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민화합물 첨가에 의한 폴리우레탄 폼의 인체유해 알데하이드 성분 저감 효과

        이도경,문경돈,한영훈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폴리우레탄 폼은 높은 흡음, 차음, 방진효과와 더불어 쿠션성, 가격경쟁력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Seat, ISO Dash, Floor Carpet, Package Tray 등의 자동차 내장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재인 반면 Polyol과 Isocyanate의 urethane 반응을 통해 합성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알데하이드 성분이 다량 방출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 폼에서 방출되는 알데하이드 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아민화합물을 Polyol 대비 0.5 %에서 2 %까지 중량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여 알데하이드 성분의 방출 특성을 살펴보았다. 1차 및 2차 아민 성분과 알데하이드와의 반응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폼에서 발생하는 주요 유해물질인 Formaldehyde, Acetaldehyde, Acrolein, Propionaldehyde가 각각 91%, 53%, 88%, 62% 정도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sup> 본 연구는 2018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첫걸음기술개발사업 지원에 의한 연구 입니다[S2659673].

      • Ti 합금 표면상에 플라즈마 전해 산화 방법으로 형성된 세라믹 코팅층의 전해액 내 Aluminate 함량에 따른 구조적 특성 변화

        이도경,문경돈,한주현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본 연구는 Ti-6Al-4V 합금 상에 플라즈마 전해 산화 방법으로 산화물 세라믹 코팅층을 제조하고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플라즈마 전해 산화 공정에 사용된 전해액은 NaOH-Na<sub>3</sub>PO<sub>4</sub>-NaAlO<sub>2</sub> 혼합용액이었으며 전해액 내에 Aluminate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Ti 합금 표면에 제조된 세라믹 코팅층의 결정 구조는 TiO<sub>2</sub> 및 Al<sub>2</sub>TiO<sub>3</sub> 상을 나타내었으며 Aluminat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l<sub>2</sub>TiO<sub>3</sub> 상의 X-선 회절 피크의 강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E-SEM 단면 측정 결과, Aluminat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라믹 코팅층의 두께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FE-SEM 표면 사진 촬영으로부터 세라믹 코팅층의 표면은 거칠고 다공성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해액 내에 Aluminate 농도 비율을 조절해 가면서 첨가함으로서 표면의 기공은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결과물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산업단지 캠퍼스 조성사업’국고지원금으로 수행한 패션테크 융복합 산업단지캠퍼스조성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 폴리우레탄 폼 및 Nature fiber에의 아민화합물 첨가에 따른 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 저감 효과

        이도경,문경돈,한영훈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자동차 내장재 소재인 폴리우레탄 폼과 Nature fiber의 냄새의 주원인 성분인 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의 저감을 위해 액상타입의 아민화합물을 첨가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경우, Polyol과 Isocyanate의 urethane반응을 통해 합성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에 대하여 액상 아민화합물을 Polyol 대비 2% 첨가했을 경우, 약 53%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ture fiber 소재는 Kenaf와 Polyporopylene의 고온 압착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의 저감을 위해 아민화합물을 Kenaf 분사 하였다. Kenaf 질량 대비 2~10% 분사량에 따른 방출 특성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Nature fiber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이 최대 약 71% 정도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