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 문화콘텐츠 체험이 한국제품의 구매 의향 및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옥한,윤성준,장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논집 Vol.24 No.3

        본 연구는 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국 문화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높일 목적으로 한류의 중심국인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체험과 국가이미지가 한국 제품의 구매의향과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를 통한 한국 문화콘텐츠의 구전 영향력으로 인해 제품구매의향과 한국방문의향이 증가하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가요, 음식, 드라마, 영화, 화장품 이 다섯 개 한국 문화콘텐츠 유형에 대한 체험은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구매의향, 한국방문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제품구매의향과 한국방문의향에 있어서 화장품이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체험은 한국 국가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과 한국방문의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문화콘텐츠 체험은 SNS구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특성(가교형 vs. 결속형)은 한국 문화체험과 구전효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S구전이 한국제품구매의향과 한국방문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lobal effects of experiencing Hallyu cultural contents on Chinese consumers who are are acutely exposed to diffusion of Hallyu.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SNS-based WOM about experience of Hallyu contents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visit inten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experiencing cultural contents which are into music, food, drama, movie, cosmetic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wo dependent variables, with cosmetics exhibiting the greatest impact. Also, Korea’s country image was found to exert impact on the outcome variables. What is more, cultural experiences partially influenced SNS-based WOM, and network traits (bridging vs. bond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xperiences and SNS-based WOM. Finally, SNS WOM positively influenced outcome variables.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문화컨텐츠 소비에 대한 촉진 및 저해요인의 분석

        윤성준(Yoon, Sung-joon),목옥한(Mu, Yuh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 KCI우수등재

        사회적 기업의 가치공동창출 행동모델의 검증

        윤성준(Sung-Joon Yoon),한희은(Hee-Eun Han),목옥한(Yu-Han Mu)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2

        Social enterprises pursue dual objectives of maximizing profit based on conventional business principle, and creating socially value-added services by embracing the concept of social responsibility (Hines 2005). WIth this distin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 and conventional firms on mind, this study primarily purports to find predictors of value co-creation taking place in social enterprises. Value co-creation is a notion based on the presmise that the cosumer’s role has expanded from the past conceptualizations of resource acquisi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to include one of value creation. The recent literature on value co-creation includes some studies based on empirical approach with most of them centering around scale development focusing on customer participation(Gu and Nah 2012; Yi and Gong 2012), firm performacne(Nam et al. 2011), financial service(Chan et al. 2010), trust and commitment(Randall et al. 2011).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in two aspects; First, they primarily confined their focus to value co-creation which is mostly led by firms and evaluation of the incremental firmperformance due to customer participation, thus leaving a void in the research on customer initiated value co-creation. Second, the previous studies seem to have relied on service oriented firms, with few of them looking into the wider spectrum of business operations including manufacturing firms. The major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pply the concept of value co-creation in validating a consumer behavioral model and to find out about the factors affecting value co-creation behavior of the current and potential customers of social enterprises. In view of such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defines value co-creation behavior as a construct consisting of engagement, helping, and advocacy, and prescribed social factor and corporate factor as predictors of value co-creation behaviors.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social factor(network and reciprocal norm) and corporate factor(CSR perception)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value co-creation behavior with regard to social enteprise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rporate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redictors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s, with the result that corporate trust mediated for bonding network only. Fin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cultural valu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ors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ultural valu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perception and engagement behavior, and one between reciprocal norm and advocacy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