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사회적 지지의 기능과 구조 : H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박다은,강병덕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29 No.4

        코로나 19는 교육 방법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대학 교육 현장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사회적 지지를 유형화하고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구조적 현황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북의 H 대학에서 할당 표본추출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223명의 학생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피셔정확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코로나 19 상황에서도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 유형은 네 가지 하위 영역(정서, 정보, 도구, 평가)을 기준으로구분하였을 때 세 집단(상위, 중위, 하위)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세 가지 유형에서 상위에 속할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 원천의 구조는 영역별로 상이하였지만, 전반적으로 가족이 가장 우선적이었고, 또래 집단(특별히 기존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또래 집단)이 또한 중요한 원천임이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 구조 차이는 성별보다는 학년별 비교에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군 병원 간호장교의 직장 내 괴롭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박다은,조순영,금경림 국군간호사관학교 군건강정책연구소 2019 군진간호연구 Vol.37 No.1

        Purpose: The descriptive study aimed to explore military nursing officers'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 job satisfaction, and their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Methods: 287 nursing officers of Armed Forces Hospital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chi-squar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ullying type and consequence, respectively, were verbal/non-verbal threat and physical/ emotional withdrawal.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interaction and nurse-physician relation were the top positive factors. Workplace bully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for turnover intention were rank, bullying consequence and job satisfaction, accounting for 35.9%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effective strategies to detect early and to resolve workplace bullying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lower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officers.

      • KCI등재

        한국판 스트레스 마인드셋 측정도구의 요인구조, 방법효과 및 측정동일성 검증

        박다은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2

        Stress mindset refers to implicit beliefs about the effects of stress. Although academical interests in stress mindset are growing, we know next to nothing about whether the original stress mindset scale, developed by Crum and colleagues (2013), can be used for working professionals in Korea. To examine whether the same stress mindset scale can be used in Korean adults with different occupations, we recruited college students and working professionals in finance, medicine, and education (N=531) and asked them to complete stress mindset and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s. Finding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no evidence for method effects in the original 8-item stress mindset scale.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4-item stress mindset scale, measuring debilitating effects of stress (Stress Mindset-N4), fits data better than the original 8-item scale and 4-item mindset scale, measuring enhancing effects of stress (Stress Mindset-P4). Measurement invariance testing of Stress Mindset-N4 supports configural, metric invarianc, and scalar invariance. Furthermore, the scale scale reliably predicts perceived distress. ‘스트레스=부정적’이라는 인식이 팽배함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의 효과성에 대한 개인의 관점은 차이가 있다.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는 무조건 부정적이라고 믿는 반면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를 통해 성장․발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처럼 스트레스의 효과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스트레스 마인드셋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인을 대상으로 Crum과 동료들이 개발한(2013) 스트레스 마인드셋 척도가 국내 다양한 직업군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요인구조, 방법효과, 측정동일성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학생과 금융, 의학, 교육 분야에 종사하는 성인 53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rum과 동료들이 제안한 8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지 않았으며, 방법효과를 통제한 모형에서도 적합도가 좋지 않았다.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효과성을 측정하는 4문항으로 구성된 도구(Stress Mindset-N4)와 긍정적인 효과성을 측정하는 4문항으로 구성된 도구(Stress Mindset-P4)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Stress Mindset-N4의 적합도가 더 높았다. Stress Mindset-N4와 P4 도구의 직업별 측정동일성 검증에서는 전자는 형태, 요인부하량, 절편 동일성이 지지 되었으며, 후자는 형태, 요인부하량 동일성이 지지 되었다. 더불어 두 도구 모두 지각한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실증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 실천을 위한 정책 개입 효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소비자 반응 분석

        박다은,김영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7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quires consumers’ active engagement i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nsumption. Accordingly,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encourage consumers to participate in initiativ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Government’s policy intervention is one of such attempts designed to force the public to change their behavior to be mo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With a growing emphasis on achieving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y 2030,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adopt and enforce policies that directly influence consumer behavior. However, there are only limited research on consumer reactions and the effects of enforcement of such policies that require consumers to sacrifice their consumption experience for sustainability. Existent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compensatory policies for sustainable consumpti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rewards for participating in government policies on reducing consumer resistance to the policies. Recently, however, governments implement policies for sustainability that requires compulsory participation. Despite the growing enforcement of compulsory policies for sustainability, research on consumer response to and the effects of such policies are scarce. This study aims to bridge this research gap by analyzing initial reactions of consumers to policies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nforced in Korea and subsequent response to consumption experiences which has been restrained (or even deteriorated) after the policy enforcement.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employed a comprehensive approach of collecting text data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consumer comments on internet news articles discussing upcoming regulatory policies and reviews from individuals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the service changes resulting from policy enforcement. The collected text data was subjected to sentimental analysis, to classify the opinions expressed into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categories. Moreover, LDA topic modeling techniques were utilized to gain further insights and understand patterns within the classified data. This study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policy implementation on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 throug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consumer reactions. The sentiment analysis revealed that initially, there was a prevalence of negative opinions among consumers when the regulatory policies were announced. However, there was a notable increase in positive opinions among those who actually experienced the service changes resulting from policy implementation. Furthermore, the LDA topic modeling analysis of the classified data revealed that consumers generally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hem and thus try to be accepting of policies that may restrain their consumption behavior. However, there were negative views specifically related to service quality and skepticism that the companies may actually benefit from cost redu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in the context of compulsory policy implementation. The insights gained can inform policymakers and corporate practitioner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policies that encourage sustainable behavior while addressing consumer concerns. By recognizing the initial resistance to new policies and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consumer acceptance, policymakers can tailor their approaches to ensure the successful adoption and long-term effectiveness of compulsory measures. This study sheds light on consumer reactions to changes in consumption experiences.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 기업, 개인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가운데 특히 소비자들의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행동이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의 실천을 통해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소비자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되었고, 그 중 정책적 개입을 통한 행동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30년까지 UN이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국가들은 강제적 성격의 정책을 도입하여 소비자의행동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정책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보상을 제공하는 비강제적 정책이 소비자의 거부감이 적어 더 효과적이라고 평가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기때문에 강제적 정책 시행 시 소비자의 반응 및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국내에서 시행중인 정책에 대한 소비자들의 초기 반응과 정책 시행 후 반응을 분석하여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시행 예정인 규제 정책에 대한 뉴스 댓글반응과 정책 적용으로 변경된 기업의 서비스를 실제로 체험한 후기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1차로 감성 분석을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긍정, 부정 및 중립 의견으로 분류하였고 2차로 분류된 데이터를 LDA 토픽 모델링 분석하여세부적 평가 근거를 파악하였다. 감성 분석 결과 정책에 대한 초기 반응은 부정적 의견이 우세하였지만 변경된서비스를 체험한 후 부정적 의견이 감소하고 긍정적 의견이 증가하였다. 세부적 의견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전반적으로 환경문제 심각성 및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문제인식이 높은 편이지만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우려 및기업의 비용 절감 의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소비자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강제적 정책을 도입했을 때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더할뿐만 아니라 정책 입안자 및 기업의실무자들이 정책을 수립하고 기업에 도입하는 방향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 of image quality perception of elderly group: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adult group

        박다은,박영경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8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image quality preference of the elderly group.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dult group and elderly group based on their age,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In result, tw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ge group. First, the elderly group evaluates image quality based on sensory stimulation (sharp, clean), which involves less complicated cognitive processes compared with the adult group. Next, the degree of image quality preference of the elderly group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crease and increase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compared to adult group. Notably, when brightnes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endency of image quality preference of elderly group remained high unlike the adult group. Thi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n order to satisfy the elderly group’s image quality preference at a high level compared with the adul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