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탈북청소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문희정(Moon Hee-Jeong),손은령(Son Eun-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들이 대학생활과 적응과정에서 겪는 경험들과 심리·정서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대안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의 과정은 연구 참여자의 교육적 경험, 진로선택과정에서의 특성, 대학생활과 적응과 관련한 의미 있는 통찰을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북한에서의 경험뿐만 아니라 남한의 적응과정에서의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3차원에의 경험과 상호작용을 주목하여 내러티브 탐구로 진행하였다. 면담과정에서 드러난 3차원의 공간에서의 결정적 사건의 분화과정을 참조하여 연구 참여자의 어린 시절부터의 시간의 연속성을 따라 북한과 남한이라는 장소적 변화에 따른 경험과 사회적 관계들을 연대기적으로 분류하였고, 그 분류된 경험들은 각각 문화적응, 학업적응, 진로결정, 심리적 특성 등의 대주제와 하위주제들을 범주화, 해석,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북한에서의 가정환경과 탈북과정에서 가족해체를 경험하였고, 북에서의 교육적 배경으로서 학업중단, 남한학교에서의 문화적응, 학업적응에서의 기초학력과 학업부담에 의한 심리·정서적 스트레스, 휴학, 진로갈등, 진로불안, 진로장벽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첫째, 문화적응이 발달시기의 특성에 따라 학업적응과 진로경로에서의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둘째, 학업적응 측면에서 학교 형태에 따라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기초학력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는 징검다리 교육으로서의 전문적이고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였다. 셋째, 주도적인 진로결정과 진로부적응을 합리적인 사고로 전환시킬 수 있는 조력이 필요하였다. 넷째, 탈북과정의 한계적 경험과 남한입국 이후의 적응과정에서 심리, 정서적 어려움에 노출되어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원이 확대·심화가 필요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after graduating from the alternative school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fectors in college life and adaptation process. So this study could provide meaningful insight in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and university life and adaptation. Method: In this study, not only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North Korea, but also the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of time, sociality, and place in South Korea s adaptation process, focused on narrative inquiry. Based on the continuity of the time since childhood, we classified the experiences and soci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lace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chronologicall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critical events i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revealed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categorized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erpreted, and verified for mainstreaming and sub-topics such as cultural adaptation, academic adjustment, career decis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I experienced family dis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family life in North Korea and the breakup of the family in North Korea. I experienc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ress, absenteeism, career Conflict, career anxiety, and career barriers.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adaptation was closely related to academic adaptation and experience in the career path,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timing. Second, it wa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s a stepping - stone bridge education which could complement the basic education problems which should be done 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in terms of academic adaptation. Third,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ssistance to transform leading career decision and career maladjustment into rational thinking. Fourth, it was necessary to expand and deepen the official and informal support exposures to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fter immigration to South Korea.

      • KCI등재

        심리적 안정감이 높은 학교의 특성 : 교장 리더십을 중심으로

        문희원(Heewon Moon),김시은(Kim Sieun),김옥결(Kim, Okkyol),이승민(Lee Seungmin),임주현(Lim Joohyeon),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되던 리더십 유형에서 벗어나, 바람직한 학교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교장 리더십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정감, 즉 조직 내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사소통에 참여해도 아무런 불이익을 당하지 않으리라는 믿음 형성을 바람직한 학교문화로 상정하였다. 심리적 안정감이 구축된 사례로 A 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학교 교사와 면담을 통해 학교 및 리더십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A 초등학교 교장의 리더십은 ‘신뢰를 주는 리더십’, ‘수업과 교사를 지원하는 리더십’, ‘비전공유를 위해 노력하는 리더십’, ‘자신의 권위를 내세우지 않는 리더십’, 그리고 ‘교사의 의견을 존중하는 리더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외에 교육철학을 공유하는 교사공동체 문화, 논의해서 결정하는 문화와 같이 기존부터 이어지던 A 초등학교의 문화적 요인과 작은 학교라는 환경적 요인, 혁신학교와 내부형 교장공모제라는 제도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구축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심리적 안정감 구축을 위한 일반 조직의 리더십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학교 조직의 심리적 안정감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incipal leadership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positive school culture. In this study,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a theory that explains the belief of organization members will not be disadvantaged even if they freely participate in discussion, was assumed as a positive schoo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those of principal leadership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e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here psychological safety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principal leadership, which can be summarized as trustworthy leadership , supportive leadership , shared leadership , leadership without authority , and respectful leadership ,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building psychological safety. Analysis also revealed that cultural,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factors, as well as principal leadership, affected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Specifically, factors such as teacher community, decision making process, school size, Innovation school, and the Internal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 (IORSP) interacted in a complex manner to create psychological safety.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leadership to build psychological safety in general organizations, and recommendations with regard to building psychological safety in school were suggested.

      • 3D 컴퓨터그래픽스에서의 카툰렌더링에 관한 연구

        문희정(Moon, Hee J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5 No.-

        3D에서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최근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에서 눈에 띄게 볼 수 있는 것이 2D느낌이 나는 3D컴퓨터그래픽스의 표현이다. 이것을 비사실적 렌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 이라고 한다. 3D컴퓨터그래픽스는 렌더링 방식에 따라 사실성을 추구하는 포토리얼리틱 렌더링(PHOTOREALISTIC RENDERING)과 사람의 손으로 그린 듯 한 느낌의 비사실적 렌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법의 비사실적 렌더링 (NON-PHOTOREALISTIC RENDERING)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면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 응용범위도 매우 확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3D컴퓨터 그래픽스 기법 중 배사실적 이미지 기법(Non-photo Rendering)의 범주에 속하는 카툰렌더링(Cart∞n Rendering)기법을 분석하고 카툰렌더링(Cartoon Rendering)에 대한 표현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a lot of studies for expression technique in 3D. And now here is the expression of 3D graphics with 2D feeling on recent animation and game. It was called “non-photorealistic rendering”. The 3D graphics are divided by rendering method, one is photorealistic rendering which pursue reality and the other is non-photorealistic rendering which is hand writing feeling. The non-photorealistic rendering have a purpose to make a picture with hand writing feeling for making the picture of human friendly. Nowadays, the field of non-photorealistic rendering techniques are being expanded so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various other fields. So it was expected lots of studies will be performed and applicable fields are also expanded dramatically.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e method of cartoon rendering about non-photorealistic rendering of 3D computer graphic technique and presents the expression of cartoon render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해외조림사업 추진체계 개선방안

        문희철(Hee-Cheol Moon),임영세(Young-Se Lim) 한국통상정보학회 2007 통상정보연구 Vol.9 No.1

        With the effectuation of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and Kyoto Protocol in 2005, ever growing concern on the importance of overseas forestation is diffusing worldwide. However, fierce international competition to secure overseas forestation sites, inherent uncertainty in UNFCCC or overseas forestation projects, and imbalances among policies on overseas natural resources developmen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Korean long-term overseas forestation objective to secure 1 million ha by 2050. In view of necessity of overseas forestation project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securing sinks of carbon to mitigate climate change, various efforts to reform current Korean overseas forestation systems are required.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lternatives to improve current Korean overseas forestation systems including expanding financial support for overseas forestation projects, cultivating overseas forestation experts, establishing official organization for overseas forestation, constructing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overseas forestation projects, foster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forest resources, and so on. Many theoretical, empirical or policy-oriented studies on the influences of UNFCCC and countermeasures on it in various Korean industries should follow this study.

      • KCI등재

        한국교원교육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 정권별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문희원(Moon Hee Won),서지현(Suh Ji Hyun),김시은(Kim Si Eun),엄문영(Eom Moon 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한국교원교육학회’는 한국의 교원 교육에 관한 연구 및 협의를 통해 그 개선과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으며, 「한국교원교육연구(이하 교원교육연구)」를 연 4회 발간하고 있다. 교육행정 연구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여러 학회 중 하나로서 해당 학회의 정체성을 보다 분명하게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발간 중인 학술지의 연구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 시도되었던 분석 준거들뿐만 아니라 ‘의미연결망 분석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관점으로 「교원교육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학술지를 정권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각 정권의 교육공약과 실제 한국교원교육학술지에서 다루어지는 연구 내용의 유사성 및 관련성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교원교육연구」의 연구들은 각 정권에서 중점적으로 이슈화되었던 교육 주제들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현장 교원의 연구 참여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실제 현장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의 비중도 함께 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교원교육학회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is quarterly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KSSTE), the research association founded for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study. There are other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the similar aim, develop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Therefore, it is crucial to differentiate the identity of KSSTE from others,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allows us to clarify the identity. This study aimed to look back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especiall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at is allowing new and broaden perspective in reviewing research trends. Furthermore, we analyzed research topics by the regime and reasoned inductively the relation between research topics and educational policies of each regim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It seems that th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have reflected educational issues at each period, and the proportion of theoretical-practical research was also increasing as the participation rate of field teachers increased rec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KSS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