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급성 위장염 환아에서 bicarbonate gap의 임상적 의의

        박규희,정성관,임형은,유기환,홍영숙,이주원,Park, Kyu-Hee,Jung, Seong-Kwan,Yim, Hyung-Eun,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2

        목적 : 소아기의 급성 위장염은 소화장관액의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물질의 체외 상실로 인하여 산-염기 대사의 장애를 초래한다. 중탄산염차이(bicarbonate gap, 이하 BG)는 델타음이온차이(delta anion gap, 이하 ${\Delta}AG$)와 델타중탄산염차이(delta bicarbonate, 이하 ${\Delta}HCO_3{^-}$) 의 차이로 정의되며 혼합 산-염기 대사의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BG에 따른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1일부터 2008년 4월 31일까지 구로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급성 위장염으로 입원한 1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은 검토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BG이 -5 미만이거나 5 초과인 A군과 -5 이상이고 5 이하인 B군으로 나누어 입원기간, 열, 구토, 설사 등의 임상양상과 나트륨, 칼륨, 염소, 알부민, 단백질, 혈액요서질소(blood urea nitrogen, 이하 BUN), 크레아티닌, 혈청 내 이산화탄소, 음이온차이, ${\Delta}AG$과 ${\Delta}HCO_3{^-}$ 등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BG이 -5미만인 A군은 66명, BG이 -5이상인 군인 B 군은 69명이었다. 입원기간은 A군에서 $5.3{\pm}2.1$일, B 군에서 $4.7{\pm}1.6$일로 A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입원 전 설사 기간은 A군에서 $3.13{\pm}1.7$일, B군에서 $2.3{\pm}1.7$일로 A군에서 더 길었으며 총 설시사간은 A군에서 $4.2{\pm}2.8$일, B군에서 $3.3{\pm}2.5$일로 A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0.05). 혈청 내 나트륨,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Delta}AG$은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며 혈청 내 염소, ${\Delta}HCO_3{^-}$는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열, 구토 기간과 칼륨,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알부민 AG과 $HCO_3$ radio의 검사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염을 보이는 환아들 중에서 BG이 -5 미만인 A군에서는 입원기간과 입원 전 설사 시간, 총 설사기간이 더 길어 임상경과가 좋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검사 결과 또한 혈청 내 나트륨, 총 이산화탄소, 단백질 AG, ${\Delta}AG$, 혈청 내 염소, ${\Delta}HCO_3{^-}$는 BG 범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아기 급성 위장염에서 BG은 임상 경과의 예측 및 치료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value of bicarbonate gap (BG) in acute gastroenteritis by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35 patients who had acute gastroenteritis. W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BG{\leq}-5$ (group A), BG>-5 (group B). We made a comparative study for clinical manifestations, serum electrolyte, albumin, protein,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anion gap (AG), delta anion gap (${\Delta}AG$) and delta bicarbonate (${\Delta}HCO_3{^-}$)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diarrhea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 A than group B. In laboratory findings, serum sodium, serum total $CO_2$, total protein, $AG_{corrected}$ and ${\Delta}AG$ were lower in group A than group B. ${\Delta}HCO_3{^-}$ and chloride were higher in group A than group B. Conclusion : BG may be a sensitive predictor enough to access the severity of acute gastroenteritis.

      • KCI등재후보

        항정신병약물악성증후군에 동반한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 1례

        박규희,정성관,임형은,유기환,홍영숙,이주원,Park, Kyu-Hee,Jung, Seong-Kwan,Yim, Hyung-Eun,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2

        항정신병약물악성증후군은 항정신병약물의 사용과 관련하여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의식변화, 고열증, 근육강직의 특징적 증상을 보인다. 항정신병약물악성증후군 환자에서 고열증과 근육강직으로 인하여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여 합병증으로 급성 신부전이 생기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하며 심한 경우 투석 등의 치료가 필요하며 생명에 위협이 되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보고되지 않던 항정신병약물악성증후군에 동반하여 횡문근융해증을 보인 급성 신부전의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is a rare, but a potentially life threatening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antipsychotics. The most frequent signs and symptoms of NMS include fever, muscle rigidity, autonomic dysfunction such as tachycardia, tachypnea, and labile blood pressure. Acute complications of NMS include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sepsis, seizure, myocardial infarction, acute renal failure due to rhabdomyolysis and death. We report a rare case of acute renal failure due to rhabdomyolysis associated with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 KCI등재

        부산 시각디자인학과 교과과정의 실무연계성에 관한 연구

        박규희(주저자) ( Kyu Hee Park ),송만용(교신저자) ( Man Young S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오늘날 디자인은 인간의 일상적인 삶의 질을 더욱 윤택하게 하는 역할외에도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각광받고있다. 우리의 디자인교육은 대학을 중심으로 1946년에시작된 이후, 기능 중심에서 산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렇지만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제품의 질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차별화된 인력 육성이 요구된다. 이렇게 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인 인력 양성을 위한 초기연구로써 부산지역 디자인대학의 시각디자인학과(전공)의 교과과정이 현장실무와 연계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2011 산업디자인 통계조사>와는 달리 부산지역 디자인학과 교과과정의 업무기여도와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으며 특히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요구함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부산의 시각디자인학과는 현장실무에서 요구하는 디자인적 능력향상과 함께 새로운 디자인 환경에 적응 및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디자인 마인드를 갖출 수 있도록 산학과 융합 디자인교과과정을 확충해야만 할 것이다. In these days many people think, design industries are in the limelight of mass communication as the next generation``s core industries including knowledge based service industry among the next generation powerful growing industries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ies of goods all over the fields of industries and raise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 the level of design should be improved and need differentiate fostering human power policy for raising the level of Design. Executive utilities must be raised for fostering designers need for industries, namely improvements for curriculums of applying to practical affairs. We can find that current curriculums should be organized connecting practical affairs through this research.Therefore, this study will defines the paradigma of visual design in new era and analyzes the goal, current satus and currcula visual design of universitesat in Busan.

      • KCI등재

        신생아 쇄골골절의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

        박규희 ( Kyu Hee Park ),김동영 ( Dong Yeung Kim ),차문영 ( Mun Yeung Cha ),서정식 ( Jeong Sik Seo ),유태환 ( Tae Hwan Yoo ),조용균 ( Yong Kyoo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Rin Kim ),이홍균 ( Hong Kyo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of the neonatal clavicular fracture. Methods: Between January 1993 and December 1996, forty seven cases of neonatal clavicular fractures were studi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Newborns with radiologically proved fractured clavicles wer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of infants delivered immediately before & after the study patients. Maternal, labor, delivery & newborn facto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incidence of neonatal clavicular fracture was 0.398%(47/11806) in singleton full-term vaginal deliveri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shoulder dystocia(p = 0.001), heavier birth weight(p = 0.001), and macrosomia(p = 0.026). No infant with clavicular fracture had an abnormal finding by neurologic examination. Conclusion: Neonatal clavicular fractures occur infrequently during normal vaginal delivery. Shoulder dystocia, heavier birth weight, and macrosomia are associated risk factors, but they are often unpredictable and unavoidable complication.

      • KCI등재

        보에티우스의 『데헵도마디부스』(De Hebdomadibus)에 나타난 프로클로스의 영향 연구

        박규희 ( Park Kyu Hee )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신학 소품』(Opuscula sacra)의 세 번째로 실린 짧은 논고 『실체들이 실체적인 선이 아님에도 그 자신인 한에서 선할 수 있는 방식』에서 보에티우스는 정확히 제목에 드러난 것을 해명한다. 중세에 『데헵도마디부스』라고 알려진 이 책은 실체의 선성을 존재와 존재자의 구별 또는 존재와 본질의 구별, 그리고 관여사상을 통해 다룬다. 공리적-연역적 서술 방법으로 쓰여진 이 책은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나 신플라톤주의의 전통에 놓여 있다. 하지만 작품의 역사적 맥락이 충분히 해명되지 않아 『데헵도마디부스』에서 보에티우스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토마스 아퀴나스의 『데헵도마디부스 주해』는 거기에 담긴 사변적 풍부함과 깊이 때문에 텍스트를 이해하는 한 가지 타당한 해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토마스는 보에티우스의 존재 개념에서 분여되지 않는 존재와 분여되는 존재를 구별함으로써 보에티우스의 관여사상을 조리있게 해명한다. 만일 토마스의 해석이 정당하다면, 보에티우스에게서 나타나는 분여되지 않는 존재와 분여되는 존재의 구별은 프로클로스의 관여구조 분석과 일치한다. In the third treatise in Opuscula sacra titled “Quomodo substantiae in eo quod sint bonae sint, cum non sint substantialia bona” Boethius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revealed in the title: the way in which substances are good insofar as they are not substantial good. This treatise, also known as “De Hebdomadibus” to medieval philosophers, deals with the goodness of substance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existence and the existent, using an axiomatic method. This book, both in content and form, is situated within the tradition of Neoplatonism. However,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work is not sufficiently explained, making it challenging to understand Boethius’ intentions in De Hebdomadibus. On the other hand, Thomas Aquinas’ Commentary on De Hebdomadibus is recognized as a valid interpretation due to its rich and profound analysis of the text. In particular, Thomas elucidates Boethius’ philosophical ideas by distinguishing between unparticipated and participated being in Boethius’ theory of participation. If Thomas’ interpretation is valid, Boethius’ distinction between unparticipated and participated being corresponds with Proclus’ analysis of structures of metaphysical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발열성 요로감염 영아에서 방광요관역류와 연관된 흉선의 크기

        정성관,박규희,임형은,유기환,홍영숙,이주원,Jung, Seong-Kwan,Park, Kyu-Hee,Yim, Hyung-Eun,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2

        목적 : 흉선은 여러 생리학적, 병리학적 상태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면역학적 림프기관이다. 흉선은 스트레스 등에 의해 퇴축되는 반응을 보이며 흉선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은 체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여러가지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요로감염은 영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성 감염이며 방광요관역류는 반복적인 요로감염과 연관성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요로감염 환아에서 방광요관역류가 동반되어 있을 때 요로감염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보다 신체에 더 큰 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흉선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방법 : 방광요관역류이외의 다른 생식기 기형을 동반하지 않은 발열성 요로감염 환아 99명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열 기간, 방광요관역류 유무, 신결손, 신반흔 및 C반응성 단백과 백혈구수와 심흉선/흉곽의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 99명의 발열성 요로감염 환아 중 25명은 방광요관역류가 없었고 74명은 방광요관역류가 존재하였다.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환아군에서 방광요관역류가 없는 환아군에 비해 심흉선/흉곽 비율이 적었다 ($0.382{\pm}0.048$ vs $0.439{\pm}0.079$, P<0.05). 반면,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환아군에서 발열 기간, C반응성 단백과 백혈구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신결손 및 신반흔 유무에 따라 분류한 두 환아군에서는 심흉선/흉곽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요로감염 환아의 경우 방광요관역류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방광요관역류를 가지고 있지 않은 환아들에 비해 흉선의 크기가 작아져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에 흉선의 크기가 작아져 있는 요로감염 환아에게서 방광요관역류를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 Thymus is a lymphoproliferative organ that changes size in various physiological states in addition to some pathological conditions. Thymus is susceptible to involution, and shows a dramatic response to severe stress. Thymic measurements may be helpful in various diseases. UTI (urinary tract infection) is most common bacterial infection in infants and VUR (vesicoureteral reflux) is a common abnormality associated with UTI. In our study, the size of thymus was compared on the premise that a greater stress is exerted on the body when UTI is accompanied by VUR, than when occurs on its own. Methods : Thymic size was measured on standard chest anteroposterior radiographs and expressed as the ratio between the transverse diameter of the cardiothymic image at the level of the carina and that of the thorax (CT/T). The medical records of 99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infants without other genitourinary anomalies except VU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Among 99 patients with febrile UTIs, 25 were febrile UTI without VUR and 74 with VUR. For the UTI with VUR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hymic size compared to the those without VUR group ($0.382{\pm}0.048$ vs $0.439{\pm}0.079$, 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fever and WBC, CRP between the UTI with VUR and UTI without VUR.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ardiothymic/thoracic ratios between renal defects and renal scars in febrile UTI patient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hirinkage of thymus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UTI patients with VUR. Therefore, awareness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thymic size is important for the appropriate work up and management of UTI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