 전라도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고, 전라도의 수부인 전주를 중심으로 한 교통로를 관장하는 주요 역이었다. 따라서 전라 감영을 대체할 행영소를 설치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특히 전주와 서울을 연결하 는 전신선(電信線)이 삼례를 통과하는 관계로, 수시로 서울과 연락을 주고받 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주성에 들어갈 수 없었던 전라 감사와 순변사, 그리고 염찰사 등이 삼례에 머물렀다. 이들은 삼례 행영소에서 동학농민군 진압은 물론 전 라도 지역의 치안 질서 유지 등 전시 상황에 대처하였다. 그 기간은 4월 27 일부터 5월 8일까지 11일이었다. 전주성 탈환 이후에도 삼례는 전략적인 요 충지로 기능하였다. On April 27, 1894, Jeonju, the head of Honam and the home of the Korean royal family, was occupied by Donghak Farmers' Army. Reconciliation with the news fell in desperation to retake Jeonju at the earliest possible time. This impatience appeared to determine Secretly allowed the next day the Jeonju-seong fell, asking for Qing Dynasty' Army.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concrete response from the government to suppress the Donghak Farmers' Army and retake Jeonju. As part of this process, the center searched for spaces and facilities to replace Jeolla Gamyeong. That was Samrye at the beginning of Jeonju. Haengyeong(行營) was a space for government offices and military offices where temporary residence and longevity of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were temporarily located. In particular, it was very useful for exhibitions. Samrye was the main point of transportation between Hanyang and Jeolla-do, and was the main station governing the transportation route centered on Jeonju, the grandfather of Jeolla-do.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sanctuary to replace Jeolla Gamyeong. Especially, since the telegraph line connecting Jeonju and Seoul passes through Samrye, it was a place where I could communicate with Seoul from time to time. As a result, Jeollagamsa(全羅監司), sunbyeonsa(巡邊使), and yeomchalsa(염 찰사(廉察使) stayed in Samrye, where they could not enter Jeonju Province. They coped with wartime conditions such as suppressing Donghak peasant army and maintaining security order in Jeolla province. The period was 11 days from 27 April to 8 May. Even after the rejuvenation of Jeonju, Samrye served as a strategic hub.

      • BRS Analysis of Chirally Gauged Wess-Zumino-Witten Model

        박대길 慶南大學校 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92 硏究論文集 Vol.4 No.-

        카이랄하게 게이지화된 베스-쥬미노-위튼 action 이 게이지변환에 대하여 대칭성을 갖게 만드는 베스-쥬미노항을 effective action 의 one cocycle조건으로부터 구하였다. 이 베스-쥬미노항을 이용하여 BRS 방법으로서 물리적 Hilbert 공간에 대한 조건을 구하였다.

      • KCI등재

        東學의 敎祖伸寃運動과 斥倭洋

        박대길 전북사학회 2010 전북사학 Vol.0 No.37

        Although Donghak was continually suppressed by the government after the foundation, it made a remarkable growth after the middle of the 1880's. As a result, it developed to a force in Korean society enough to resist to the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officials. From the beginning of the 1890's, Donghak led a chain of the movements to clear the name of the founder of false charges and to stop the maltreatment toward Donghak believers particularly in the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 where the number of the believers was on the sharp rise. The move was very systematic, tinged with definitely political overtones, and involved with the earnest request of the people. Donghak believers got together at Gongju in October 1892, and at Boun and Kumgu in 1893. They asked for the remission of the founder and the ban on the maltreatment toward the believers and the repulse of the Japanese and Western people. While the former two were a religious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struggle for the right to live, the latter was a political struggle which insisted national independence against the foreign powers, speaking for the current emotions of the people. The attempt of the remission failed, but with the grant of the maltreatment prohibition from the government, it gave the believers great confidence, so Donghak movement to repel the foreign powers could have solidarity with the general public. Generally speaking, Donghak peasantry revolution is divided into two periods, with the first uprising as the struggle against the feudalism, and the second as the war against the foreign invasion. But in my opinion, even from the times of the remission, a slogan "Driving out the Japanese and Western people" appeared. And also the first uprising displayed a slogan “Liquidate the Japanese barbarians”all over the surface, while the second uprising was a war against Japan to save the country. Therefore the repulse of the Japanese and Western people was one of the major issue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Donghak peasantry revolution. Through the current of the times, Donghak got to have great capability on the wholesale, and its combination with the people became a motive to ignite the peasantry revolution in 1894.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태조 어진의 위봉산성 보존

        박대길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6

        동학농민혁명 당시 전주성이 함락되면서 경기전과 조경묘에 봉안되어 있는 태조 어진과 전주이씨 시조 이한의 위패가 위봉산성으로 이안되어 지켜졌다. 이 과정에 대해서 크게 2가지설이 전해져 왔다. 하나는 전주 판관 민영승이 경기전 참봉 장교원이 수습하여 이안하려던 어진을 빼앗아 위봉산성에 봉안한 후 그 공을 가로챘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민영승의 처남 이연일이 주도하여 지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어진의 이안은 조정의 승인을 받은 뒤에야 가능한 일이었다. 그것은 임진왜란 당시 전주사고에 있던 조선왕조실록과 경기전에 있던 태조 어진을 지켜낸 사실에서 확인된다. 어진은 전쟁이라는 급박한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민간인이 임의로 옮길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따라서 관원이 주도하여 이안하고 수직하는 게 사실에 부합된다. 이를 전제로 하여, 동학농민혁명 당시 어진과 위패는 전라 감영의 관원이 주도하여 지켜낸 것으로 정리되는데, 누가 어떤 방법으로 수행했느냐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당시 전라 감사의 부재로 인해 전주 판관 민영승이 가도사 되어 책임자로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태조 어진의 이안과 조경묘 위패는 당연히 민영승의 총책임하에 경기전 참봉 장교원과 조경묘령 박동래가 주도하여 수행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위봉산성에 이안된 어진과 위패는 바로 행궁에 봉안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행궁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먼저 위봉산성 안에 있는 위봉사 본전에 이안되었고, 진장청을 거쳐 행궁으로 이안되었다. 이렇게 지켜진 어진과 위패는 동학농민군이 전주성에서 철수한 뒤, 다시 경기전과 조경묘에 환안되었다. The portrait of King Taejo was moved to wibongsanseong(威鳳山城) to be preserved at the time of DonghagNongminHyeogmyeong. However, there were different stories about the relocation process. Gyeong-gijeon(慶基殿) chambong(參奉) Jang-gyowon(張敎遠) and jogyeongmolyeong(肇慶廟令) Parkdonglae(朴東來) were in charge of protecting the portrait and ancestral tablets in geong-gijeon at the crisis of jeonjuseong(全州城) falling. jeonjupangwan(全州判官) Min-yeongseung(閔泳承), who had been in charge of Jeolla provincial office as a gadosa(假都事), was the final director due to the absence of the governor(jeonlagamsa·全羅監司). Therefore, It is no wonder that they should protect the portrait and tablets, and they actually did. This can be found in several records including the report of jeonlagamsa. The portrait was enshrined in the main hall of wibongsa(威鳳寺) which was located in wibongsanseong, rather than being placed immediately in the palace. That was because the palace had been remained vacant for a long time after its construction. The portrait and tablets were then moved to the palace through jinjangcheong(鎭將廳) in wibongsanseong, and they were finally enshrined in the original place after Donghak peasant army had withdrawn from jeonjus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