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元代 雜劇 속의 몽골어 : 어휘적인 문제들을 중심으로

        문성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 中國文學 Vol.48 No.-

        漢語一直被認爲是孤立語之一, 徹底排除任何外部接觸或影響的可能性。 但是, 從大部分元代雜劇作品看來, 蒙語借詞在十三·四世紀的文獻記錄中時時可見, 其中雖有一些詞及其用法已經被淘汰, 但也有不少詞在和漢語接觸交流的過程當中早就擁有了自己的位子, 其生命力直到今天也一直很堅强。 雜劇裏面的蒙語借詞在其數量和影響上幷不算多, 但從中可以知道, 借詞對漢語的影響雖然少之又少, 但其涉及面很廣, 語言接觸必然性地和其他語言通過任何形式互相交流影響; 而且, 在中國, 尤其在一個像元代那樣擁有多元文化的開放性的國度裏, 這種情況更加顯著。 從蒙古引進來的種種借詞, 再加上"直譯體"文體及"漢兒言語"等, 這些與漢語固有的語法體系明顯不同的語言現象, 正是漢語一直和外部因素卽外族語言互相交流影響的明證。

      • KCI등재

        중국어 동결문에서의 결과보어와 목적어의 관계

        문성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文學 Vol.37 No.-

        在漢語歷史語法領域裏, 結果補語占有十分重要的地位。?不但對其內部發展具有一定的歷史意義, 在硏究趨向ㆍ情態ㆍ程度ㆍ可能等補語方面, 也被認爲主要環節之一。包括王力在內, 許多漢語學者一般都對“說急”ㆍ“弄壞”ㆍ“擺齊”ㆍ“說大”ㆍ“吹倒”ㆍ“籠住”ㆍ“刮破”ㆍ“吃盡”等詞屬於結果補語表示同意。但是, 從其語法關係或構成原則來講, 其中只有“壞”ㆍ“倒”ㆍ“破”才能算做結果補語, 而“急”ㆍ“齊”ㆍ“大”ㆍ“住”ㆍ“盡”等詞, 倒屬於情態補語或程度補語。那?, 結果補語到底是一種?樣的補語? 動結式在一定的語言環境裏和其?語法成分發生?樣的語法關係, 發揮?樣的語法功能? 本文從這些問題出發, 對部分古ㆍ近代漢語及元代雜劇裏面所用動結式進行初步考察得出了如下幾項結論: 其一, 結果補語一般由和述語動詞構成因果關係的他動詞·自動詞和形容詞來充任。如果某個補語成分沒有和述語動詞構成因果關系, 却作爲一種狀語, 修飾置於其前的述語動詞, ?就不是結果補語而是情態補語或程度補語。 其二, 結果補語在動結結構的語法性質由置於其後的賓語決定。在VC格式裏, 該動結結構作爲該句唯一的述語而存在, 其語法性質幷沒發生任何屈折。但像VCO格式一樣, 賓語置於其後, 其語法性質就屈折爲詩動詞, 支配該賓語。 其三, VOC格式和VCO格式, 在其語法結構和語義體系上截然不同, 其補語性質也不一樣。卽: 在後者, 結果補語受句中賓語的影響, 被屈折爲使動詞; 而在前者, 因爲該句不帶任何賓語, 所以結果補語不失其作爲自動詞或形容詞的本來面目。

      • KCI등재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의무와 그 책임의 범위

        문성재 한국재산법학회 2003 재산법연구 Vol.20 No.1

        When one party of a contract rescinds the deal, the parties concerned have the obligation to recover any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during the time between the initial contract and the rescission of it. To rescind a contract is to return to the previous state where the contract has not yet taken place by the declaration of one party concerned with the it. Here arises the problem of what things to be recovered and how much to be compensated for irreversible changes. This paper is planned to deal with such problems. The Civil Law provides for two kinds of rescission, one being the statutory rescission recognized in the case of delay of performance or the impossibility of it, and the other being contractual rescission. Statutory rescission usually occurs in the case of nonfulfillment of obligation by one party of contract. Now when the contract was rescinded because of defective product or some responsible reason, we should not approach the problem with price mutuality, because such approach will result in forcing the other party to accept all the disadvantages. Therefore, the problem of whom to ascribe the responsibility to, is not fully answered by Unjust Enrichment Law or the Contract Law. We would need a reasonable solution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the party who incurred the loss and the reason of contract rescission. thus ascribing the loss to the party who incurred the loss. When goods are returned as a procedure of recovery,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goods should include the fruits gained from it during the time the contract was in effect, and that certain rate of interest be counted for when the contract concerns monetary assets. However, if the original goods are missing or impaired. the problem of compensation rises. Goods generally depreciate in value with time and use. The problem of who to be held responsible for the depreciation, or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compensate for the goods with the fair market price at the time of rescission also needs in-depth review. The paper deals with such problems concerning the rescission of contracts as mentioned abo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포괄적 유물론에 기반한 배치 모델 탐구

        문성재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21 수학교육철학연구 Vol.3 No.2

        최근 수학교육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을 따른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de Freitas, Ferrara, & Ferrari, 2019; de Fretias & Sinclair, 2013; Ferrara, & Ferrari, 2017; Moon & Lee, 2020; Ng & Ferrara, 2020). de Freitas & Sinclair(2014)는 교육 현상에서 인간의 힘에만 주목하려 하였던 기존 접근을 비판하며 등장한 이러한 연구들을 가리켜 포괄적 유물론(Inclusive materialism)이라 명명하였다. 포괄적 유물론을 따른 연구들은 인간과 비-인간 물질의 구조적 배열, 즉 기계적 배치(assemblage)가 형성되면서 수학 학습이 일어나는 양상을 분석한다(Ferrara & Ferrari, 2017; Moon & Lee, 2020). 이 관점을 따르면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이 새로운 의미와 맞닥뜨리는 것은 교사와 학습자의 신체 그리고 다종의 물질 사이 기계적 배치가 형성될 때 가능하다. 여러 연구를 통해 수학 학습 과정에서 작용하는 물질의 행위성을 포착하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으나, 아직 여러 물질의 구조적 배열이 형성되며 수학 학습 과정이 어떻게,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물질의 구조적 배열이 변화할 때 나타나는 비언어적인 학습자의 변화는 기존의 인간 혹은 담론 중심적 연구만으로는 온전히 설명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수학 학습 과정의 물질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모델을 도출하는 작업이 새롭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 및 포괄적 유물론의 논의에 기반을 두고, 학습 과정의 물질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배치 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