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L-arginine administration and/or aerobic exercise on IGF-I and lipid profile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rat

        민진아,박석,성기운,채창훈,김지연,노종철,우도영 한국운동영양학회 2012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16 No.4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and/or L-arginine on Insulin growth factor-Ⅰ(IGF-Ⅰ) and lipid profile in high fat induced obese rat. For our experiment, male Sprague-Dawley rats (n = 32) at age 6 week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1) High fat diet (HF), (2) HF with Exercise (EX), (3) HF with Arginine injection (ARG), (4) HF with EX + ARG (EX + ARG). The groups performed the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 After the program, blood was collected from left ventricle f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GF-Ⅰ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EX + ARG and ARG (p < .05)while IGF binding protein (IGFB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otal cholesterol (TC) and LDL-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 + ARG and EX (p < .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mbination of regular aerobic exercise and L-arginine consumption might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by increasing IGF-Ⅰ and decreasing TC and LDL-C.

      • KCI등재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와 심리적 관련 요인의 영향

        민진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심리적 관련 요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력과 부부 공통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의 10차(2015년)부터 16차(2021년)까지 7년간 조사된 자료 중 맞벌이 확대기부부(부부 252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의 변화(초기치와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 차이를 분석하고, 심리적(자아존중감, 우울)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관계만족도의 전반적인 변화양상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선형변화모델의 유의미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율의 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족관계만족도 증가 정도는 개인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는 초기값의 수준에 따라 변화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 배우자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개인의 우울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편의 우울은 아내의 초기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정책의 방향이 ‘가족과 개인의 삶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에 따라 정책 마련 시 맞벌이 확대기 가족뿐 아니라 아내·남편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 수준과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의 공통요인인 남편의 우울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직장 환경 자원인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등을 활용하여 부부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개입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uples in the expanded workforce,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common factors of couples. Metho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0th (2015) to 16th (2021)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were collected over a seven-year perio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differences i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wives and husbands, and to test whether psychological (self-esteem, depression) factors affect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overall change pattern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but it was confirmed to increase continuously through the significance of the linear change model, and the variance of the change rate of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s between individuals. Second, the degree of change i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itial value. Third, individual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uples. On the other hand, spousal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individual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husband'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fe's initial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Conclusions: As the direction of policy has shifted to 'supporting families and individual liv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and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not only for working families but also for wives and husbands when preparing polic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usband's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factor i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stablish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levels of couples by utilizing workplace resources such as EAPs.

      • KCI등재
      • 북한의 정부조직연구: 특징과 비교

        閔振 國防大學校 1999 敎授論叢 Vol.16 No.-

        이 연구는 북한 행정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하여 북한의 중앙정부조직을 분석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조직을 국가기능별로 분류한 후 시대적 흐름을 분석하고, 북한의 정부조직을 사회주의국가들의 그것과 비교를 하며, 북한의 정부조직을 남한의 정부조직과 비교를 함으로써 북한의 행정조직의 존재와 위치를 확인하려 하였다. 즉 북한의 정부조직을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으로 비교를 할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조직과 국가기능을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정부조직에 대한 이론적 언명을 발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북한의 행정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려 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정부조직구조의 분석에 관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중앙정부조직 자료를 분석하여 이에 대해 해석하는 형태로 논지를 전개하려 한다. 연구결과 북한의 중앙행정기관은 사회주의 국가 중 중간 정도 규모를 갖고 있으며, 기능상의 구조도 다른 사회주의국가 특히 중국과 상당히 유사하다. 그것은 북한의 정부조직이 구소련과 중국의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중국의 제도를 많이 모방한 것으로 보이다. 한편 1998년 이후 북한은 신헌법의 개정으로 조직의 수가 축소되고, 위원회가 크게 감축되는 등 급변하고 있으나 대한민국(남한)에 비해 그 수가 많고 기능도 1 ․ 2차 산업위주의 담당부서로 분화되고 있어 앞으로 통일이 됐을 때 대규모의 행정통합이 요구된다고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