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 관련 기록물 연구 - 1894년 출판 조선여행기록을 중심으로

        문순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1

        A study of Japanese Chosun travel esseys in late 19 century Moon, Soon-Hee In the studies of modern times Japanese travel essays, imperialistic viewpoints are generally dominating the logics which are contempt of Chosun, justification of colonial administration and emphasis of backwardness of Chosun. In these times, travel essays written by Japanese could not free from these conclusions. However, it is worthwhile to find the traces how these historical records which were based on imperialistic viewpoints were produced and how these symbolized images of Chosun were expansively reproduced. The importance of materials in late 19 century is he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Japanese publications of Chosun travel related books in late 19th century and travel circumstances at that time through travele ssays which were published in1894. When we see the Japanese publications of Chosun travel essays which were currently verified after opening the port, we can see publications of Chosun related books were rapidly increasing after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in the year of 1894, 1904, 1906 and 1910 and the big incident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social backgrounds of rapid increase of Chosun travel essays, first, there were increasing sailing people to Chosun since 1880 and a foreign concession of Japanese residents were located in Chosun in 1890, and the second was Sino-Japanese war. The authors of travel essays which were published at that time were teachers, ordinary citizens, reporters and Buddhists and the contents were composed of introduction of Chosun and necessary informations for travel even though their majors and interests were different in their subjects. But, in travel essays at those times, we can tell that an overall symbol of Chosun was not established and different imperialistic viewpoints have existed between the authors under the influences of those times and outside of such influen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안내서로 보는 명승고적의 재편과 명소의 창출 - 남원 지역을 사례로 -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전통도시로 인식되는 남원에서 일제강점기에 어떠한 방식으로 명승 고적과 명소들이 선택되고 창출되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제강점기 남원에서 간행된 일본어 안내서를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가 명소로 제시되고 설명되었고, 그 장소들이 조선시대와 비교했을 때 어떻게 재구성 되고 지역을 상징하는 장소를 만들어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식민지 근대 관광 여행을 전제로 제작된 일본어 안내서에 소개된 명승고 적은 철도 부설을 통해 남원이 근대적 도시로 당대에 전국적으로 시행된 고적 조 사 및 보존 사업, 일본 제국의 식민지 근대 관광 등 다양한 시대적ㆍ사회적 요인이 어우러져 근대적 명소로 새롭게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의 주요 키워드는 ‘고적’ 과 ‘전설’이었다. 고적은 임진왜란ㆍ정유재란을 중심으로 일본과 역사적으로 관련 된 장소가 주요 기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국의 역사와 연관시킴 으로써, 일본인들로 하여금 해당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고 친근감과 특별함을 느끼 게 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일제강점기 조선인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었던 <춘향전>을 남원이 낳은 명물로 만들기 위해 실질적인 공간으로 춘향묘를 건립하고 춘향제를 시행하였다. <춘향전>이라는 전설의 명소화는 1930년대 <춘향전>의 문학적 위상과도 관련되 는데 당시 고전문학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하고 있었던 춘향전은 통속 문학에서 남원의 전설로 승격되고 주인공인 춘향은 신격화될 수 있었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춘향전>이라는 문학적 소재와 기생이라는 문화적 소재를 잘 이용하여 춘향묘와 춘향제라는 관광 자원을 창출하였는데 이는 고적 보존과 동시에 지역 활성화 정책 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이때 춘향은 아름다움, 품위, 순수, 성심, 정렬, 실의, 존 귀 등을 상징하는 여성으로 상징되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어 안내서를 통한 남원의 고적명승과 명소가 어떠한 방법으로 선택되어 재편 및 창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우리가 전통적인 것, 고전이라고 하는 것들이 일제강점기에 어떠한 변용을 거쳐 지역의 상징성을 담은 공간으로 변모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In trying to form an exact picture of how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al Yinterest were altered and new tourist attractions were created in the provincial town of Namwon, which is known as a historical town, this study focuses on th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Japanese-language travel guidebooks that were published in Namw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o see which places were in fact highlighted and described as tourist attractions and through which changes and reconstruction that set the period apart from the previous Joseon period did those places come to establish themselves as symbols of the region. Thu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which were featured in Japanese-language travel guidebooks produced for Japanese tourists, were recreated as modern travel destinations against diverse contemporary backgrounds such as Namwon’s development into a modern town along with the laying of the railroad, the nationwide survey of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and the campaign for their conservation, as well as the heightened interest among Japanese people in visiting their colonies. “Place of historical interest” and “legends” were the keywords when the alteration of Namwon’s historical sites was underway. As the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concentrated in the sites related to the Japanese invasions during the 1592 and 1597 wars, the major requirement to be considered was their historical relevance to Japan. This was intended to make Japanese people feel familiar with and harbor some special feelings about the places by linking them to their own history. Second, the tomb of Chunhyang was erected as a physical venue, and the Chunhyang Festival was held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with the aim of rendering Chunhyangjeon (“Tale of Chunhyang”), then popular among the Korean people, into a tourist attraction in Namwon. The creation of a tourist attraction out of a fictitious story was related to the literary fame that Chunhyangjeon enjoyed in the 1930s. By acquiring its status as a classic, Chunhyangjeon was upgraded to a legend in the contemporary popular literature, leading to the main character attaining status as a historical character. The Tomb of Chunhyang and the Chunhyang Festival were created as tourist resources for the town that tapped into the literary work of Chunhyangjeon and the cultural subject of the courtesan, which was part of the focused project to reinvigorate the town’s economy. Thus, Chunhyang was fashioned into a virtuous woman who symbolized beauty, class, purity, sincerity, passion and nobility.

      • KCI등재

        『修信使日記』의 체재와 내용 연구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9 No.-

        본고는 『修信使日記』의 1차적인 문헌 검토를 목적으로 했다. 방법으로는 『修信使日記』의 이본 현황을 밝힌 후 각각의 수록 내용과 서술체재를 검토하고, 『日東記游』 및 『滄槎紀行』과의 내용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修信使日記』는 『日東記游』에 그 내용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단순히 김기수의 공적 일기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근대 수신사 사행록 중에서도 가장 많은 9종의 이본이 확인되었다. 각각의 『修信使日記』는 구성 내용이 다양하고 한 계통의 원본을 필사 전과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修信使日記』는 단순히 김기수의 공적 기록으로 보기는 어렵다. 둘째로, 『修信使日記』는 일기 형식으로 기록된 공식 문서가 아닌 <修信使日記>라는 일기와 함께 보고서, 서찰, 시 등이 함께 서술된 전통적인 사행록의 서술체재를 갖추고 있었다. 9종의 필사본 중 2종을 제외한 모든 필사본이 일기 외에도 견문록을 비롯한 공적 보고서와 사적 기록인 시와 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중 4종은 일기와 공식 보고서만을 포함하고 있어, 형식적으로는 전통적인 사행록의 서술체재를 답습하고 있으나, 서술된 내용 중 시나 제문과 같은 사적 기록의 비율은 많지 않았다. 이는 전근대로 이행하는 시대의 이중적인 모습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로, <修信使日記>에 기록된 날짜는 총 9일로 사행 일정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기록 내용에는 특정한 규율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기록한 날짜의 선택 기준 또한 명확하지 않았다. 내용을 살펴본 결과, 공통점을 한 가지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정사 김기수와 일본측 고위관료들의 대화 내용이라는 점이었다. 이러한 내용의 특징을 고려했을 때 본 일기의 내용은 일부분만이 선택적으로 발췌된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가능성은 김기수의 『日東記游』과 안광묵의 『滄槎紀行』의 서술내용과의 비교를 통해 한층 분명해졌다. <修信使日記>는 김기수가 직접 편집한 공적인 기록이 아니라, 처음에 <修信使日記>를 제작한 인물이 사행 관련 기록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발췌하여 일기로 구성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 내용이 이후 필사되어 전과되었고, 후에 수신사 정사인 김기수가 제작한 것으로 전해진 듯하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primary source literature of Susinsa ilgi (Journal of an Envoy to Japan, 修信使日記). Comparing the extant editions of Susinsa ilgi, Kim Kisu’s Iltong kiyu (Record of a Journey to Japan, 日東記游), and An Kwangmok’s Changsa kihaeng (Record of an Ocean Raft Journey, 滄槎紀行) showed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ir format and content. First, Susinsa ilgi was simply regarded as Kim Kisu’s official journal as it was included in Iltong kiyu. In fact, however, Susinsa ilgi has the greatest number of extant copies among records written by envoys to Japan post-1876, with a total of nine. It is presumed that that even more existed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copies. Moreover, as each copy differs in format and structure, they were probably copied and passed down from different versions of an original. Thus it is difficult to regard Susinsa ilgi as Kim’s official record. Second, Susinsa ilgi is not written in the style of an official document, but in the format of traditional envoy records which contained a journal, report, letters, and poems. Seven of the nine copies include the official report of a travelogue and personal records such as poems and funeral addresses, in addition to the journal. However, four of these seven had a lower proportion of personal records such as poems and funeral addresses despite stylistically following the format of traditional envoy records and including the journal and official report. This demonstrates an ambiguous and complex picture in the transition from the premodern era. Third, only nine days are recorded in five copies of the Susinsa ilgi, which does not comprise of even half of the journey. However, no specific rules on these records’ contents were discovered, nor is it clear why only certain days were recorded. They do share a common point in recording the conversations between chief envoy Kim Kisu and high-level Japanese officials. When seen in this light, it is highly likely that portions of Susinsa ilgi were specifically excerpted. This becomes even more apparent when comparing Kim’s Susinsa ilgi with An’s Iltong kiyu. To conclude, Susinsa ilgi is not an official record “written” by Kim, but probably first composed as a journal by someone who excerpted the essentials of an envoy record. These contents were then copied and passed down, and later attributed to having been written by Kim Kisu.

      • KCI등재

        「東遊艸」로 보는 강위의 수신사 사행과 일본 인식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7 No.-

        본고에서는 제2차 수신사 사행에 서기로 참석한 강위의 사행시집 「동유초」를 검토하고 그 속에서 강위의 활동과 그의 일본 인식을 살펴보려고 했다. 「동유초」에는 광인사(廣印社)에서 두 차례 간행된 『고환당수초』에 수록된 「동유초」, 서울대에 소장되어 있는 『고환당동유시초』에 수록된 「동유초」, 마지막은 증손자 감범식에 의해 필사된 「동유초」 3종이 있었다. 이중 서울대본이 강위의 친필 원본으로 광인사에서 간행될 당시 5수가 삭제되고 1수가 추가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행 시에 제외된 시는 조선이 개화에 부정적이고 늦은 대응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한 시들이었다. 1884년 갑신정변으로 인해 정세가 급변한 뒤 발간된 시집에는 강위가 개화 정책에 소극적인 조선을 비판하거나 개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는 시들이 삭제되었던 것이다. 과거 강위의 개화사상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개화사상을 주장하는 설과 이를 부정하는 설이 있었다. 기존 광인사본에는 강위의 개화사상에 적극적이라고는 판단하기 어려웠으나 서울대본에서는 급진적인 개화사상을 보여주는 시들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이것은 강위의 개화사상에 대한 인식으로, 일본 사행 중에 개화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다닌 것은 아니다. 강위는 1880년의 사행과 1882년의 일본 방문 때 흥아회 모임에 참석했고 이들에 대한 호응적인 시를 남겼다는 점에서 ‘아시아 연대론’에 동조한 개화기 지식인으로 논의되기도 한다. 실질적으로 그는 제2차 수신사 사행 당시 일행 내에서도 신문에 이름이 거론될 만큼 조선 문인으로 가장 주목을 받았고, 그를 지목하여 필담을 나누려던 일본 인사들도 많았던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일본 측의 강위를 대하는 대응 또한 그의 일본 및 개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일조했을 이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시에는 일본에 대해서는 호의적이고 개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실제로 일본인과의 교류 석상에서는 정치적 안건에 대해서는 담화를 피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소극적인 필담 태도는 김홍집이 미리 사행원들에게 일본인과의 교류를 허락하기 않았다는 점에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전에 강위가 일본 사행에서 기대한 것은 과거 통신사들의 문인 교류였기 때문에 문인 교류라는 이상적인 사행과 정세에 대한 필담이라는 현실적인 사행에서 그의 사행시와 사행 태도에 다중적인 면모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view of Japan by Kang Wi, secretary of the 1880 mission to Japan, in his Comments on Traveling to the East (東游艸, Tongyuch’o) and other sources. Three editions of Comments, written after the mission, still remain: The first within the anthology Collected Drafts of Kang Wi (古歡堂東游詩艸, Kohwandang such'o) printed by Kwangin Publishing, the second within Extemporaneous Verses on Traveling to the East by Kang Wi (古歡堂東游詩艸, Kohwandang tongyushich'o) held by Seoul University, and that transcribed by his great grandson Kang Pŏmsik. Comments consists of fourteen chapters of the seventeen chapters and three books of Collected Drafts of Kang Wi printed by Kwangin Publishing, numbering twenty-one poems on fifteen themes, while the edition held by Seoul University contains twenty-five poems on seventeen themes, five more poems but missing a poem from the former. The Kang Pŏmsik edition has five themes and five poems, which are found in the Seoul University edition and missing from the Kwangin edition. The poems in the Seoul University edition and missing from the Kwangin edition praise Japanese figures while expressing regret at the dilatory and negative responses to Westernization in Korea. This difference arises from the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after his death; it seems Kang’s poems favoring Westernizing reforms published after the 1884 coup were omitted. While the extant Kwangin edition shows Kang’s open mindedness towards the reforms, it is difficult to judge his support for them from this edition. The original edition personally written by his hand contains poems which can be read as supportive of the reforms. Kang wrote positive poems about meetings of the Revive Asia Society in the 1880 mission to Japan and his own visit to the country in 1882, raising discussion on whether he was a reformist intellectual supporting the ‘Asia Alliance.’ In fact, his name was well-known enough to be published in Japan’s newspapers during the 1880 mission on his merits as a literati, and he left behind many written conversations with Japanese figures. His warm reception as an intellectual in Japan as well as outside reinforcement probably played a role in 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country and Westernization. Despite Comments’ poems in favor of Westernization, however, his passive attitude and avoidance of discussing political issues in official exchanges with Japanese, and the fact that most of his poetry were response poems, limits the degree to which we can determine how much he understood and agreed with the idea of an Asia Alliance and how supportive he was of Westernization from his diplomatic poems and writings.

      • KCI등재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 -『日東録』, 『東行日録』, 『東京日記』를 비교하며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3 No.-

        1876년의 강화도조약을 계기로 개항한 한국은 조약 직후 1876년에서 1885년까지 수신사를 5차례 조사시찰단을 1881년에 한차례 일본에 파견했다. 현재 조사시찰단을 포함한 수신사들이 남긴 사행록은 대략 20종이 확인되며 그 외에도 국가에 제출한 보고서 형식의 기록도 남아 있다. 보고서를 제외한 개인 사행관련 기록은 서술 주체, 서술 시기, 서술 내용 등 각각 기록 성격이 다르다. 이 기록들을 나란히 펼쳐봤을 때 개인마다 사행에 참여하는 태도와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일본 사행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등이 개인마다 어떻게 달랐는지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1881년 조사시찰단 수행원의 세 기록-강진형의 『日東錄』, 민건호의 『東行日錄』, 송헌빈의 『東京日記』를 텍스트로 선택하였다. 일본사행록을 남긴 세 인물은 동일한 시기 동일한 직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세 사행록에는 각각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가 나타났다. 강진형은 가장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수행원으로 도일하여 새로운 문물들을 쉽게 수용하지 못하고 근대에 적응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사행록에 개인적으로 방문한 장소나 근대문물, 도시 풍경에 대한 감상 등을 기술하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어떤 사물에 특별히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가 유일하게 교류를 나눈 일본인에게 지은 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가 일본 근대 문물에 부정적이며 문명화된 일본에 적응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와 반대로 민건호의 경우 견문한 사물에 대한 감상이나 개인 생활을 기록에 남겼는데, 민건호는 일본 생활에 적응하여 다양한 계층의 일본인과 교류하였고 일본 문화와 풍습에 대한 관심이 컸다. 송헌빈은 사행록에 여러 제조법을 필사하는 등 근대 문물과 기술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흔한 필담이나 시문을 기록하지 않았다. 그는 민건호와 달리 일본인과의 사적 교류가 거의 없었거나 이에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시찰단 수행원은 기존의 사행의 사신들과 비교했을 때 훨씬 다양한 감정과 태도로 일본을 대하고 있었다. 이는 극변하는 시기에 기존의 일본에 대한 인식이 국내에서도 점차 변화하고 있었고, 일본에 파견된 사행원들이 전통적인 대외 사행과는 다른 역할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Korea that had opened the ports by Ganghwado Treaty in 1876 dispatched five times of Sooshinsa(修信使) from1876 to 1885 and one time of Inspectors(朝士視察團) in 1881 to Japan. Up to now, approximately 20 Sahangroks(使行錄) which had been written by Sooshinsa including Inspectors wer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cords are different by writers, writing time, writing contents, and so on, which reflects the different viewpoints and attitudes on Japan by individuals, referring to each record review.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s by individuals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s to the Japanese investigational trips and the viewpoints on Japan. To do so, three records by the attendants of Inspectors in 1881 were selected as the textbooks including Ildongrok, Donghangilrok, and Dongkyungilgy by Jin Hyung Kang(姜晉馨), Kun Ho Min(閔建鎬), and Hun Bin Song(송헌빈), respectively. Three people to leave Japanese travel records were dispatched as the same position to Japan, while their viewpoints on Japan were different in the records. Jin Hyung Kang, an attendant with the most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as shown that he had hardly accepted the new products of civilization easily not to be adaptive well to the modern times after crossing to Japan. He did not describe the places to visit personally, products of civilization, thoughts on the city scenery, and so on in the travel records, which reflected not to be interested in any objects specially. From the poem that he wrote for a Japanese person only with whom he made relationship, it was known indirectly that he was negative to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in Japan and was not well adaptive to the civilized Japanese life. On the other hand, Kun Ho Min left the records on his personal life or thoughts on the observed objects, and he was well adaptive to the Japanese life to make the relationship with a variety of Japanese classes with high level of interests in the cultures and customs in Japan. Hun Bin Song showed the progressive attitude on the modern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the technologies transcribing multiple manufacturing methods in the travel records, however, he did not record the common conversations by writing or the poems. Unlike Kun Ho Min, it was estimated that he had made relationship with few Japanese people personally or no interest at all. The attendants of Inspectors showed much more dynamic emotions and attitude to Japan compared to the existing envoys.

      • KCI등재

        19세기 말 20세기 초 서구인이 본 기생-서구인의 견문록에 나타난 기생관련 기록을 통하여-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09 열상고전연구 Vol.29 No.-

        19세기 말, 개항 이후에서 20세기 초에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많은 서구사람들이 선교사, 학자, 여행가, 외교관 등의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하였는데, 이들은 귀국한 후 극동의 미지의 나라 조선에 대한 소개서들을 견문록의 형태로 연이어 출간하였다. 19세기 말ㆍ20세기 초라고 하는 격동의 시기에 한국에 체류한 외국인들의 관심은 주로 한국의 역사나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관한 것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한국 문화나 민속의 하나로 서구인들은 조선의 ‘기생’에 관해서도 기록했고 귀국 후 자신의 저서에서 소개하였다. 본 글은 개항 이후 1910년 이전에 한국을 방문한 서구인들이 남긴 기생에 대한 기록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당시 서구인들이 남긴 견문록에 나타난 기생관련 기록의 특징은, 첫째로 기생의 외양에 관한 기술이 많다는 점이며, 둘째로는 기생과 기생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보에 관해서는 대부분이 주변 사람들에게 듣거나 이전에 나온 서구인들의 견문록을 참고로 한 것들이 많은데, 대체로 기생과 제도에 관한 일반적인 소개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로는 그들의 기생에 대한 성적 호기심이다. 이런 견문록에 나타난 기생관련 기록을 통하여 서구 남성들이 기생에 대해서 동양여성에 대한 환상과 이미지가 전제로 깔려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서구 남성들의 기록과 대비하여, 비숍은 여성의 입장으로서 기생에 탐닉하는 남성들을 비판하면서 기생을 통하여 조선 사회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비숍은 개인적으로 기생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그들을 사회의 악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서구인의 견문록에 나타난 기생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제국의 시선과 젠더의 시선이 동시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식민지 시기 ‘부인 견학단’을 통해 본 근대 산업 사회와 조선인 여성의 역할

        문순희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6 No.-

        본 논문은 <매일신보>와 <동아일보>를 비롯한 근대 신문 매체를 통해 식민지 시기에 시행된 조선인 부인들을 대상으로 한 ‘부인 견학단’을 ‘식민도시 견학단’, ‘공장 견학단’, ‘병영 견학단’으로 나누어 그 형태와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1920~40년대 시행된 ‘부인 견학단’을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 산업사회로의 이행기에 조선인 여성들에게 어떠한 사회적 역할이 주어졌는지 시대적 변화를 논의하였다. 1920~30년대 전국에서 시행된 ‘부인 견학단’은 주로 인근 식민도시에 있는 신문사, 도청, 은행, 우편국, 전화교환국, 병원, 학교, 감옥, 측후소, 전기회사와 같은 근대 식민도시의 기반 시설을 공통적인 견학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외에도 각 지역의 주요 농업 및 산업과 관련된 시설 및 공장을 견학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예컨대 방적공장, 제사공장, 정미소, 원잠종 제조소, 종묘장과 같은 장소가 이에 해당하는데 이들 견학지는 주로 여성 노동자들의 일터로 근대 여성 노동과 연관된 장소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30년대 이후 지방 도시에서는 기존의 식민도시 견학단 형태를 유지하였던 반면으로 경성에서는 1934년 이후 영등포 내 공장을 중심으로 구경하는 견학단이 새롭게 조직되었다. 이후 1936년을 기점으로 신문에서 사라지게 된 ‘부인 견학단’은 전시체제기에 들어서면서 다시 등장하게 되는데 과거 근대 여성 계몽을 목적으로 한 견학단과는 상이한 황국 국민의 어머니를 양성하는 병영 견학단으로 그 형태가 변하였다. 그러나 전시 시기를 제외하고 식민지 시기 동안 ‘부인 견학단’은 일관되게 산업화와 관련된 시설을 견학지에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인 여성들에게 근대 사회에 대한 이해와 적응, 그보다 생산 노동에 대한 참여를 중요한 사회적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크게 주목을 받지 않았던 식민지 시기 지방 조선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 그리고 알려지지 않았던 ‘부인 견학단’의 실체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부인 견학단’이라는 계몽 사업의 실태에 대해 시기별로 개괄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근대 조선인 여성 일상사 연구로 확대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근대 조선인 여성들의 일상사에 대한 더 심화된 연구를 위해서는 여성들의 농업 및 산업으로의 노동 동원 과정과 이를 둘러싼 노동 환경 등의 연구가 축적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First, the women's tour group was conducted on Korean families identified using modern newspapers, including the Maeil Shinbo and the Dong-A Ilbo. This tour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he “city tour group,” “factory tour group,” and “military tour group” to examine the form and purpose of the tour group. Second, by examining the destinations of the field trip team from the 1920s to 1940s, we discussed the social roles that were held by Korean women during the transition to industrial society. The “Madam Tour Group (婦⼈⾒學團),” which was held across the country in the 1920s and 1930s, targeted modern facilities in cities such as newspapers, provincial governments, banks, postal offices, telephone exchange offices, hospitals, schools, prisons, post offices, and electricity companies in nearby colonial cities. In addition, it also included companies and factories related to major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ectors in each region. Specifically,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spinning factories, memorial factories, rice mills, atomic bell manufacturing plants, and seedlings were included in the destination,. These were characterized as places where female workers worked. Later, in the 1930s, a “factory tour group” was organized to view only industrial facilities for wives. The purpose of these tour groups was to improve prejudice and awareness of the factory's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latest factory tou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form and purpose of the “Madam Tour Group” from the 1920s to 1940s confirmed that the colonial “Women's Tour Group” consistently included the latest industrial facilities on the tour site.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most important role of Korean women to understand and adapt to modern society, particularly, to participate in production lab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local Korean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se women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the past, and our study revealed the reality of the unknown “Madam Tour Group.” However, this study is only an overview of the reality of the enlightenment project in the form of the “Madam Tour Group” by period. The limitation is that it has not led to the study of the daily history of modern Korean women. For more in-depth research on modern Korean women,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process of mobilizing women's labor into modern agriculture and industry and the working environment surround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