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득분위별 고용안정성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문석준,이재은,김희년,김혜윤,오수진,여나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care use by income level and employment stability. Health care use is confined here to outpatient care use and this study examines its quantitative (number of outpatient use per year) and qualitative (outpatient health care expenses per ye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d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2013-2018) for data. A total of 433,238 cases (11,909 subjects) were extracted based on employment status and medical security type.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incom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income groups. We employed Panel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to identify factors of the number of health care services used and the volume of health care expenses, respectively. Our analysis found that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use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ried status,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insurance payments, health insurance eligibility,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ayments, private insurance payment, and chronic disease status. In particular, as for employment status, which is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emporary-daily workers and self-employed use less health care than regular-full time worker with relatively high employment stabilit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variables by income sub-groups in health care us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design that considers not only income but also employment stability is needed to ensure the national health security such as the policy of reorganiz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imposition and expansion of 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range. 본 연구는 소득과 고용안정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의료이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때 의료이용은 외래이용으로 한정하였고, 양적(연간외래이용횟수), 질적(연간 외래의료비 지출) 측면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2013~2018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종사상 지위, 의료보장 형태를 기준으로 433,238건, 11,909명을 추출하였다. 특히 소득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득을 4분위로 나누어 하위집단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패널음이항분석을 사용해 의료이용횟수를, 패널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해 의료비지출을 분석하였으며, 각각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연령, 교육 수준, 배우자 유무, 종사상 지위, 건강보험 가입자격, 고용보험 납입 여부, 산재보험 납입 여부, 민간보험 가입 여부, 만성질환 여부 등이 의료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인 종사상 지위의 경우 비교적 고용안정성이 높은 정규ㆍ상용직보다 임시ㆍ일용직, 자영업자 계층에서 의료이용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료이용횟수와 의료비지출 각각에서 소득분위별로 일부 변수들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의 가입자 확대 등 향후 국민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에 있어 소득뿐 아니라 고용안정성의 측면이 함께 고려된 정책 설계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다수준분석을 활용한 개인특성 및 지역환경에 따른 우울증 관련 영향요인 분석

        문석준,이가람,남은우 한국보건행정학회 2020 보건행정학회지 Vol.30 No.3

        Background: This study is aimed to ver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Koreans and to develop social programs for improving the depressive status. Methods: This study used individual-level variables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2018) and used the e-regional index of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s the regional-level variable.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was execut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variables that were expected to affect the extent of depressive symptoms and to draw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o compare the volume of impact between variables from both levels. Results: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regards to individual-level factors showed that older age, female gender, a lower income level, a lower education level, not having a spouse, the practice of walking, the consumption of breakfast higher levels of stress, and having high blood pressure or diabetes were associated with a greater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In terms of regional factors, areas with fewer cultural facilities and fewer car registration had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The comparison of area under the curve showed that individual factors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regional factor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both,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ffect depression, the influence of the latter was relatively weaker as compared to the first.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cused on the individual, such as social prescribing at the local or community-level, rather than the city and nation-level approach that are currently prevalent.

      • KCI등재

        군병원 종사 의무병들이 환자로부터 경험한 무례함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석준,이호철,김지언,남은우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2 No.2

        reduce job stress for medics who worked in the armed forces hospitals. Specifically, it showed that reducing incivility from military officers and military personnels, especially those who have hierarchical status, is essent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to reduce the job stress of medics who worked in the armed forces hospital. 본 연구에서는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국군병원에서 의무병으로 복무한 병사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일반적 특성, 환자로부터의 경험한 무례함, 직무 스트레스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군병원 에 종사한 의무병들이 환자들로부터 받는 무례함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이 중 병사 환자와 민간인 환자로부터의 무례함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간 부 환자로부터의 무례함과 군무원 환자로부터의 무례함은 직무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군 병원 의무병들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 해 힘희롱 예방교육의 실시, 부정청탁 금지에 대한 홍보, 힘희롱 근절을 위한 제도 개선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