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는 "기술"인가 "신적 영감"인가? -플라톤의 『이온』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와 이온의 논전을 중심으로-

        박규철 ( Kyu Cheol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이온』에서 소크라테스는 음유시인 이온의 성공이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님을 그를 상대로 한 대인논증을 통하여 논증한다. 이 때 그가 전제하는 원리는 기술과 대상 간의 일대일 대웅원리다. 제1부(530a-532c)에서 이온은 자신이 호메로스 시에 정통함을 자랑한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그가 호메로스 시에 관한 전문가임을 자랑하려면,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을 소유하고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그는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에 관한 기술을 전혀 소유하지 못하였다. 그의 성공은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닌 것이다. 제2부(532d-535a)에서, 소크라테스는 시인들과 음유시인을 움직이게 하는 힘은 기술이나 지식이 아니라 신적인 힘임을 강조한다. 소크라테스는 시인과 음유시인이 지닌 신적 영감을 설명하기 위해 ``자석의 비유``를 도입한다. 마치 큰 자석이 주변에 있는 모든 쇠 반지들을 끌어당기듯이, 신적 영감의 원천인 무사 여신들은 시인들과 음유시인들을 연쇄적으로 끌어당긴다. 그리하여 무사 여신들의 신적인 힘은 우선적으로 시인들에게 전달되고, 그들의 힘은 음유시인에게 전달되며, 음유시인의 힘은 시를 듣는 청중에게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쇄과정을 통하여, 소크라테스는 이온의 능력이 기술이나 지식에 근거해 있는 것이 아니라 신적인 힘에 의존해 있음을 주장한다. 이런 점에서 시인이나 음유시인이 지닌 힘은 예언자나 점쟁이가 지닌 힘과 유사하다. 제3부(535b-542b)에서, 소크라테스는 음유시인 이온을 신적 섭리 또는 신적 광기의 지배를 받는 사람으로 규정한다. 기술과 신적 섭리 개념 간의 명확한 대비 속에서, 소크라테스는 이온에 대한 비판을 마무리한다. 이 때 그가 전제하는 원리는 기술과 대상 간의 일대일 대응원리이다.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모든 기술에는 어떤 특정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그 각각의 기술에는 그것과 연관된 고유한 대상이 있다. 기술이 다를 경우 대상 또한 달라지며,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소크라테스는 기술과 대상 간의 일대일 대응원리에 입각해 이온의 지닌 기술적·지적 한계를 비판한다. 결론적으로, 소크라테스는 『이온』에서 시인과 음유시인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아테네 사회에서 호메로스로 대표되는 시인이 가진 사회적·정치적 영향력을 문제 삼는다. 그리고 시인들이 가졌던 아테네 청년들에 대한 교육의 주도권을 전문가인 철학자에게 돌려주려 한다. 『변론』에서 시작된 플라톤의 이러한 문제의식은 『국가』에 가서야 온전히 드러나는 그런 사상이지만, 우리는 『이온』에서 미약하나마 그 기본 구도를 볼 수 있는 것이다. Is Poetry techne or the Divine Inspiration? -Focused on the controversy between Socrates and Ion in Plato`s Ion - Park, Kyu-Cheol(AC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techne and the nature of poetic inspiration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Socrates and Ion in Plato`s Ion. In addition, it demonstrates to prove that Ion has no techne, but is like a soothsayer or prophet in being divinely possessed. Socrates`s argumentation is ad hominem against Ion. In section Ⅰ(530a-532c), Socrates claimed that the success of Ion as a rhapsode was not based on techne. In this regard, his presuppositions follow the principle follow of a one-to-one mapping between techne and subject matter. Firstly, Ion has his self-confidence in that he is an authentic poet of Homer. However, Socrates insists that he should have possessed universally applying to knowledge in order to be proud as an expert on epics of Homer. But, as Socrates judged, Ion has commonly do have much less technical knowledge than the expert. After all, his success is not based on techne. In section Ⅱ(532d-535a), Socrates emphasis the fact that the power to make poet and rhapsode to move is not art or knowledge but ``divine influence``(theia dynamis, 534c). At first, Socrates introduced ``the famous image of the magnet`` to explain divine inspiration that poet and rhapsode have. As if the magnetic stones pull out all iron rings around it, Muse who is source of divine inspiration attracts poet and rhapsode continuously. Therefore, divine inspiration of Muse delivered to poet preferentially and their power delivered to rhapsode and then power of rhapsode finally delivered to audiences who is listening poem. Through above serial process, Socrates insists that Ion`s ability is not based on techne or episteme but relied on divine power. At this point of view, the power that poet and rhapsode possessed is similar to the power that prophets or a soothsayer or prophet have. In section Ⅱ(532d-535a), Socrates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power to make poets and rhapsodes frenzied is not art or knowledge but ``divine influence``(theia dynamis, 534c). At first, Socrates introduced ``the famous image of the magnet`` to explain divine inspiration that poets and rhapsodes have. As if magnetic stones pull out all iron rings around it, Muse, as a sourceful god of divine inspiration incessantly attracts the poets and rhapsodes. Therefore, the divine inspiration of Muse preferentially conveys to poets and their power delivers to rhapsodes and finally to audiences who is listening the poems. Based on these processes, Socrates argues that Ion`s talent is not originated from techne or episteme but from the divine power. Therefore it can be construed that the ability of poets and rhapsodes is similar to that of prophets or soothsayers. In section Ⅲ(535b-542b), Socrates described the rhapsode, Ion was frenzied by ``divine dispensation``(theia moira, 536d) or divine madness. As Socrates ends up with criticism on Ion in a sharp contrast between art and divine dispensation, he concludes that every techne has an ability to perform particular kinds of task since each art has an intrinsic object linked to techne. Thus, if techne is different, subject matter will be different too. As aforementioned above, Socrates restricts the divine dispensation that Ion possessed based on one-to-one mapping between techne and its subject matter. In conclusion, Socrates fundamentally caused social and educational roles of poets rooted from Homer in Athens Society into question in terms of criticism on poets and rhapsodes in Ion. Moreover, he tried to return the initial goal for education on young men of Athenian to philosopher from poet. Amo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forming Plato`s criticical arguments, Ion was ranked a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Apology and Republic.

      • KCI등재

        장-피에르 카뮈는 피론주의자인가? - 『회의적 에세이』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적 피론주의’를 중심으로 -

        박규철 ( Park¸ Kyu-cheol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17세기의 위대한 피론주의자였던 장-피에르 카뮈는 ‘그리스도교적 피론주의’를 완성하였으며, 몽테뉴에게 내재적 단계에 머물러 있던 신앙주의를 외재화시키고 절대화 시켰다. 카뮈는 자신의 저작들 중의 하나인 『회의적 에세이』에서, 이성적 합리성을 비판하고 ‘가톨릭 신앙주의’를 옹호하였다. 카뮈의 철학은 다음 3가지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첫째로, 카뮈는 절대적 신앙주의 하에서 그리스도교적 피론주의를 형성하였다. 그의 회의주의의 밑바탕에는 ‘개신교 합리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었다. 그는 자신의 가톨릭적 신앙주의를 옹호하고 개신교 칼빈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목적에서 몽테뉴의 철학을 수용하여 변형하였던 것이다. 둘째로, 카뮈는 그리스도교적 피론주의를 통하여 체계화된 회의주의를 선보였다. 그의 피론주의에 나타난 구조는 헤겔의 테제(thesis)와 안티테제(antithesis) 그리고 신테제(synthesis)와 같은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몽테뉴나 샤롱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그만의 특징이기도 하였다. 셋째로, 『회의적 에세이』에 나타난 테제는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알려질 수 있는 것은 없다”라는 것이고, 안티테제는 독단주의의 “알려질 수 있는 것은 있다”라는 것이며, 신테제는 피론주의의 ‘판단유보’와 ‘마음의 평안’이었다. 그는 테제와 안티테제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신테제의 유의미성을 확보하였다. 결론적으로, 카뮈는 절대적 신앙주의 아래에서 몽테뉴의 회의주의를 재구성함으로써, 자신의 독창적인 ‘그리스도교적 피론주의’를 구축하였다. 또한 그것을 변증법의 형식을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그리스도교적 피론주의에 대한 옹호를 극대화하였다. 그 후, 카뮈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하여 17세기 서구 회의주의 철학의 양상은 더 다양해지고 풍부해졌다. Jean-Pierre Camus, the great Pyrrhonist of the 17th century, exhibited ‘Christian Pyrrhonism’. In particular, he transformed and externalized the fideism that had been internalized in Montaigne. In Essay Sceptique, one of Camus' writings, he criticized the rationality of reason and defended the fideism of Catholicism. I examined Camus' philosophy from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Camus' Christian Pyrrhonism was formed under absolute fideism. Underlying his skepticism was ‘the fear of Protestant rationalism’. He accepted Montaigne's philosophy in a transformative way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his Catholic fideism and criticizing Protestant Calvinism. Second, Camus introduced a systematic skepticism called Christian Pyrrhonism. The structure shown in his Pyrrhonism has the same systematic structure as Hegelian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These are his only characteristics that could not be found in Montaigne or Charron. Third, the thesis presented in Essay Sceptique is that “nothing can be known” of the Academic skepticism. The antithesis is that “there are things that can be known” of dogmatism, and the synthesis were the suspense of judgment and the skeptical indifference of Pyrrhonism. He secured the significance of the synthesis through his critique of thesis and antithesis. In conclusion, Camus built his original Christian Pyrrhonism by reconstructing Montaigne's skepticism under absolute fideism. Also, by presenting it in the form of dialectic, he maximized his defense of Christian Pyrrhonism. After that, due to Camus's efforts, the philosophy of Western skepticism was developed in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아이네시데모스의 회의주의

        박규철(Park, Kyu-Cheol)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피론주의를 부활시켰던 아이네시데모스는 고대 회의주의 역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처음에는 아카데미 학파의 일원이었으나, 독단주의로 경도된 아카데미학파를 떠나 회의주의자인 피론에게서 새로운 철학의 가능성을 찾았기 때문이다. 그가 부활시킨 피론주의는 크게 다음 3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아이네시데모스의 주저는 『피론의 담화』이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철학자 열전』, 섹스투스의 『피론주의 개요』,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의 준비』에 등장하는 아리스토클레스의 언급 그리고 포티우스의 『도서관』등에 이 책의 단편적인 내용들이 존재한다. 섹스투스와 라에르티오스의 보고는 정당하나, 아리스토클레스와 포티우스의 보고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후자들은 그의 회의주의를 소개하면서 그의 철학적 목적을 인식론적 토대의 부재성에 찾고 있으나, 그의 철학을 인식론적인 것으로 한정하고, 그의 회의주의적 태도를 자기모순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그러기에, 아이네시데모스의 회의주의에 대한 논의는 라에르티오스와 섹스투스의 기록에 힘입어 재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아이네시데모스의 회의주의에는 “이소스테네이아(isostheneia)”에 근거한 양립화의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을 통하여, 그는 모든 문제에 있어서 긍정적인 논증과 부정적인 논증이 동시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나의 이슈에 동일한 힘을 가지고 있는 대립항을 성립시키고 인식론적 판단유보를 이끌어냄으로써, 그는 사물의 한쪽 면만을 절대시하는 인식론적 독단주의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마음의 평안(ataraxia)을 획득할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아이네시데모스 회의주의의 중심에는 10개의 논증방식들(tropen)이 있다. 10개의 논증방식들은 ‘주체에 기인한 논증방식’, ‘판단되는 대상에 기인한 논증방식’ 그리고 ‘주체와 객체 양자에 기인한 논증방식’이 있으며, 3개의 상위 논증방식들은 다시 1개의 최상위 논증방식인 ‘상대성에 기인한 논증방식’으로 수렴된다. 그의 논증방식들은 딜레마적인 형태를 갖춘 10가지 파괴적인 논증방식으로, 판단의 가능성에 대한 그의 논증의 형태이자 체계적인 이해의 산물이다. 아이네시데모스는 이 파괴적인 논증방식들을 사용함으로써, 그는 인식론적 독단주의를 제거하고, 마음의 혼란을 잠재우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아이네시데모스는 새롭게 부활한 피론주의에 최고의 논증방식을 제공한 최초의 피론주의자였다. 물론, 그의 철학에 대한 많은 오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초기 피론주의를 확립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이후, 섹스투스는 이러한 아이네시데모스의 성과에 힙 입어 성숙한 피론주의를 완성한다. Aenesidemus, as a re-founder of Pyrrhonism, shed some remarkable light on the history of the ancient skepticism since he hopefully found a potentiality of a new philosophy from Pyrrhon, a sceptic separated from the dogmatic tendency of the Academy. Pyrrhonism was newly vitalized by Aenesidemus proposes three features, as given below; Firstly Aenesidemus’s major work, Pyrrhonian Discourses, did not survive. There are a few fragments of this book in Lives and Opinions of Eminent Philosophers of Diogenes Laertius, Outlines of Pyrrhonism of Sextus Empiricus, Preparation for the Gospel of Eusebius and Bibliotheca of Photius. Among the mentioned above fragments, statements of Sextus and Laertius have a theoretical justification but reports submitted by Aristocles and Photius seem to appear many problems and questions. While Aristocles and Photius construed that the purpose of Aenesidemus’s philosophy is firmly based on the absence of his epistemology, they as a matter of fact restricted his philosophy to a sort of epistemological product. They also have a fallacy of misunderstanding his sceptic view as a self-contradiction. As a result I strongly propose the skepticism of Aenesidemus has to be rethought and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remnants of Laertius and Sextus. Secondly the skepticism of Aenesidemus shows us how to be compatible with by using a concept of ‘equipollence’. From this view, he suggests that a positive argument can simultaneously be compatible with a negative argument. Namely as making a opponent position of some unit and give it an epistemological break, he flies from the epistemological dogmatism and emphasizes obtaining ataraxia. Thirdly there are ten modes in the center of Aenesidemus’s skepticism. Superordinate to these are three modes: that deriving from the subject judging; that deriving from the object judged; that combined from both. These three are in turn referred to the relativity mode, making it the most generic. His ways are destructive arguments following dilemmatical forms and products from his systematic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y of judgment. As using destructive arguments he wanted to get rid of the epistemological dogmatism and obtain peace of mind. Consequently Aenesidemus is a first Pyrrhonist suggesting a newly regenerated Pyrrhonism by his unique ways of argument. Even though there were not a few misunderstandings and problems, he rightly established the initial Pyrrhonism. After that Sextus successfully completed later Pyrrhonism by Aenesidemus’s great accomplishments.

      • KCI등재

        피론의 회의주의는 피론주의와 연속하는가?

        박규철(Park, Kyu-Cheol)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그리스 철학사에서 피론은 그리스 최초의 회의주의자임과 동시에, 아이네시데모스가 창설한 피론학파의 시조였다. 그는 삶의 문제에 있어서 ‘초연함(adiaphoria)’과 ‘태연함(apatheia)’ 그리고 ‘마음의 평정(ataraxia)’을 강조하였으며, 외부 대상에 대한 ‘이해불가능성(acatalepsia)’과 ‘판단유보(epoche)’의 원리를 정립하였다. 서구철학사에 나타나는 피론의 모습은 다양하고, 기이하며, 이중적이고, 모순적이기까지 하다. 필자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아리스토클레스의 『철학에 대하여』그리고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의 준비』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일차적으로는 그의 회의주의가 피론주의가 아니라는 테오도시오스의 시각을 불식시킴과 아울러, 궁극적으로는 그의 회의주의가 후대의 피론주의와 연속하는 철학임을 밝혔다.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의 준비』에 나타난 아리스토클레스의 토막글들은, 피론 철학에 대한 다양한 모습과 복잡한 해석가능성들을 잘 보여준다. 특히, 아리스토클레스의 단편 C는 복잡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적 토막글이다. 이것에 대한 해석에는 주관적(인식론적) 해석과 객관적(형이상학적) 해석이 존재하는데, 전자의 입장을 대표하는 연구자로는 E. 젤러가 있고, 후자의 입장을 대표하는 학자로는 연구자로는 S. H. 스바르브손과 R. 베트 등이 있다. 그런데, 주관적 해석을 강조하게 되면 피론의 회의주의와 피론주의와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텍스트를 일부 수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객관적 해석을 강조하게 되면, 텍스트를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논리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피론의 회의주의와 피론주의와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이에, 필자는 객관적 해석 또는 형이상학적 해석과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피론을 회의주의자로, 그리고 피론의 회의주의를 피론주의와 연속하는 철학임을 밝혔다. Pyrrho was the first skeptic of Ancient Greece and the father of the Pyrrhonism which was founded by Aenesidemus. He emphasized the indifference, impassivity, and tranquility in the matter of life, and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inability to understand(acatalepsia)’ and ‘suspension of judgment(epochē)’ for external objects. In fact, the appearance of Pyrrho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s diverse. Through the study of Lives and Opinions of Eminent Philosophers of Diogenes Laertius, On Philosophy of Aristocles, and Preparation for the Gospel of Eusebius, I have criticized the Theodosius’ critical attitude towards Pyrrho’s skepticism. Furthermore, I have ultimately stated that the skepticism of Pyrrho is a continuing philosophy with Pyrrhonism. The fragments of Aristocles in Eusebius` testimony(Praep. Evang. 14.18.1-5) illustrate various aspects of the philosophy and complex interpretive possibilities. In particular, C of Aristocles’ fragments is a problematic fragment of complex arguments. There is a subjective(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and an objective(metaphysical) interpretation of this. The scholar who represents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is E. Zeller. Scholars representing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are S. H. Svarbonson and R. Bett. However, emphasizing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continuity between Pyrrho and Pyrrhonism,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ome text needs to be modified. If we emphasize objective interpretation, logic can be secured in interpretation of text, but there is a problem of failing to secure continuity between Pyrrho’s skepticism and Pyrrhonism. Thus, I have shown that Pyrrho is the skeptic and that Pyrrho’s skepticism and Pyrrhonism are in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bjective(metaphysical) interpret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메노도토스는 피론주의자인가? - 『경험주의 개요』에 나타난 갈레노스의 메노도토스 비판에 대한 비판 -

        박규철 ( Park Kyu-cheol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고대 의학 논쟁과 연관된 철학자들 중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인물로는 2세기의 피론주의 계열의 회의주의자이자 경험주의학파의 의사였던 메노도토스가 있다. 후대의 섹스투스 엠피리쿠스보다는 덜 알려지긴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메노도토스는 피론학파의 창시자였던 아이네시데모스와 피론학파의 완성자였던 섹스투스를 매개하는 가교(架橋)적 존재임과 아울러, 피론주의적 회의주의와 의학적 경험주의를 융합시키고자 하였던 독창적인 피론주의자였다. 2세기의 갈레노스는 메노도토스의 이러한 철학에 부정적이었다. 『경험주의 개요』에서 갈레노스는 메노도토스가 피론주의적 회의주의자로서 논리적 일관성을 결여하였다고 비판하였다. 즉 그는 메노도토스가 아스클레피아데스의 독단주의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독단적 표현법을 사용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독단적 표현으로 인하여 메노도토스는 피론주의자로서의 일관성을 상실하였다고 비판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갈레노스의 이러한 비판은 재고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는 피론주의자로서 메노도토스의 본질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피론주의자로서 메노도토스의 본질은 2가지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 즉 메노도토스가 과연 독단적 이론을 주장함으로써 피론주의자로서 일관성을 상실하였는지, 아니면 독단적 표현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비일관성이 발생되었는지 하는 것을 음미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갈레노스의 비판은 이 두 가지 차원을 구분되지 않은 채 이루어짐으로써, 메노도토스를 피론주의자로서의 정체성까지도 상실한 사람으로 묘사하였던 것이다. 그러기에, 메노도토스가 피론주의자로서 일관성을 상실하였다는 갈레노스의 비판은 독단주의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메노도토스가 저지른 비의도적인 오류로 해석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갈레노스의 비판은 표면적으로는 맞으나, 심층적으로는 부적절하였다. Among the philosophers involved in the ancient medical debate, the most notable figure is Menodotus, a Pyrrhonian skeptic and empirical physician in 2nd century. Although less well-known than the later Sextus Empiricus, Menodotus is an intermediate philosopher between Aenesidemus, the founder of the Pyrrhonian school, and Sextus, the completer of the Pyrrhonian school. He was also an original Pyrrhonist who tried to fuse Pyrrhonian Skepticism and Medical Empiricism. However, Galen of the 2nd century was negative about this philosophy of Menodotus. In An Outline of Empiricism, Galen criticized Menodotus for his lack of logical coherence as a Pyrrhonist. That is, he argued that Menodotus used dogmatic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Asclepiades' dogmatism, and criticized that Menodotus had lost his consistency as a Pyrrhonist because of this dogmatic expression. However, this critique of Galen has a problem. Namely Galen does not grasp the essence of Menodotus as a Pyrrhonist. In fact, Menodotus' essence as a Pyrrhonist should be approached from two dimension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enodotus lost consistency as a Pyrrhonist by asserting dogmatic theory, or whether inconsistency occurred in the process of using dogmatic expression. However, Galen's critique was mad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portraying Menodotus as a person who had even lost his identity as a Pyrrhonist. Therefore, Galen's critique that Menodotus lost his coherence as a Pyrrhonis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unintentional error made by Menodotus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dogmatism.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Galen's critique is correct on the surface but inappropriate in depth.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회의주의의 변천과 재발견

        박규철(Park, Kyu-Cheol)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인식론적 접근에 집중하는 현대 회의주의와 달리, “판단유보(epoch?)와 마음의 평화(ataraxia)”를 지향하는 고대 회의주의는 삶에 대한 지적인 태도와 그것의 즉각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헬레니즘에서 르네상스까지 고대 회의주의의 전승사를 통하여, 서구철학사에서 고대 회의주의가 가진 유의미성을 고찰하였던 본 연구는, 다음 3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헬레니즘 시기 고대 회의주의는 삶에 대한 기술로 정립되었다. 고대 회의주의에는 크게 2가지 큰 흐름이 있었는데, 하나는 아르케실라오스와 카르네아데스로 대표되는 아카데미 회의주의가 있고, 다른 하나는 피론과 아이네시데모스 그리고 섹스투스 엠피리쿠스로 대표되는 피론주의 회의주의가 있다. 이후, 아카데미 회의주의는 키케로를 거쳐 솔즈베리의 요한네스에게 이어지고, 피론주의 회의주의는 몽테뉴에 의해서 새롭게 부활하여 번성하였다. 둘째, 중세 시대에 고대 회의주의는 망각과 재인식의 역사를 갖는다. 기독교적 신에 대한 믿음과 초월적 실재론으로 인하여, 회의주의는 탐구와 장려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견제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선봉에 섰던 사람이 바로 아우구스티누스였다. 아카데미 회의주의에 대한 그의 강력한 비판으로 인하여, 서구 사회에서 회의주의는 부정적 인식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12-3세기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정신을 재발견한 솔즈베리의 요한네스와 인간 인식에 대한 회의주의적 작업을 시도하였던 겐트의 헨리쿠스의 등장 이후, 서구사회는 고대 회의주의를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고대 회의주의는 재발견된다. 14-5세기의 플레톤과 필렐포는 회의주의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1562년 스테파누스에 의해서 번역된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피론주의 개요』는 온전한 의미에서 피론주의 회의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번역작업에 힘입어, 몽테뉴는 피론주의 회의주의에 기반 한, 자신의 독자적인 철학을 전개하였다. 『수상록』은 그의 걸작이며, 그 책의 제2권 제12장 “레몽 세봉을 위한 변명”은 회의주의적 사변의 결정체이다. 결론적으로, 철학은 ‘광기’와 ‘독단’에 맞서, 인간 정신의 자유와 평화를 지향해야 한다.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고대 회의주의는 철학의 이러한 본질적 가능을 성실히 수행해왔다. 이런 점에서, 21세기에도 고대 회의주의의 유의미성은 지속될 것이다. Apart from modern scepticism mainly focused on epistemological approaches, Ancient scepticism, which contains “epoch? and ataraxia” as core ideas, lays considerable emphasis on the intellectual attitude on life and its immediate practice. This paper gives heed to the fact that ancient scepticism between the Hellenistic era and the Renaissance, affected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n a meaningful way. Consequently historical lines of concepts could be recapitulated as three remarkable results. First, ancient scepticism in the Hellenism could be explicitly defined the art (tech?) for life. This view can be divided on two currents; One is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representative as Archesilaus, Carneades and the other is highly typical of Pyrrhonism which Sextus Empiricus played a leading role. Later,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was transmitted to John of Salisbury by the hands of Cicero, meanwhile, Montaigne shed a new light on Pyrrhonism. Second, ancient scepticism in the Medieval could not escape accelerating decline and reappraising its historical status. Since that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was bitterly criticized by Augustinus, it has become a direct object of blame and risk. However, Pyrrhonism had forgotten for a long time before appearing John of Salisbury and Henry of Ghent on a podium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former gave a new life on the scepticism of Academy and the latter suspected the cognitive potential of human. Finally, ancient scepticism came to totally rediscover in the Renaissance. Under the light of ancient manuscripts reintroduced, a cornerstone for the study of ancient scepticism was re-established by making efforts of Gemisthus Plethon and Francesco Filelfo. Henricus Stephanus consequently translated and published Outlines of Pyrrhonism written by Sextus Empiricus in 1562. Due to the re-introduction of ancient thinking, Montaigne proceeded to his own philosophy considerably influenced by Pyrrhonism and “Apology for Raymond Sebond” in his book Les Essais has been ranked as a crystal form of sceptical speculation. In conclusion, assuming that the ultimate ‘telos’ of philosophy is the release the human spirit from ‘madness’ and ‘dogmatism’, ancient scepticism must be the most appropriate tool for performing this liberation. In this regard, its overarching role would be consistently requiring for our future life.

      • KCI등재후보

        인문학 위기 속에서 "비판적 사고와 논리" 교육의 사회적 확산 가능성

        박규철 ( Kyu Cheol Park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건지인문학 Vol.6 No.-

        Ultimate rehabilitation of humanities in the crisis of humanities can be achieved during activities of logical expression after critical thinking. Especially, consideration on critical thought and logical expressivity which is inherent function of philosophy cannot be overemphasized. This thesis is result of consideration on social proliferation possibility of critical thought and logic education with divided domain of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y and three types of alternatives such as "Reading classic liberal arts", "Writing facts and figure of proof based on classic liberal arts" and "Graft of administration and humanities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were suggested. Detailed methodologies are as follows. (1) Subject of <Critical thought and logic> for internal domain of university should be connected with education for classic liberal arts and personality education furthermore. (2) Educations for critical thought and logic in domains of private education for essay and selection test for outstanding individual have to promote social proliferation through production and publication of facts and figures of proof which is based on classics of the East and the West. (3) Education for critical thought and logic should develop proper contents such as ``Administrative humanities`` or ``Decision making logics`` under collaboration from industries or government offices. Through above discussion, the fact that education for critical thought and logic is possible for social proliferation was proved.

      • KCI등재

        거짓된 자는 아킬레우스인가 오뒤세우스인가? -『소 히피아스』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와 히피아스의 논전을 중심으로-

        박규철 ( Kyu Cheol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5 No.3

        『소 히피아스』는 플라톤의 대화편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초기의 대화편이면서 가장 ‘특이한’ 작품 중의 하나이다. ‘거짓말’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나, 호메로스 시에 대한 강한 비판이 들어 있다. 소크라테스는 히피아스와의 논전을 통하여 다음 3가지 역설적 결론, 즉 (1) “자발적인 거짓말은 비자발적인 거짓말보다 낫다”, (2) “자발적으로 과실을 범하는 사람이 비자발적으로 과실을 범하는 사람보다 더 낫다.”, 그리고 (3) “자발적으로 수치스럽고 정의롭지 못한 짓을 저지르는 것은 선한 사람의 징표이다.”라는 역설적 결론에 도달한다. 하지만 플라톤은 이러한 역설들을 통하여 ‘정의’와 같은 도덕적 덕은 간단한 지식이나 기술적 능력으로 환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1부(363a-369a)에서,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 히피아스를 상대로 호메로스 시에 나타난 두 주인공, 즉 아킬레우스와 오뒤세우스 중 누가 더 ‘거짓된’ 사람인지를 놓고 설전을 벌인다. 히피아스는 상식적 관점에 기대어 오뒤세우스는 ‘교활한’ 사람인데 반해, 아킬레우스는 ‘진실 되고 솔직한’ 사람이라고 언급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일리아스』에 근거해 오히려 아킬레우스가 거짓말에 능한 사람이라고 평가한다. 이후 논의의 중심은 ‘지식’과 ‘거짓말’과의 관계, 나아가 거짓말에 능한 사람이 바로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역설적 주장에 도달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소크라테스는 히피아스의 테제를 무력화시키는 동시에, 호메로스의 시를 철학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안티스테네스를 간접적으로 비판한다. 제2부(369a-373c)에서, 히피아스는 오뒤세우스에 대한 아킬레우스의 도덕적 우월성을 논증하려 하고, 소크라테스는 그 논증의 허구성을 노출시키고자 한다. 제1부에서 미루어졌던 호메로스 시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소크라테스는 현란한 소피스트적 기교를 선보인다. 특히 『일리아스』에 근거해 아킬레우스의 교활한 ‘계책’, 즉 오뒤세우스에게는 회군하겠다고 한 말과 아이아스에게 그대로 전장에 남겠다고 한 말 간의 모순성을 지적한다. 그 후, 소크라테스는 “자발적으로 과실을 범하는 사람은 비자발적으로 과실을 범하는 사람보다 더 낫다”(372e)라는 역설적인 주장을 피력한다. 제3부(373c-376c)에서는 제2부에서 피력된 역설적 주장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 소크라테스는 광범위한 물리적 행위들과 기술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자신의 논지를 강화한다. 그리고 각종 사례를 통하여 자발적으로 정의롭지 못한 짓을 저지르는 사람이 비자발적으로 정의롭지 못한 짓을 저지르는 사람보다 낫다. “자발적으로 수치스럽고 정의롭지 못한 짓을 저지르는 것은 선한 사람이다”라는 역설적인 주장을 제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대화편의 저자인 플라톤의 진의는 아니다. 오히려 그는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의’와 연관된 도덕적 덕은 간단한 기술적 능력이나 기능의 문제로 이해되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소 히피아스』는 『이온』과 더불어 호메로스 시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는 대화편이다. 특히 이 작품에서 플라톤은 호메로스 시를 철학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안티스테네스를 간접적으로 비판하는데, 이는 『고르기아스』와 『국가』에서 빛을 보게 되는 플라톤 철학에 대한 준비 작업적 성격을 함축한다. It is commonly known that Hippias Minor is one of the earliest dialogues of Plato and the most ``unusual`` works. Despite the fact that it is mostly consisted of a conversation about ``the false``, the main current of this dialogue is a severe criticism against Homer``s epic. Through heated debates with Hippias, Socrates reaches the three paradoxical conclusions; First, "Voluntary lies are better than involuntary ones", Second, "Man who intentionally acts a falsehood is better than unintentionally does", Finally, "Voluntarily doing shameful and unjust things must be a characteristics of good man". However, Plato, relying on these paradoxical conclusions, claims that the moral virtues such as ``Justice`` can never be reduced as simple knowledge or technical competence. In the first chapter (363a-369a), Socrates attempts to have an argument with a Greek sophist, Hippias about the question, "Which of the two, Achilles and Odyssey, is more ``fraudulent``?" Hippias, relying on sound common sense, mentions that Odyssey is ``cunning`` but Achilles is ``true and innocent``. On the other hand, Socrates, with the help of the Illiad, correctly proposed that Achilles is a skillful man of telling a lie. Since then, their debates ar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fraud``, and further come to a paradoxical argument that a skillful liar is a real ``intelligent`` man. Eventually, Socrates naturally make Hippias`` theses nothing, and at the same time criticizes Antisthenes who invariably made an effort to incorporate Homer``s epic into the field of philosophy. In the second chapter(369a-373c), Hippias tries to demonstrate moral superiority of Achilles, more than Odyssey whereas Socrates intends to debunk structural vulnerability of his logical utterance. After that, Socrates reappraising Homer``s epic, he unceasingly shows a number of sophisticated arts as a virtuoso, or Greek sophist, specifically pointing out a deceptive stratagem which Achilles established in the Iliad. Therefore, Socrates recapitulates his arguments as one simple statement that "Someone who voluntarily does a falsehood is better than involuntarily does.(372e)". The third chapter (373c-376c) contains critical reassessments on several paradoxical statements, referred in the second chapter. To strengthen his own arguments, Socrates embellishes with a vast number of physical activities and technical capacities. As well as logical building of his statements, diverse evidences clarify the ironic suggestion, "Voluntarily doing a shameful and unjust thing is proved to be a good behavior." Even though these claims are not supposed to point out Plato``s true intention, in this dialogue, Plato could suggest that moral virtue related to ``Justice``, should not be treated as simple skill and technical competence. In conclusion, there are lots of critical views on Homer``s epic in Hippias Minor together with Ion . Particularly, Hippias Minor could be referred as a pre-phase of Gorgias and the Republic as core dialogues of political philosophy of Pla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