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 근린공원의 축제공간적 활용에 관한 연구

        박경민 ( Kyeong Min Park ),정욱주 ( Wook Ju Jeong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3

        In 2011, neighborhood parks occupied a total area of 280,135,257㎡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y areas and this excluded the metropolitan regions. In the rural area, the park area per person(22.64㎡) is larger than the urban area(9.50㎡). It is a questionable why there is a higher park ratio in the rural area compared to the cities, where the function of the neighborhood parks is not being utilized well. But, there are already a lot of parks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s and a lot of money is being spent in maintaining them. Hence, rather than reducing the number of "country park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se "country parks" ought to be utilized in a different manner than the parks in the city. In that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of the country park usage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the local festivals within the parks. First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neighborhood parks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and analyzed those results. Secondly, daily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find the usage of the rural park which were then analyzed. Then, the extraction of the essential points in composing the festival space was carried out. Also, the general design guides of making the neighborhood parks were drawn. Last but not least, using these two resources, this study suggested design guidelines for using neighborhood parks as a Festival Space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 스마트 온실에서 장미와 멜론의 생육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체정보 모니터링

        박경민(Gyung Min Park),김한나(Han-Na Kim),석영주(Yeong Ju Seok),김정연(Jeong Yeon Kim),신수경(Su Kyeong Sin),이민규(Min Kyu Lee),박진희(Jin Hee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농업 인구가 줄어들고 정밀 농업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면서 최근 스마트 온실이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 온실은 자동으로 온습도 등 환경 조건과 양수분의 공급을 식물 생육에 최적화된 상태로 제어한다. 식물생육에 적합한 상태로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식물의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면 생육 정보를 비파괴적이고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 줄기에 전극을 꽂아 식물이 양수분을 흡수할 때 생기는 식물체 내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식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함으로써 스마트 온실에서 장미 및 멜론에 최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진천의 장미, 음성의 멜론 농가에서 생육 환경에 차이가 있는 3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대기온도, 습도, CO₂,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FD), 배지 EC, 배지온도, 배지수분에 따른 장미와 멜론의 생체정보인 수체 EC를 모니터링 하였다. 장미의 경우 배지 EC와 수체 EC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다른 환경 요인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멜론의 수체 EC는 대기온도, 배지 EC, 배지온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배지수분, 상대습도, 대기 중 CO₂ 농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대기온도가 증가하면서 증산이 증가함으로써 수분 흡수가 증가하였고 배지 EC와 배지 수분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의 양수분 흡수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산화탄소가 수체 EC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이유는 식물의 하루 주기에 따라 낮에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밤에 호흡에 의한 영향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수체 EC를 모니터링하면서 이상값이 나타나는 경우 생육 환경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수체 EC를 평가하여 스마트팜에서 생육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 환경에 따른 반응은 생육 뿐만 아니라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생체정보와 생산량을 연계하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수체 EC는 작물 생육의 모니터링과 생육 지표로써의 사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 요소 처리 토양에서 목초액이 질소 용탈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석영주(Yeong Ju Seok),김한나(Han-Na Kim),박경민(Gyung Min Park),김정연(Jeong Yeon Kim),신수경(Su Kyeong Sin),이민규(Min Kyu Lee),박진희(Jin Hee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질소는 작물의 생육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원소지만 질소 비료를 농경지 토양에 공급했을 때 작물에 흡수되지 않은 질소는 다양한 형태로 변환되어 수계나 대기 중으로 유실된다. 토양 중 질소의 손실은 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부영양화나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목초액을 처리한 토양의 urease 활성이 저해되어 요소에서 암모늄태 질소의 용출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목초액은 숯을 만들 때 발생하는 연기를 액화시킨 갈색 액체로 식물의 생육을 증진하고 병해충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목초액의 처리가 토양에서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용탈실험은 컬럼에 토양만 채운 것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토양 컬럼에 목초액을 첨가한 것, 요소만 첨가한 것, 목초액과 요소를 같이 처리한 것으로 총 4개의 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일정 기간마다 증류수로 용탈시켜 용탈액의 암모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용탈액의 암모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 농도는 각각 indophenol blue 법과 vanadium chloride를 이용한 발색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조구와 목초액만 처리한 경우 질소의 용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요소 처리구에서는 처리 직후부터 질소가 용탈되었다. 그러나 목초액을 요소와 같이 처리하였을 때 암모늄태 질소의 누적 용탈량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목초액에 의한 urease의 활성 저해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질산태 질소의 경우 목초액을 요소와 같이 처리하였을 때 누적 용탈량이 감소하였으나, 목초액과 요소의 혼합 처리구와 요소 처리구의 누적 그래프를 비교하였을 때 혼합 처리구의 용탈량이 요소처리구의 용탈량보다 증가하는 구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질소의 용탈량 변화를 평가해야 하며 목초액 처리 농도가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