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쟈크 라캉의 ‘오브제 a’ 개념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0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을 역사-비판적으로 재구성하여 정신분석학의 의도, 목표, 의의 및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국내에 라캉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풍부하지만, 거의 대부분 라캉에 대한 영어권 연구서들의 번역서들이다. 이에 라캉을 전공하지 않은 자들이 그러한 역서들을 직접 접할 경우, 정신분석학이 도대체 무엇을 하는 학문인지 체계적으로 명료하게 이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사실 정신분석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이해하기를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정신분석학은 데카르트 또는 훗설 등이 구성하는 명증적 의식철학을 가장 거부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자는 우선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아무리 비합리적인 것일지라도 합리적인 언어를 통한 이해를 제공하지 못할 경우, 그러한 비합리성은 비합리성으로서의 지위조차 가질 수 없겠기 때문이다. 논자가 볼 때,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바로 ‘대상’ 개념, 보다 정확히 말하면, ‘대상 a’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 a’가 정신분석학의 또 다른 주요 개념들, 즉 증상과 기표, 주체와 대타자, 무의식과 향락, 욕망과 욕동, 분석기법 등과 가지는 관계성 및 의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고를 통한 논자의 일관된 주장은 이러하다. 우선 첫째로 라캉의 ‘대상 a'는 칸트의 물자체에 비유될 수 있는 것으로 우리의 심리적 현상을 풍부하게 기술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의 은유적 특성으로 인해 정신분석학을 과학이라기보다는 철학적 해석학으로 간주하게 된다. 둘째로 라캉의 자아, 이상적 자아, 자아 이상, 초자아 사이의 구분 및 관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사이의 구분 및 관계, 그리고 요구, 욕구, 욕동, 욕망 사이의 구분 및 관계는 프로이드의 무의식, 전의식, 의식 사이의 구분 및 관계와 이드, 자아, 초자아 사이의 구분 및 관계만큼이나 애매모호하다. The concept of the objet petit a is Lacan's most original contribution to psychoanalytic theory. The lower case “a", the initial letter of "autre" indicates an essential relation to th Other but is also intended to designate an algebraic variable or function in the mathematical sense. Within the compass of the object a Lacan gathers the partial objects relevant to Freudian stages of development - oral, anal, phallic - but also adds some of his own the mamilla, feces, the phallus, the urinary flow. first, the objet a is suspended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belonging to both and neither. It simultaneously designates what is most other in the Other. Paradoxically inner and outer, the objet a is a small part of the subject that detaches itself from him while still remaining his, still retained. It is therefore something of the subject's own, indeed the most intimate part, yet it always. appears elsewhere, outside the subject and eluding its grasp. Secondly, the objet a is also liminal in the sense that it participates in all three of Lacan's fundamental categories of imaginary, symbolic, and real, yet belongs exclusively to none of them. But the being that Lacan's psychoanalytic theory supposes is heterogeneous to signifiers and their play, their differentiality and irreducible to objectivity, to the imaginary counterpart of consciousness, the perceived being that one ca lay one's hand on and which one can manipulate, or which can be submitted to scientific investigation. That's why there is no other entry for the subject into the real except the fantasy. So closer to philosophical hermeneutics is psychoanalytic theory rather that scientific truth.

      • KCI등재

        도착증에 대한 프로이트와 들뢰즈의 논쟁에 대한 비판적 분석

        문장수(Moun Jean So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2 No.-

        도착증의 가장 대표적인 두 증상은 사디즘과 마조히즘이다. 그러나 국내 철학계는 물론이고 문학계와 정신의학계에서조차 사디즘과 마조히즘의 정확한 본성과 구조 그리고 원인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국외에서는 오래 전부터 도착증에 대한 원인과 구조를 해명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이 분야의 선두 주자인 프로이트의 사도마조히즘 이론과 이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한 들뢰즈의 이론은 오늘날 학계에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철학적 관점에서 마조히즘에 대한 양자의 정의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마조히즘은 자아에게로 선회한 사디즘이다. 즉 인간은 선천적으로 성적 본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본능은 공격성의 본능, 소위 죽음의 본능을 항상 동반한다. 때문에 성적 본능이 외부 대상에게로 표출될 때 공격성을 동반한다. 즉 성적 본능의 실현은 자연적으로 외부 대상을 향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다. 이러한 성향이 지나친 경우를 사디즘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적 본능이 외부 대상에게로 향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마조히즘이다. 이처럼, 프로이트는 마조히즘은 사디즘의 변형이라는 차원에서 사도-마조히즘이라는 용어를 고안했다. 그러나 들뢰즈는 마조히즘과 사디즘은 그 구조, 원인, 본성 등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프로이트의 변형론을 반대하고 철저한 이원론을 강조한다. 이때 들뢰즈는 사드의 문학 작품과 마조허의 문학 작품의 구조와 기법 그리고 특성들을 토대를 자신의 이원론을 정당화한다. 그러나 필자는 한편으로 에로스와 타나토스라는 형이상학적 이원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착증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하며, 다른 한편으로 문학작품의 기법과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문들의 성격을 현실적인 도착증 환자들의 실제적인 특성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전혀 과학적인 주장이 아니라는 점에서 들뢰즈의 이론을 비판하고자 한다. The main two varieties of perversion are sadism and masochism. it is not easy to find the meaningful studies on the cause, structure and nature of them in the domestic domai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and even psychiatry. However, the theory of sadomasochism by Freud who is inaugurator of psychoanalysis, and the dualism of Deleuze who has criticize it, have created a great sensation to the intellectual of the world. I would like to elucidate and criticize their theory in the view of clinical philosophy. According to Freud, masochism is a kind of sadism returned to self. Every instinct is thought to include aggressive components which are directed upon its object and necessary to the realization of its aim. Sadism would, in this point, have its origin in the aggressive component of the sexual instincts. In the course of its development, the aggressive-sadistic component may become conditioned in such a way that it is turned around the subject's own self. But Deleuze says that masochism can not simply be defined as a form of sadism turned around upon the self for three reasons.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process of turning around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a desexualization and resexualization of libidinal aggression.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re is a quite distinct aspect of masochistic sexualization different from that of sadism. The third reason is that a mechanism of projection proper in masochism is different from that of sadism. But I offer criticism to Freud in the sens that his theory is based on metaphysical duality of Eros and Thanatos, on the one hand, and Deleuze, on the other hand, in the sens that he is considering the sadistic or masochistic personalities of persons which Sade or Masoch is describing in his work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al sadism or masochism.

      • KCI등재

        증상(symptom)의 존재론적 의미와 의식(ritual)

        문장수 ( Jeansou Moun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7 No.-

        The ambiguity and vagueness of psychoanalysis are based on a kind of humanism that don’t like to consider human being as animal.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construct a clear ontological foundation of symptoms. What I suppose is that human being is animal, but can’t live like animal because of moral taboo constructed by language. That is why we should have symptoms. In fact, the sexual perversions belong to natural and ontological order. There is no evidence that a sex by phallus is natural instinct. So the various perverse symptoms in themselves are neither good nor badness. They are considered as evil, with our introducing the norm of incest. In this sense, Freud argued rightly that the moral is a cause of perversion. But the concept of death instinct should be revised into attack instinct. The superego is, in my vision, based on the ego, which is dependent on id, which is biological instinct such as Eros and Thanatos. The latter is not the drive of killing himself, but of killing the others. Thanatos is not contrary, but other side of Eros, in that the natural instinct of preserving him always has an attack to others. In conclusion, there is not the qualitative difference, but the quantitative between psychosis, neurosis and perversion. In this context, the religion is a kind of masochism that represses his present desire, hoping that more pleasure will come later. In brief, all symptoms are a kind of ritual forced by the last mechanism of human being in order to survive in the real distorted by the system of symbols.

      • KCI등재

        칸트와 피아제의 수리 인식론에 대한 오트의 해석 비판: 수학적 인식의 가능 토대로서 연속성 원리

        문장수 ( Moun Jean Sou ) 한국칸트학회 2018 칸트연구 Vol.42 No.-

        Kant supposes that all our know ledge-extending cognitions are synthetic, including mathematical know ledge. But this synthesis does not lie in the matter of experience but in the function of cognizant consciousness. That is why continuity, according to Kant, lies only in the realm of phenomena, for they are synthesised by our activity. Piaget is, like K ant, dualist that starts from the belief that whatever connection, coherence or continuity there is, it is a result of the subject’s constructive efforts, rather than a precondition of making these efforts meaningful. Piaget assumes a Kantianism w here the categories are not there at the outset. He thinks of the subject as constructing itself as w ell as his constructing structures as the source of the apprehension of the world. Piaget speaks of reflective abstraction in this context as the basis of m athematical know ledge, but separating it com pletely from empirical abstraction. I emphasize the role of the continuity and perception as the prerequisite of mathematical know ledge. In contrast to Kant’s and Piaget’s view,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continuity principle as stating that we understand something only on the basis of change, as if it would be the condition of its genesis. I believe that in referring to thes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continuity principle, we may not only obtain the differences between Kant’s view and Piaget’s on the notion of space and of perception on the one hand, but also will lead to the difference between Piaget’s constructivism and Peirce’s realism on the other hand. In the long run, I try to synthesise both the contrast views.

      • KCI등재

        칸트의 선험적 논리학과 라캉의 정신분석적 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에 대한 비판과 구조-구성주의 인식론 정초(II)

        문장수 ( Moun Jean-sou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8 No.-

        This study tries to demonstrate that Kant`s epistemology and Lacan`s should be synthesized. In the one hand, We should accept positively the universality of intuition, but revise and supplement that of categories in the Kantian epistemology. In the other hand, we should accept the fantasy of transcendental subject and the dialectics between desire and cognition, but modify the his metaphysical realism. These arguments would lead to the justification of structure-constructivist epistemology which I suppose strongly. Those, such as Lacan, who suppose the realist truth, consider the truth as non-epistemic and evidence-transcendent. Meanwhile those, such as Kant, who suppose the antirealism, consider the truth as not independent from the mind knowing it, and from the means of cognition which could conceptualize it In conclusion, Lacan should make a division between the knowledge on emotional object and the one on scientifical object. The scientifical study which tries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things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 free from the ego-centralism relatively, could have the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In the other hand, Kant should recognize that the categories of understanding are not apriori, but the result of construction, and could transform and develop, suppos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hing itself and our mind. The logical law is neither essence apriori of mind, nor the result of language, but the result of structuralization in the dimension of action constru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uter object and the cognition subject.

      • KCI등재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와 그 문제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본 글은 라캉의 주체 개념 및 이것의 연장인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정의들에 내포된 문제들을 비판한다. 라캉이 제공하는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를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가 이론화하고 개념화한 저 다양한 정신분석학적 용어들, 즉 상상계, 상징계 그리고 실재계의 관계성,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구분, 남근과 기표의 의미, 타자와 욕망, 의식과 무의식, 소외와 분리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용어들의 사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제 2장에서 상상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상징계와 자아 이상 사이의 관계를 논구할 것이다. 그렇게 하여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차이와 유사를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제 4장에서 타자, 욕망 그리고 무의식적 주체 사이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제 5장에서는 라캉이 말하는 남근과 기표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제 6-7장에서는 상기의 분석들을 토대로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본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는 주체 이론 및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이론의 전체적 의의 및 그 한계를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그런데, 물론 결론의 장에서 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전체적으로 비판하기 이전에 각 장들의 말미에서 그 장의 핵심적인 관념들을 비판하는 책무를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다. 필자의 최종 결론은 이것이다. 라캉과 라캉 학파의 성차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최소한의 객관적인 의미라도 가지려고 한다면, 그것들은 궁극적으로 해부학적 차이에 근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 of Lacanian subject and the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and criticizes some problems of those definitions. It seems to me, to do so,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precisely the core terms of psychoanalysis quoted by Lacan. We should analyze the basic meanings and the relation of the Imaginary, Symbolic and the Real, of ideal ego and ego ideal, of phallus and signifier, of desire and the other,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alienation and separation, etc. I'm going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inary and the ideal ego in chapter 2, and then, deal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ego ideal in chapter 3. I'll explain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ego and ego ideal through those discussions. In chapter 4, I'm planning to explain the relation among the other, desire and the subject of unconsciousness. In chapter 5, I'll analyze the meaning of phallus and signifier. I'll criticize the Lacanian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on the basis of the work made in former chapters. These discussions will lead to my final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f Lacanian subject and the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are only dependent on reductionism regarding everything as symbolic, which has in itself a lot of contradiction. In order that All discussions about sexual difference have at least a objective meaning, they have to rely on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 KCI등재

        『莊子』와 임상철학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문장수(Moun Jean Sou),이상민(Lee Sang Min)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3 No.-

        『莊子』는 수행, 윤리학, 상대주의, 유가와의 비교, 해체철학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었으나, 최근에는 임상철학적으로 응용하려는 시도도 존재했다. 조규홍과 장윤수는 각각 『莊子』에 나온 ‘개념’인 ‘心齋’와 ‘坐忘’을 축으로 하여 정신분석상담 및 상담치료에 접근하려 했다. 조규홍은 정신분석학의 화제인 전이와 역전이를 심재를 통해 해결하려 하였으며, 장윤수는 사마승정의 『坐忘論』에 드러난 수행법을 기반으로 상담에 좌망을 응용하려 했다. 하지만 필자의 연구는 조규홍과 장윤수의 연구가 사실 적합한 것이 아니었음을 논증하였다. 『莊子』에 드러난 주제 의식은 인간을 사회 속에 살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규범, 제도, 규칙, 도덕 등을 모두 혁파하는 데 있다. 『莊子』에 나오는 사람들은 장애를 갖고 있거나 속세의 중요한 가치들을 깃털처럼 다루는 자들이다. 하지만 정신분석상담나 상담치료의 목적은 사람을 다시 사회화시키는 데 그 중요한 목적이 있다. 때문에 『莊子』와 정신분석상담 및 상담치료의 목적은 상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조규홍과 장윤수의 시도는 무리한 것이었을 수밖에 없다. 다만 『莊子』를 도교적인 맥락에서 사마승정의 이론을 차용하여 수행론적으로 상담방법에 응용하려 한 장윤수의 시도 자체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마승정의 방법들도 선언적 주장들로 가득 찬 것이라, 오늘날의 신경증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효과를 주기엔 요원하다고 사료된다. Chuang Tzu has been studied in various domains such as asceticism, ethics, relativism, comparative study with confucianism, de-constructivism. Nowaday, one is trying to use it in the clinical philosophy. For example, Cho Kyu-Hong and Jang Yun-Su have tried to applied it to psychological study and philosophical therapy. Cho Kyu-Hong has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transference through 'fasting of the mind', teachings of Chuang Tzu, while Jang Yun-Su has tried to applied 'the sitting in forgetfulness'(zuo-wang, 坐忘) to philosophical counselling. But we think that their attempt is not proper. Because Chuang Tzu was the person who did not effort to live in society with other people, but wanted to escape from it. But the goal of psychological therapy and philosophical counselling is to socialize the people that are not adaptive to the society. However, the 7 specific methodology of Si-ma-chen-zhen (司馬承禎) who Jang Yun-Su explains in his paper seems to be available in clinical philosophy: xin-jing(信敬), duan-yuan(斷緣), shou-xin(收心), jian-shi(簡事), zhen-guan(眞觀), tai-ding(泰定), de-dao(得道). But it seems to us that Si-ma-chen-zhen's ways are still filled with too abstract and affirmative statements. They don't seem to give effectiveness to our clinical philosophy that tends to socialize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so complex and various situation.

      • KCI등재

        전이증상과 상담방법

        문장수(Jeansou MOU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본 연구는 전이증상에 대한 정의들 및 이를 상담방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존의 대안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프로이트에 따르면, 전이증상은 내담자가 상담자를 만났을 때, 내담자의 억압된 무의식적 진실이 현실에서 허용되는 방식의 표상을 통하여 드러나는 반복적인 감정적 행동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이러한 행동은 때때로 상담자를 곤욕스럽게 하는 저항적인 태도로 드러난다. 이런 점에서 프로이트의 전이는 감정적 차원(정동)에 속한다. 그러나 라캉에 따르면, 전이는 프로이트가 생각한 것처럼 상상계에만 의존하는 정동적인 것이 아니라, 실재계, 상상계 그리고 상징계의 접합점에서 형성된 일종의 표상이다. 이런 점에서 전이형성을 위해서는 “안다고 가정된 주체”, 즉 대타자 개념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반면에 시루와는 전이와 전이증상을 구분하면서 전이증상은 프레임의 왜곡을 동반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이증상을 상담의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두 가지 입장이 대립한다. 자아심리학을 강조하는 영미의 프로이트 학자들에 따르면, 분석가는 내담자보다는 현실에 대한 적응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가진다. 이런 의미에서 분석가는 내담자의 잘못된 태도를 올바른 태도로 교정하는 자이다. 그러나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이러한 태도에 대해서 가장 비판적이다. 이에 필자는 한편에서는 전이의 정의에 대한 프로이트와 라캉의 대립을 종합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상담 방법적 차원에서 톰슨과 같은 자아심리학의 방법과 라캉의 방법을 종합하고자 한다. 필자의 결론은 이것이다. 첫째로, 전이는 대인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행동세마이다. 따라서 상대방이 느끼는 쾌와 불쾌 또는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가지고 전이를 정의하는 것은 부당하다. 둘째로, 전이증상은 오랜 세월을 통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오랜 시간의 교육과 “반복적인 의식 행위”(repetitive ritual behavior)가 요구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셋째로, 고등 종교적 의식행위이든 미신적 의식행위이든 모든 “반복적인 의식행위”는 억압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변태와 정상, 미신과 종교를 구분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 왜냐 하면, 모든 인간은 육체성에 근거한 동물적 본능과 상징계를 통해서 구성된 천사의 윤리 사이에서 분열된 자아로 사는 변태적 동물이기 때문이다. This essay tries to analyse critically the known alternatives for the definition of transference symptom and using them as therapeutic instrument. According to Freud,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n affective, resistant and repetitive action after a short time for treatment in which the truth of repressed unconsciousness comes out through the representation allowed in the actual societies. But, according to Lacan,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 kind of representation made in nodal point between the real,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and not an affection as Freud thought. In this context, in order to form the transference symptom, “the subject supposed to know” is necessarily needed. In the other hand, Sirois says that the transference symptom proceeds from two different preconscious cathexis, one attached to the reality to of the frame, the other to the drive linked to the analyst.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 point of crystallization in the transference only through the distortion of the reality of the frame. There is two alternatives in using the transference symptom as therapeutic instrument. One way aims at cure by studying these irrational trends, investigating their origins and learning what the patient is unconsciously striving to achieve by them. This leads to their modification and disappearance through insight. This is the method used in psychoanalysis. The other method achieves its cure by using the irrational degree of authority with which the patient’s transference endows the therapist. This is the method used in moralist at which Lacan is severely critical. In the conclusion, I try to synthesize, in the one hand, the definition of Freud and that of Lacan on the transference symptom, and, in the other hand, Lacan’s position and Thompson’s on the method of using it as therapeutic instrument. My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ransference is necessary schema for personal relations. It is therefore not reasonable to define the transference symptom on pleasure/displeasure or rational/irrational. Second, all repetitive ritual behaviors are useful ways to cope with the transference symptom, whether they are superstitious or rationally religious. It is not justifiable to distinguish superstition from the religion and perversion from the normal. For we are all perverse animal split between instinct of the animal and moral of the anger.

      • KCI등재

        쟈크 라캉의 주체 개념

        문장수(Moun Jean-Sou)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56 No.2

        라캉은 그의 철학의 전개에 따라, 주체 개념에 대한 세 가지의 다른 이론을 전개했다. 그렇다면, 이들 세 중에서 어떤 하나를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선택해야 할 것인가? 아니다. 이들 세 이론들은 전체로서의 주체 이론을 풍부하게 하는 부분적인 이론들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체적 구조의 관점에서 라캉의 주체 이론들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우선 첫째로, 그는 상상계 이론에 집중하면서, 데카르트의 코기토를 비판하고 해체하려고 했다. 왜냐하면 데카르트의 코기토가 함의하는 자기 확실성으로서의 주체 개념은 거울단계에서 문제가 된 자아의 일반적인 기능인 자기 기만성과 상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번째 단계에서, 라캉은 상징계 이론에 집중하면서 데카르트의 코기토는 기표에 의해 구성된 주체와 이러한 기표적 주체가 무의식과 가지는 관계를 가장 잘 고려할 수 있게 하는 최선의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라캉 철학의 세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실재계 이론이 부각될 시기에 와서 주체의 문제는 다시 그 전체적 방향을 앞의 두 단계와는 전혀 다르게 바꾼다. 여기서는 상징적 논리와 욕망이론과는 상반된다고 할 수 있는 환상의 이론이 주체 이론의 주요한 대상으로 부각된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주체를 전체성에서 반성하는 것이 라캉의 주체 이론의 핵심이다. 그런데 증상 개념이 이러한 이질적인 세 차원이 공통적으로 수렵하고 교차하는 집합점이다. 즉 이러한 세 차원은 증상이라는 분절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코기토가 바로 이러한 증상적 분절점이다. 따라서 상기의 이질적인 세 차원은 코기토를 기점으로 선회한다. In 1964, in the seminar on The Four Fundamental Concept of Psycho-Analysis, generally taken as Lacan's standard account of Cogito, Lacan proposes the cogito as a forced choice between cogito and sum. There is an alternative : either to think or to be, and since there is no freedom of choice, one can only choose one way. Lacan says that one must choose thought, the thought that makes sense, curtailed of being. But paradoxically, some years later, Lacan espoused the opposite view, that one is forced to opt for being at the expense of thought. Are we forced to choose between the two versions of the Lancanian Cogito. Rather than deciding on some definitive account, one should see the progression through the different accounts of cogito. In the first stage, when his main interest was focused on the Imaginary, cogito was rejected as opposed to the mirror phase. In the second stage, focused on the Symbolic, Cogito was taken as the best way to conceive the subject of the signifier as opposed to the imaginary I and its relation to the unconscious. In the third stage, now focused on the Real, the whole problem was shifted toward the realm of drives and fantasy, as opposed to the symbolic logic and the desire. Finally, the three heterogeneous dimension could be seen to revolve around the nodal point of symptom. Cogito itself is that symtomatic nodal point around which those three dimensions turn. 'The objet a' is liminal in the sense that it participates in all three of Lacan's fundamental categories of imaginary, symbolic, and real, yet belongs exclusively to none of them. The Real can be caught in this circular movement and can not be grasped as such independently of the other two. The impossible coupling of thought and being is at the very core of the symptom upon which any subjectivity dep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