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외로움-이차공통요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광배,이다니,엄진섭,장은진,정안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7 No.4

        본 논문은 외로움이 네 가지의 이론적 관점들을 일차요인으로 포괄하는 이차공통요인(second-order common factor) 개념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여 ‘외로움-이차공통요인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것이다. 외로움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관점의 개인 간 외로움(소원감),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의 실존적 외로움(고립감), 현상학적 관점의 개인 내 외로움(위축된 사교성), 그리고 긍정심리학적 관점의 외로움 예방 및 치유 요인(자기가치감)을 포괄하는 40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는 18세부터 75세까지의 성인 1,170명(문항개발 절차 550명, 척도타당화 절차 62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차공통요인 구조가 명확히 검증되었고, 높은 신뢰도와 준거타당도, 구성개념타당도, 공인(동시)타당도, 변별타당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넓은 연령범위의 성인이 경험하는 다양한 유형의 외로움을 측정하므로,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감의 일반적인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paper is to report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oneliness scale that is based on a second-order common factor model assuming first-order factors incorporating four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toward loneliness. The scale consists of 40 items to measure the sense of estrangement (interpersonal loneliness), reduced sociability (intrapersonal loneliness), the sense of isolation (existential loneliness), and the sense of self-worth as a known preventive and alleviating fact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volving 1,170 respondents between the ages of 18 and 75 clearly showed a second-order common 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four primary 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found acceptable wit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 ranged between .881 and .962. Criterion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ll confirmed as expected. Since the lonelin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measures various types of loneliness experienced by adults in a wide age rang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tool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general reality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society.

      • 범죄자 프로화일링(Criminal Profiling)의 유용성 : 수사실무를 위한 미시적 활용과 정책평가를 위한 거시적 활용

        박광배,배현정 한국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1 No.1

        Criminal profiling is a scientific tool to organize various crime scene information based on psychological theories and psychometric methodologies and to enhance the success probability of crime investigation. In other words, criminal profiling uses various elements comprising the crime scene as if they are items in a psychological test and from the responses of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to those elements, makes educated inferences about the type of the perpetrator. Therefore, criminal profiling is an applied branch of psychology in which personality theories, psychometric methodologies, and investigative techniques are systematically orchestrated. On the other hand, it has not been very well recognized that criminal profiling can provide a useful frame of reference to evaluate and predict the outcome of legal policies regarding crimes.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icro-utility of criminal profiling as an investigative tool as well as its macro-utility as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that provide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es for the evaluation of legal policies. The micro-utility of criminal profiling was explained by reviewing a survey study conducted in the Great Britain. And the macro-utility of criminal profiling as a means to evaluate legal policies was described by using the policy of Korean government called "The Community Notification of Sexual Offenders Against Minors" as a case in point. 범죄자 프로화일링(profiling)은 범죄자 및 범죄행동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과 심리측정이론에 기초하여 범죄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와 단서들로부터 범죄자의 유형을 파악하고, 범죄용의자의 범위를 축소하여 범죄수사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과학적 분석체계이다. 이를 위하여 범죄현장(crime scene)의 여러가지 흔적과 특성이 마치 심리척도의 문항들처럼 활용되고, 이 문항들에 대한 범죄자와 피해자의 반응으로부터 범죄자의 유형이 이론적으로 유추된다. 따라서 범죄자 프로화일링은 성격심리이론, 심리측정방법론, 범죄수사심리학 등이 유기적으로 조화되는 응용심리학 분야이다. 그런데 범죄자 프로화일링은 수사실무를 위한 응용심리학으로서의 미시적 활용성 뿐만 아니라,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범죄와 관련된 국가의 법적, 행정적 정책들을 평가할 수 있는 개념틀로서의 활용성을 가진다. 본 논고는 범죄자 프로화일링이 제공할 수 있는 미시적인 수사실무적 활용성과 거시적인 정책평가적 활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미시적인 수사실무적 활용성은 영국에서의 조사연구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며, 거시적인 정책평가적 활용성은 한국의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공개제도”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성범죄자 프로화일링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예로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국가의 범죄정책에 대한 프로화일링의 거시적 유용성은 심리학이 국가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중심적 논점은 심리학이 과학적인 프로화일링을 구현하기 위하여 측정, 사회, 임상, 상담, 발달, 인지, 생리 등의 모든 세부분야에서 그동안 축적되어온 이론과 지식을 보다 적극적이고 유기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정폭력에 대한 법제도적 대안: 치료적 사법이념의 관점

        박광배,지형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4

        A review of literature revealed that damaged self-confidence of men as social agents may be the primary, if not proximal, cause of domestic violence. Accumulated damages in social confidence and self-assurance may be moderated by action repertoire acquired during childhood, and mediated by adulthood circumstances such as marital discords and the lack of social support to result in the typical cycle of violence and subsequent feeling of remorse. The present treatments for the domestically violent men in Korea seem to be ineffective to reduce the number of incidents in the society because the treatments are viewed as punishments by the men, damage their social confidence further by stigmatizing them in the community, and destroy their social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It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o reduce the role of law enforcement and correctional administration to rehabilitate the currently violent men.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suggested for the Korean court to implement the paradigm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in handling domestic violence cases. It was argued that the court should take active roles as a healing and rehabilitating agent by cooperating with non-government community establishments such as hospitals, universities and self-help organizations. The reasons and implications of those suggestions were discussed in detail. 가정폭력은 아동기 경험에 의하여 폭력이 행동 레파토리로 학습된 남성이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존감을 손상하는 경험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이고, 결혼생활의 조화와 사회적 지지는 이 스트레스를 증폭하거나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가진다. 가정폭력 사범의 교정을 위한 한국의 현행 제도는 교정과 치료가 교도행정기관에 의해 주도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치료라기보다 대체형벌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서 그 효과를 낙관하기 어렵고, 지역사회에서 낙인효과를 유발하여 재적응을 어렵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재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가정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법적 대처는 치료적 사법이념의 패러다임을 제도적 대처방안으로 섬세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치료적 사법이념의 핵심은 법원이 지역사회 및 다른 행정기관과 협력하여 범죄자의 치료와, 교정, 그리고 갱생을 위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