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현 효과’ 중심의 한국어 높임 표현 교수-학습 방안

        민지훈,김규훈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learnig way for the Korean honorific expression focused on the expressive eff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Korean Advanced learners could propose performative activities that utilize and reflect on the effects of height expression in their daily lives beyond understanding the honorific express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at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honorific express effective was confirmed. At this point, this study arranged curriculum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a related study of Korean education. Then, the pedagogical contents of the expressive effects in the honorific expression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edagogical transformation theory, the contents of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existing honorific expression were analyzed critically, and the pedagogical contents of the honorific expression focused on the expression effect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pedagogical contents, this study proposed learning activities of the honorific expression focused on expressive effects. A dialogue in which grammatical elements of the honorific expressive effects were prominently used was constructed, and activity questions were devis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honorific expression. 이 연구는 표현 효과 중심의 한국어 높임 표현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높임 표현의 지식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일상생활에서 높임 표현 효과를 활용한 의사소통 방안을 열어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높임 표현 효과의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때 표현 효과와 높임 표현의 효과에 대한 교육 내용이 체계화된, 한국어 교육의 인접 학문인 국어교육에서 관련 교육과정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어 교육의 높임 표현 학습을 위한 교수학적 내용을 구성하였다. 한국어 고급 학습자 대상 교재에서 높임 표현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교수학적 변환론에 입각하여 표현 효과 중심의 높임 표현 교육 내용을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표현 효과 중심의 한국어 높임 표현 학습 활동을 제안하였다. 표현 효과의 높임 표현에 대한 문법 요소가 두드러지게 사용된 대화문을 구성하고, 높임 표현 효과를 탐구할 수 있는 수행적 활동 문항을 구안하였다.

      • KCI등재

        The Possibility of Archetypal Cogitation and Succession Education in East-West Mythological Texts

        민지훈,전한성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2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current education about myths can instill a prejudice against myth in the learner, by pursuing the interpretation embedded in the historical functionalities centered on the founding of myth. To solve this problem,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mythological succession in pursuit of ‘integr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ased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myth, the contents system of mythological succession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stablished. First, The core of mythological succession education is to enable learners to realize that mythology is the basis for shaping logical models that can solve conflicts in human life, and that modern people are the basis for forming desirable life attitudes. Second, the education of mythological succession can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inguistic growth of individuals,’ ‘the critical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the inheritance of language cultural heritage.’ Third, the contents system of mythological succession education is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interpreting mythical text and applying the result to life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myth and the topic of myth, embodied in the ess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which are the core concepts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lassical literature can be useful as an educational sanction for the succession of tradition. We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discussions.

      • KCI등재

        ‘주제 통합적 읽기’ 관련 국어과 성취기준의 실행 방안 탐색

        민지훈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핵심 문식성으로 대두되고 있는 ‘주제 통합적 읽기’의 개념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의 적용 양상을 살피고, 국어과 교수·학습 맥락에서 ‘주제 통합적 읽기’를 실행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탐색하는 데 있다. 미래 사회의 구성원은 읽기 목적에 따라 다양한 텍스트들로부터 정보를 탐색, 비교, 통합, 평가, 재구성하는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주제 통합적 읽기는 이러한 역량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주제 통합적 읽기의 개념을 맥락, 중핵 요소(개념), 과정의 측면에서 규명하고, 그 개념이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과정의 구조’ 개념을 활용하여 주제 통합적 읽기 교육을 위한 실제 교과서 단원을 설계해 보았다. 논의의 결과는 ‘교육의 실제와 매개된 이론’을 추구함으로써 교육 현상의 개선을 모색하는 국어교육학 이론의 지향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공무도하가」의 정동(情動) 읽기 교육 내용 연구

        민지훈(Ji-hoon Min),전한성(Han-sung J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의 실천 측면에서 「공무도하가」의 해석을 다양하게 도출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를 「공무도하가」 해석 방법의 하나로 제시하였다.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는 학습자들에게 문학의 심미적 사고를 체험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 결과 학습자는 문화적 이데올로기들의 대립 속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주체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탈문화적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문화를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이러한 국어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하여, 「공무도하가」와 그 배경설화를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 방법으로 해석한 뒤, 그 결과를 교수학적으로 변환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 해체적 관점의 본질적 의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언어 이데올로기의 해석’이라는 이념 측면에서 해체적 관점과 궤를 같이하는 페어클라우(Fairclough, N.)의 비판적 담화분석(CDA) 단계를 개념틀로 원용하였다. 구성된 교육 내용은 전이(transfer)를 중심으로 하는 핵심역량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을 지향하는 현대의 교육 사조에 부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to derive various interpretations of 「公無渡河歌」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 To this end, 'reading affect based on a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was suggested as one of the interpretation methods of 「公無渡河歌」. Reading affect based on a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esthetic thinking of literature. As a result, students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a subject that can be formed in various and complex ways when confronting cultural ideologies and cultivating the ability to analyze culture independently in a decultural context. Based on this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公無渡河歌」 and its background fork tales were interpreted as a reading affect based on a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he results were transformed into didactic transposition and the educational content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didactic transposition,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stage of Fairclough (N.)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in terms of the ideology of 'interpretation of language ideology'. The composed educational content is consistent with the modern educational trend aimed a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ies centered on transfer.

      • KCI등재

        〈단군신화〉의 원형적 의미를 활용한 자기 신화 쓰기 교육 연구

        민지훈(Min Ji-hoon),전한성(Jeon Han-sung)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6 No.-

        본 연구는 〈단군신화〉의 원형적 의미를 활용하여 자기 신화 쓰기의 교육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군신화〉의 원형적 의미를 레비-스트로스(Lévi-Strauss, C.)의 구조주의 신화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도출하고, ‘자기 신화 쓰기’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기 서사와 신화 간의 의미적 유사성을 함의하는 ‘언어적 매개 활동’임을 규명한 후, 〈단군신화〉의 원형적 의미를 활용한 자기 신화 쓰기가 ‘개인의 언어적 성장’과 ‘언어 문화 유산의 계승’ 측면에서 국어교육적 의의를 지닌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둘째, 〈단군신화〉의 원형적 의미를 활용한 자기 신화쓰기의 목표를 이해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Apply)’, ‘해석(Interpret)’, ‘관점(Perspective)’ 측면에서 상세화하고, 교육 내용을 ‘지식과 수행의 연계’ 및 ‘과정 중심의 원리’ 활용, ‘기억된 과거-인식된 현재-예견된 미래’의 통합적 조망을 원칙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에게 서사 윤리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고전 텍스트의 해석을 학습자의 삶과 연계하여 다양하게 추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personal-mythos by utilizing the archetypical meaning of 〈Dangun Myth〉.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archetypical meaning of 〈Dangun Myth〉 is derived using the structuralist mythological research method of Lévi-Strauss (C.), after confirming that writing a Personal-myths is a linguistic mediated behavior that implies the semantic similarity between the experience-based self-narrative and the myth, it was argued that writing personal-myths using the archetypical meaning of 〈Dangun Myth〉 has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individual linguistic growth” and “the succession of language and cultural heritage”. Second, the goal of writing personal-myths using the archetypical meaning of 〈Dangun Myth〉 is detailed in terms of “Apply”, “Interpret”, and “Perceptive” of the Understanding by Desig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ere organized using the ‘interconnect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and ‘process-centered principles’ and the integrated view of ‘remembered past-recognized present-predicted fu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to internalize the value of narrative ethics and embodies the possibility that interpretations of classical texts can be pursued in various ways in conjunction with learners’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