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와 그 문제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본 글은 라캉의 주체 개념 및 이것의 연장인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정의들에 내포된 문제들을 비판한다. 라캉이 제공하는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를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가 이론화하고 개념화한 저 다양한 정신분석학적 용어들, 즉 상상계, 상징계 그리고 실재계의 관계성,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구분, 남근과 기표의 의미, 타자와 욕망, 의식과 무의식, 소외와 분리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용어들의 사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제 2장에서 상상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상징계와 자아 이상 사이의 관계를 논구할 것이다. 그렇게 하여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차이와 유사를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제 4장에서 타자, 욕망 그리고 무의식적 주체 사이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제 5장에서는 라캉이 말하는 남근과 기표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제 6-7장에서는 상기의 분석들을 토대로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본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는 주체 이론 및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이론의 전체적 의의 및 그 한계를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그런데, 물론 결론의 장에서 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전체적으로 비판하기 이전에 각 장들의 말미에서 그 장의 핵심적인 관념들을 비판하는 책무를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다. 필자의 최종 결론은 이것이다. 라캉과 라캉 학파의 성차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최소한의 객관적인 의미라도 가지려고 한다면, 그것들은 궁극적으로 해부학적 차이에 근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 of Lacanian subject and the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and criticizes some problems of those definitions. It seems to me, to do so,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precisely the core terms of psychoanalysis quoted by Lacan. We should analyze the basic meanings and the relation of the Imaginary, Symbolic and the Real, of ideal ego and ego ideal, of phallus and signifier, of desire and the other,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alienation and separation, etc. I'm going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inary and the ideal ego in chapter 2, and then, deal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ego ideal in chapter 3. I'll explain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ego and ego ideal through those discussions. In chapter 4, I'm planning to explain the relation among the other, desire and the subject of unconsciousness. In chapter 5, I'll analyze the meaning of phallus and signifier. I'll criticize the Lacanian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on the basis of the work made in former chapters. These discussions will lead to my final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f Lacanian subject and the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are only dependent on reductionism regarding everything as symbolic, which has in itself a lot of contradiction. In order that All discussions about sexual difference have at least a objective meaning, they have to rely on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 KCI등재

        쟈크 라캉의 ‘오브제 a’ 개념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0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을 역사-비판적으로 재구성하여 정신분석학의 의도, 목표, 의의 및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국내에 라캉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풍부하지만, 거의 대부분 라캉에 대한 영어권 연구서들의 번역서들이다. 이에 라캉을 전공하지 않은 자들이 그러한 역서들을 직접 접할 경우, 정신분석학이 도대체 무엇을 하는 학문인지 체계적으로 명료하게 이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사실 정신분석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이해하기를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정신분석학은 데카르트 또는 훗설 등이 구성하는 명증적 의식철학을 가장 거부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자는 우선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아무리 비합리적인 것일지라도 합리적인 언어를 통한 이해를 제공하지 못할 경우, 그러한 비합리성은 비합리성으로서의 지위조차 가질 수 없겠기 때문이다. 논자가 볼 때,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바로 ‘대상’ 개념, 보다 정확히 말하면, ‘대상 a’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 a’가 정신분석학의 또 다른 주요 개념들, 즉 증상과 기표, 주체와 대타자, 무의식과 향락, 욕망과 욕동, 분석기법 등과 가지는 관계성 및 의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고를 통한 논자의 일관된 주장은 이러하다. 우선 첫째로 라캉의 ‘대상 a'는 칸트의 물자체에 비유될 수 있는 것으로 우리의 심리적 현상을 풍부하게 기술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의 은유적 특성으로 인해 정신분석학을 과학이라기보다는 철학적 해석학으로 간주하게 된다. 둘째로 라캉의 자아, 이상적 자아, 자아 이상, 초자아 사이의 구분 및 관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사이의 구분 및 관계, 그리고 요구, 욕구, 욕동, 욕망 사이의 구분 및 관계는 프로이드의 무의식, 전의식, 의식 사이의 구분 및 관계와 이드, 자아, 초자아 사이의 구분 및 관계만큼이나 애매모호하다. The concept of the objet petit a is Lacan's most original contribution to psychoanalytic theory. The lower case “a", the initial letter of "autre" indicates an essential relation to th Other but is also intended to designate an algebraic variable or function in the mathematical sense. Within the compass of the object a Lacan gathers the partial objects relevant to Freudian stages of development - oral, anal, phallic - but also adds some of his own the mamilla, feces, the phallus, the urinary flow. first, the objet a is suspended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belonging to both and neither. It simultaneously designates what is most other in the Other. Paradoxically inner and outer, the objet a is a small part of the subject that detaches itself from him while still remaining his, still retained. It is therefore something of the subject's own, indeed the most intimate part, yet it always. appears elsewhere, outside the subject and eluding its grasp. Secondly, the objet a is also liminal in the sense that it participates in all three of Lacan's fundamental categories of imaginary, symbolic, and real, yet belongs exclusively to none of them. But the being that Lacan's psychoanalytic theory supposes is heterogeneous to signifiers and their play, their differentiality and irreducible to objectivity, to the imaginary counterpart of consciousness, the perceived being that one ca lay one's hand on and which one can manipulate, or which can be submitted to scientific investigation. That's why there is no other entry for the subject into the real except the fantasy. So closer to philosophical hermeneutics is psychoanalytic theory rather that scientific truth.

      • KCI등재

        도착증에 대한 프로이트와 들뢰즈의 논쟁에 대한 비판적 분석

        문장수(Moun Jean So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2 No.-

        도착증의 가장 대표적인 두 증상은 사디즘과 마조히즘이다. 그러나 국내 철학계는 물론이고 문학계와 정신의학계에서조차 사디즘과 마조히즘의 정확한 본성과 구조 그리고 원인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국외에서는 오래 전부터 도착증에 대한 원인과 구조를 해명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이 분야의 선두 주자인 프로이트의 사도마조히즘 이론과 이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한 들뢰즈의 이론은 오늘날 학계에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철학적 관점에서 마조히즘에 대한 양자의 정의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마조히즘은 자아에게로 선회한 사디즘이다. 즉 인간은 선천적으로 성적 본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본능은 공격성의 본능, 소위 죽음의 본능을 항상 동반한다. 때문에 성적 본능이 외부 대상에게로 표출될 때 공격성을 동반한다. 즉 성적 본능의 실현은 자연적으로 외부 대상을 향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다. 이러한 성향이 지나친 경우를 사디즘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적 본능이 외부 대상에게로 향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마조히즘이다. 이처럼, 프로이트는 마조히즘은 사디즘의 변형이라는 차원에서 사도-마조히즘이라는 용어를 고안했다. 그러나 들뢰즈는 마조히즘과 사디즘은 그 구조, 원인, 본성 등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프로이트의 변형론을 반대하고 철저한 이원론을 강조한다. 이때 들뢰즈는 사드의 문학 작품과 마조허의 문학 작품의 구조와 기법 그리고 특성들을 토대를 자신의 이원론을 정당화한다. 그러나 필자는 한편으로 에로스와 타나토스라는 형이상학적 이원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착증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하며, 다른 한편으로 문학작품의 기법과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문들의 성격을 현실적인 도착증 환자들의 실제적인 특성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전혀 과학적인 주장이 아니라는 점에서 들뢰즈의 이론을 비판하고자 한다. The main two varieties of perversion are sadism and masochism. it is not easy to find the meaningful studies on the cause, structure and nature of them in the domestic domai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and even psychiatry. However, the theory of sadomasochism by Freud who is inaugurator of psychoanalysis, and the dualism of Deleuze who has criticize it, have created a great sensation to the intellectual of the world. I would like to elucidate and criticize their theory in the view of clinical philosophy. According to Freud, masochism is a kind of sadism returned to self. Every instinct is thought to include aggressive components which are directed upon its object and necessary to the realization of its aim. Sadism would, in this point, have its origin in the aggressive component of the sexual instincts. In the course of its development, the aggressive-sadistic component may become conditioned in such a way that it is turned around the subject's own self. But Deleuze says that masochism can not simply be defined as a form of sadism turned around upon the self for three reasons.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process of turning around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a desexualization and resexualization of libidinal aggression.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re is a quite distinct aspect of masochistic sexualization different from that of sadism. The third reason is that a mechanism of projection proper in masochism is different from that of sadism. But I offer criticism to Freud in the sens that his theory is based on metaphysical duality of Eros and Thanatos, on the one hand, and Deleuze, on the other hand, in the sens that he is considering the sadistic or masochistic personalities of persons which Sade or Masoch is describing in his work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al sadism or masochism.

      • 라캉 정신분석학에 의한 융합인재교육의 인성 개념 비판

        문장수(Moun, Jeansou)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7 동서인문 Vol.0 No.8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은 유아 및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인성교육을 위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말하자면, 현재의 융합인재교육은 수학적 사고를 중심으로 하는 과학적 사고를 강조한 나머지,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전인교육에 대한 강조가 미흡하다. 과학적 논리적 사고는 확고한 자아 개념에 근거한 주체성의 확립 하에서만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교육에 인성교육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첨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진정한 융합인재교육의 목표는 서로 이질적으로 보이는 여러 영역들이 물리적 결합이 아닌 화학적 결합을 통하여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가장 긴급하게 필요한 것은 바로 주체성 바로 세우기이다. 그런데 필자의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인성교육은 주체성을 바로 세우기보다는 주체성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기여를 했다. 필자의 이러한 입장을 변호해 줄 좋은 후 원자는 라캉의 주체성 개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융합인재 인성교육의 근본적인 방향을 새로이 정립하고자 한다. 잘 아는 것과 같이, 라캉은 전 생애를 통해 자아에서 주체로 되어가는 과정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통해 제시하려고 노력했다. 라캉은 자아가 아닌 주체의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아에서 주체로의 이행, 특히 무의식의 언어적 본성 속에서 주체 형성의 기제를 해명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기존의 인성 교육을 왜곡되고 닫힌 인성개념에 근거한 억압적인 교육이라고 진단하고, 따라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인성교육, 즉 열린 인성 개념에 근거한 해방적 교육의 가능성의 길을 실험적으로 개방하고자 한다. Even though STEAM education, which is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t provides no concrete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The objective of STEAM education is not to make humanistic education an additional element of education besides science and technology, but to make students think creatively, by combining various disciplines through assimilation rather than accumul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ersonality education needs to be placed at the center of STEAM education, since education ultimately aims at giving students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However, personality education as it is today tends to lead students to repress their subjectivities rather than establishing them. I suggest in this paper to redefine the fundamentals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Lacan’s psychoanalysis of subjectivity. Lacan tried to represent the becoming from the ego to the subject during one’s life via three psychoanalytic dimension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subject formation in the transition from ego to subject. Identify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now in place as a repressive education based on a distorted and narrow concept of personality, I propose to experiment with a newly defined personality education and potentially implement an emancipated education based on an open personality concept.

      • KCI등재

        구체적 조작기 아동에게서 관찰되는 변증법의 기본 형식과 인식론적 의미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쟝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구체적 조작기 아동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변증법의 8가지 형식을 특성화하려고 시도했다. 이러한 8가지 형식은 행동적 차원의 인지 운동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변증법의 기본 형식이며 따라서 나중의 언어적 상징적 지평에서 수행되는 변증법적 사유의 기본 토대에 상응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논자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변증법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들어내기 위해서 이러한 변증법의 8가지 형식들에 공통된 특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려고 시도했다. 첫 번째 특성은 모든 변증법적 국면에는 두 체계들 (A와 B) 사이에 그 때까지는 성립되지 않았던 “상호의존성”이 구성된다는 점이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의 두 체계는, 헤겔이 공식화하듯이, 그들 사이에 반드시 “대립성” 내지는 “상반성”이 문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서로 무관심적이거나 낯선 체계들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의 특성은 모든 변증법적 국면에는 “주관”과 “대상”의 상호 확장이 있다는 것이다. 즉 그 자체 고정된 대상도 처음부터 완성된 주관도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공통된 특성은 모든 변증법적 국면에는 “추월”(dépassement)이 있다는 것이다. 즉 기존의 한 체계(T1)에 고유한 결핍들을 해결하기 위한 조작적 운동들은 새로운 전체성 (T2)을 구성하는 데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렇게 될 때 선행하는 전체성(T1)은 나중의 새로운 전체성 (T2)의 “하위 체계”로 보존된다. 네 번째의 공통된 특성은 모든 변증법적 국면에는 “순환성” 혹은 “나선 운동적 상승”의 개입이 있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 모든 변증법적 운동은 상대화를 이끈다는 것이다. 모든 변증법적 국면들에 공통된 이러한 다섯 종류의 변증법적 속성들은 이제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특성을 말할 수 있게 하는 바, 그것은 ‘변증법은 균형화의 추론적 양상’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 마지막 특성은 피아제가 말하는 변증법의 일반 정의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종래의 사변적인 철학자들이 내성법에 의해 특성화한 것과는 달리, 과학적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관찰된 것들이라는 점에서, 변증법의 진정한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According to Piaget, there is a dialectics when two systems considered as until now independent, enter into interrelation and are integrated into "a new totality of which the properties surpass the two former systems." The way of establishing the interrelations and integrations present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coming : a) The concepts and notions intrinsic to under-systems of which the new totality will be constructed pass by a process of relativisation. b) the construction of new totality(or structure) implies certain circular process(or more precisely, a spiral trajectory) in the sens that it necessitates the retroactive rectification which makes the former forms of the concerned system rich. The analysis of Piaget lead us to an other affirm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result of his genetical epistemology. The properties of all dialectics resume are summarized into an other property of which can provide the general signification : "the dialectic constructs the inferential aspect of all equilibration." It means that the dialectic don’t intervene at all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but only in course of process of equilibration. We therefore have to distinct carefully between the state of equilibrium which is correspondent to a non-dialectical moment of the evolution and the dialectical process which permits the construction of new conceptual cadre. This study will give us better understanding on certain mechanisms of action in the process of cognition. Finally, we could understand that there is continuity and identity in nature of process of cognitive development from the child to the scientific man.

      • KCI등재

        전이증상과 상담방법

        문장수(Jeansou MOU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본 연구는 전이증상에 대한 정의들 및 이를 상담방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존의 대안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프로이트에 따르면, 전이증상은 내담자가 상담자를 만났을 때, 내담자의 억압된 무의식적 진실이 현실에서 허용되는 방식의 표상을 통하여 드러나는 반복적인 감정적 행동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이러한 행동은 때때로 상담자를 곤욕스럽게 하는 저항적인 태도로 드러난다. 이런 점에서 프로이트의 전이는 감정적 차원(정동)에 속한다. 그러나 라캉에 따르면, 전이는 프로이트가 생각한 것처럼 상상계에만 의존하는 정동적인 것이 아니라, 실재계, 상상계 그리고 상징계의 접합점에서 형성된 일종의 표상이다. 이런 점에서 전이형성을 위해서는 “안다고 가정된 주체”, 즉 대타자 개념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반면에 시루와는 전이와 전이증상을 구분하면서 전이증상은 프레임의 왜곡을 동반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이증상을 상담의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두 가지 입장이 대립한다. 자아심리학을 강조하는 영미의 프로이트 학자들에 따르면, 분석가는 내담자보다는 현실에 대한 적응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가진다. 이런 의미에서 분석가는 내담자의 잘못된 태도를 올바른 태도로 교정하는 자이다. 그러나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이러한 태도에 대해서 가장 비판적이다. 이에 필자는 한편에서는 전이의 정의에 대한 프로이트와 라캉의 대립을 종합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상담 방법적 차원에서 톰슨과 같은 자아심리학의 방법과 라캉의 방법을 종합하고자 한다. 필자의 결론은 이것이다. 첫째로, 전이는 대인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행동세마이다. 따라서 상대방이 느끼는 쾌와 불쾌 또는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가지고 전이를 정의하는 것은 부당하다. 둘째로, 전이증상은 오랜 세월을 통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오랜 시간의 교육과 “반복적인 의식 행위”(repetitive ritual behavior)가 요구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셋째로, 고등 종교적 의식행위이든 미신적 의식행위이든 모든 “반복적인 의식행위”는 억압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변태와 정상, 미신과 종교를 구분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 왜냐 하면, 모든 인간은 육체성에 근거한 동물적 본능과 상징계를 통해서 구성된 천사의 윤리 사이에서 분열된 자아로 사는 변태적 동물이기 때문이다. This essay tries to analyse critically the known alternatives for the definition of transference symptom and using them as therapeutic instrument. According to Freud,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n affective, resistant and repetitive action after a short time for treatment in which the truth of repressed unconsciousness comes out through the representation allowed in the actual societies. But, according to Lacan,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 kind of representation made in nodal point between the real,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and not an affection as Freud thought. In this context, in order to form the transference symptom, “the subject supposed to know” is necessarily needed. In the other hand, Sirois says that the transference symptom proceeds from two different preconscious cathexis, one attached to the reality to of the frame, the other to the drive linked to the analyst.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 point of crystallization in the transference only through the distortion of the reality of the frame. There is two alternatives in using the transference symptom as therapeutic instrument. One way aims at cure by studying these irrational trends, investigating their origins and learning what the patient is unconsciously striving to achieve by them. This leads to their modification and disappearance through insight. This is the method used in psychoanalysis. The other method achieves its cure by using the irrational degree of authority with which the patient’s transference endows the therapist. This is the method used in moralist at which Lacan is severely critical. In the conclusion, I try to synthesize, in the one hand, the definition of Freud and that of Lacan on the transference symptom, and, in the other hand, Lacan’s position and Thompson’s on the method of using it as therapeutic instrument. My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ransference is necessary schema for personal relations. It is therefore not reasonable to define the transference symptom on pleasure/displeasure or rational/irrational. Second, all repetitive ritual behaviors are useful ways to cope with the transference symptom, whether they are superstitious or rationally religious. It is not justifiable to distinguish superstition from the religion and perversion from the normal. For we are all perverse animal split between instinct of the animal and moral of the anger.

      • KCI등재

        인간 범주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에 대한 비판

        문장수(Moun, Jean-Sou)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본 논문은 인간 범주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비판한다. 라캉은 기존의 정신분석학이 제공하는 인간 범주에 대한 정의들에 대해서 비판적이다. 라캉에 따르면, 기존의 정의들은 증상에 토대를 둔 정의들이다. 그런데 동일한 증상을 다양한 범주의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차원에서 라캉은 인간 범주를 구조적으로 구분한다. 라캉이 분류하는 인간의 범주, 즉 환자의 종류는 매우 간결하다. 우선 상위의 세 가지 큰 범주는 신경증 환자, 도착증 환자 그리고 정신병 환자이다. 각각의 범주들에 다양한 하위 범주들이 있다. 신경증 환자에는 다시 히스테리 환자, 강박증 환자 그리고 공포증 환자 등이 속한다. 도착증 환자에 자학증 환자, 가학증 환자 그리고 절편음란증 환자 등이 속한다. 정신병 환자에는 편집증 환자, 정신분열증 환자 그리고 조울증 환자 등이 속한다. 대체적으로 뒤로 올수록 비정상의 정도가 증가하고, 앞으로 갈수록 비정상의 정도가 감소한다. 인간범주에 대한 라캉의 이러한 분류는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 그러나 인간을 이런 식으로 정의하고 나면, 정신분석학의 고유한 목적을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라캉에 따르면, 우리 모두는 비정상적인 존재이고 환자이다. 차라리 동물적 상태가 정상에 가깝다. 따라서 신경증 환자를 치유한다는 것은 억압된 언어를 해체하고 동물성 상태의 복원을 함의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사실 정신병환자는 동물상태의 인간이다. 그러나 언어에 의한 왜곡의 관점에서 보면, 정신병환자가 덜 왜곡되어 있고, 신경증환자가 가장 왜곡된 상태이다. 어떤 점에서 정신병환자는 언제나 행복하고 도착증환자는 때때로 행복하고 정상인인 신경증환자는 항상 분열적이고 비극적인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분석의 목적은 언어적 상징체계를 해체하고 동물성의 복원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부조리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은 없는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definitions about human category of Lacan and to criticize their problems. Lacan holds negative position to the definitions about human category offered by american psychoanalysis. Those definitions are based on the symptoms. However, there can be some errors in classifying human category by symptoms, because the same symptom can be overlapped between various forms of human being. In this point, Lacan intends to classify human category structurally. The human categories classified by Lacan are quite concise. First, the higher three categories consist of the neurosis, perversion and the psychosis. Each category has various lower categories. The hysteria, obsessive-compulsive neurosis and the phobia belong to the neurosis. The psychosis includes the paranoia, schizophrenia and the manic depressive psychosis. Typically, the degree of the abnormality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ferred order. The human categories classified by Lacan are quite valid. However, his classification makes it difficult to define the purpose of psychoanalysis. In short, Lacan says that we all are abnormal and mentally deranged; rather the animal state might be close to the normal. Healing the neurosis implies breaking up the suppressed language and restoring the animal state. But, this is impossible in reality. The psychosis is a human being in the animal state actually, then, the psychosis is normal and a person who we usually regard as normal might be the neurosis. In view of this, the most distorted is the neurosis who we call normal and the psychosis is in the safest state. In a sense, the psychosis is always happy, the perversion occasionally happy and the neurosis always tragic. What is the way to resolve this paradoxal?

      • KCI등재

        칸트와 피아제의 수리 인식론에 대한 오트의 해석 비판: 수학적 인식의 가능 토대로서 연속성 원리

        문장수 ( Moun Jean Sou ) 한국칸트학회 2018 칸트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선 첫째로, 공간적 이미지와 수학적 인식의 관계에 대해 오트(Otte)의 이론이 가지는 의의를 설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와 관련하여 칸트와 피아제에 대한 그의 분석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해명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개념들(범주. 보편자)과 특히 수학적 개념들의 가능 근거는 무엇인가? 플라톤주의가 주장하듯이, 우리는 이러한 보편자들을 선천적으로 지참하고 있는가? 아니면 고전적 경험론이 말하듯이, 이러한 보편성은 외적인 경험적 대상들에 대한 단순한 추상화에서 직접적으로 “주어진” 것인가? 이 점과 관련하여, 오트는 이러한 보편성을 가능케 하는 제 1원리는 “연속성의 원리”라고 강조한다. 즉 그는 연속성을 인식주관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사전 조건으로 생각한다. 이런 입장에서 오트는 칸트 및 피아제와 달리 연속성 원리를 선-존재론적인 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즉 연속성의 원리가 주장하는 것은 “우리는 변화와 진화의 토대에서만 뭔가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즉 발생의 조건에서만 모종의 대상을 지각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식론적 관점에서 볼 때, 연속성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사후적 사태지만, 존재론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발생의 근거는 연속성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실 퍼스의 입장에 가까운 것으로 일반인들의 직관적 신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필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일종의 추론이다. 외적 대상의 존재성을 의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모든 수학적 인식이 외적 대상에 대한 이미지에 근거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수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피아제는 수학적 인식의 가능성을 위해 수학적 인식에서 공간적 이미지를 제거했다는 오트의 해석은 부정확하다. 왜냐하면, 피아제는 칸트처럼 물자체(실재)와 현상(구성)을 철저하게 구분하지 않고 상호침투 관계를 가지는 변증법적 관계로 이해하면서 외적 대상에 대한 조작적 활동에서 수학적 인식이 구성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Kant supposes that all our know ledge-extending cognitions are synthetic, including mathematical know ledge. But this synthesis does not lie in the matter of experience but in the function of cognizant consciousness. That is why continuity, according to Kant, lies only in the realm of phenomena, for they are synthesised by our activity. Piaget is, like K ant, dualist that starts from the belief that whatever connection, coherence or continuity there is, it is a result of the subject’s constructive efforts, rather than a precondition of making these efforts meaningful. Piaget assumes a Kantianism w here the categories are not there at the outset. He thinks of the subject as constructing itself as w ell as his constructing structures as the source of the apprehension of the world. Piaget speaks of reflective abstraction in this context as the basis of m athematical know ledge, but separating it com pletely from empirical abstraction. I emphasize the role of the continuity and perception as the prerequisite of mathematical know ledge. In contrast to Kant’s and Piaget’s view,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continuity principle as stating that we understand something only on the basis of change, as if it would be the condition of its genesis. I believe that in referring to thes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continuity principle, we may not only obtain the differences between Kant’s view and Piaget’s on the notion of space and of perception on the one hand, but also will lead to the difference between Piaget’s constructivism and Peirce’s realism on the other hand. In the long run, I try to synthesise both the contrast views.

      • KCI등재

        라캉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해명된 초등학교폭력의 이해와 예방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0 No.-

        학교폭력이라는 개념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핵심 키워드가 되었다. 학계 차원에서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학교폭력의 양상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흉악해졌다. 이에 학교폭력의 문제는 학계와 지역사회의 차원에서만 다루어져야 할 사항이 아니라, 범정부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쇄도했으며 이러한 운동은 결국 국회를 움직여 법령을 제정하게 하고, 범정부적 대책기구까지 상정하게 하였다. 그러나 학교, 지역사회, 정부차원 등 다방면의 예방노력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의 양상은 더 흉포해지고 조직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해자와 피해자가 중·고등학생 중심에서 초등학생으로 저연령화되고 있다. 또한 많은 연구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학교폭력을 경험한 아동이 고학년이 되어 가해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첫째로, 라캉의 주체 개념을 해명하고, 둘째로, 학교폭력 발생의 원인과 폭력의 양상을 분석하고, 셋째로, 지금까지 제안된 학교폭력을 위한 중요 예방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넷째로, 라캉의 정신분석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school violation has become today the key word in the korean society. The educational journalist started to debate gravely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from the early 1990. But with the time, the aspect of school violation has been varied and deteriorated. So, many people say this is not the problem that the only school and the local society have to deal with, but the one that the entire national authority has to do. This movement had the national assembly make the law and alternative instrument of national dimension. However, in spite of various alternative of school, society and government, it is not only the case that the aspect of school violation have been ferocious and organized, but also that assailant and victim has mov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the sacrifice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he violation, have possibility that they could be assailant as much as their agony.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construct the program which will prevent the vio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oder to this purposes, I will firstly try to illuminate the concept of Lacan's subject, secondly to analyze the aspects and the causes of school violation, thirdly to dispute the main alternatives presented to prevent the school violation, lastly to construct a new program in terms of constructivist disciple, psychoanalytic moral education that will prevent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causing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