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해 예측한 외식상품의 미래

        마정아(Ma, Jeong-A),손미희(Son, Mi-Hee),조현영(Cho, Hyun-Young),김종근(Kim, Jong-Keu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3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외식에 대한 중요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연간 약 70조에 이르는 거대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미래 외식산업의 잠재력은 쉽게 판단되지 않을 정도이며 미래 사회, 문화 및 기술발전이 밑바탕이 되어 외식산업의 성장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이토록 외식산업의 미래가 밝은데도 불구하고 현재 외식 연구 분야에서 미래의 외식산업을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대한민국의 외식을 예측하여 현재의 외식산업이 발전할 방향을 예측하고자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미래 시점으로서 10년 후를 가정하였다. 먼저 현재 외식산업의 모습을 분석한 뒤 2011년 외식산업의 키워드를 정리하였는데 크게 한식의 세계화, 치열한 저가전쟁, SNS 마케팅 확산 그리고 웰빙의 지속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10년 후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메가트렌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사회ㆍ기술ㆍ경제ㆍ환경ㆍ정책(STEEP)을 예상하고 메가트렌드를 예측하였다. 사회(S)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이 일상화 되는 네트워크 사회가 등장하고, 새로운 가치관을 추구하는 사회구성원들의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소득수준의 증가와 함께 삶의 질 추구경향이 계속된다. 기술(T)분야에서는 IT, BT, NT,ET를 의미하는 4T의 발전과 IT가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발전하는 IT융ㆍ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경제(E) 분야에서는 양극화로 인한 소비패턴의 변화가 예상되고 지식기반 경제와 같은 경제 신 패러다임이 등장할 것이다. 환경(E) 분야에서는 자원고갈로 인한 에너지 위기와 개인의 건강과 사회를 함께 생각하는 경향이 생길 것이다. 정책(P) 분야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기업들의 CSR 활동을 지원하는 국가지원 그리고 소비트렌드에 영향을 미칠 양극화의 심화가 예측된다. 마지막으로 4개의 2011년 외식 키워드와 11개의 10년 후 미래의 메가트렌드를 접목시켜 최종적으로 미래 대한민국 외식상품의 모습을 7가지로 유추하였으며, 1인식의 발달, 스마트 테이블의 보급, 외식 소비트렌드의 양극화, 패스트푸드 개념의 변화, 식품클러스터, CSR의 정착, 한식의 세계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eating out increases rapidly with increasing the level of incomes and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As it grows huge industry about 70 trillion every year, the potential of food service industrymay be infinite. Especially, globalization, social network service(SNS), smart-technology make possible the endless growth of food service industry. Even though it has a lot of potential, the study of food service industry's future is not sufficient. So this research will predict the korea's eating out in 2020 and then it will give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We analyzed our current food service industry and predict the mega-trend in 2020 based on the expectation of the Society, Technology, Economy, Environment, Policy(STEEP). And then, we infer the future of food service industry from this research data.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ment of single foods, dissemination of smart table, polarization of consumer's consumption, changes in the concept of fast-food, food Industry luster, establishm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lobalization of Hansik.

      • KCI등재후보

        우림조건에 따른 효소발효차 기능성 성분의 용출양상

        추민아(Min-A Choo),손경현(Gyeong Hyun Son),조정용(Jeong-Yong Cho),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승진(Seung-Jin Ma),김두운(Duwoon Kim),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3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65-95℃), infusion time (60-120 sec), and infusion number (1-5 times) on the contents of catechins, caffeine, and theaflavins in Korean enzymatic fermented tea. Catechins were detected in all infusions (1-5 times), whereas tea in the first and second infusions showed the highest catechin contents. Epigallocatechin was present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enzymatically fermented tea infusions. The infusion pattern of caffeine was similar to that of catechins. Both theaflavins and theaflavin-3-gallate were present at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in tea infusions than both theaflavin-3'-gallate and theaflavin-3,3'-gallate, and their contents were mainly eluted in the first and second infusions.

      • KCI등재후보

        효소발효차 우림물의 저장 온도에 따른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

        추민아(Min-A Choo),손경현(Gyeong Hyun Son),조정용(Jeong-Yong Cho),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승진(Seung-Jin Ma),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3 한국차학회지 Vol.19 No.2

        효소발효차를 우려낸 우림물을 저장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하는 동안 색조와 catechin류, caffeine, theaflavin류, 그리고 ascorbic acid 등의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소발효차 우림물의 색조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현저하였다. Catechin류와 theaflavin류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더 뚜렷하였다. 특히 catechin류가 theaflavin류보다 높은 저장 안정성을 나타냈다. Caffeine은 저장하는 동안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 온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scorbic acid는 catechin류에 비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소발효차 우림물은 5℃(냉장고 온도)에서 5일, 20℃(실온)에서 2-3일까지는 효소발효차 우림물에 함유된 기능성성분 및 색도의 약 60-70% 수준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장 온도와 저장시간에 따라 효소발효차 우림물에 존재하는 기능성 성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효소발효차 우림물의 음용 및 이용효율 증대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The changes in functional compounds, such as catechins, theaflavins, caffeine, ascorbic acid, and color in an enzymatic fermented tea infusion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refrigerator temperature 4℃, and room temperature 20℃, and high temperature (30℃ and 40℃)] for 10 days. The Hunter L value de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Hunter values of a and b increased. The contents of catechins and theaflavins decreased rapidly during storage, but catehins were found to be more stable than theaflavins. The caffeine content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10 days of storage. A color change and degrad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decreasedsignificantly when stored at lower temperatures. These resul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hoosingan appropriate way of drinking enzymatic fermented tea infusions whilebeing stored at home.

      • KCI등재후보

        저장 온도에 따른 녹차 우림물의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

        추민아(Min-A Choo),손경현(Gyeong Hyun Son),조정용(Jeong-Yong Cho),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승진(Seung-Jin Ma),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3 한국차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녹차를 우려낸 우린물을 저장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하는 동안 색조와 catechin류, caffeine, 그리고 ascorbic acid 등의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녹차 우림물의 색조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현저하였다. Catechin류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더 뚜렷하였다. Caffeine은 저장하는 동안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 온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scorbic acid는 catechin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그에 비해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냉장고 조건인 저장 온도 5℃ 에서는 7일째, 상온 조건인 저장 온도 20℃에서는 5일째, 가온 조건인 저장 온도 30℃ 에서는 3일째, 그리고 더 가온 조건인 저장 온도 40℃에서는 하루 저장한 녹차 우림물에는 녹차를 바로 우려낸 우림물에 존재하는 기능성 성분의 약 60-70% 수준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라 녹차 우림물에 존재하는 기능성 성분과 색조가 어느 정도로 유지되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형태의 녹차 우림물 이용에 있어서 귀중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color and functional components (catechins, caffeine, ascorbic acid and colors) in a green tea infusion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Green tea infusions were stored at fou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refrigerator temperature (4℃), room temperature (20℃), and high temperatures (30℃ and 40℃)] for 10 days. During storage, the Hunter L value decreased and the Hunter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catechins and ascorbic acid contents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caffeine content slightly decreased at 1 day of storage and did not undergo any further substantial change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color change and loss of functional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temperature-stored green tea infusion compared to those in the high temperature-stored green tea infusion. In addition, the storage time of green tea infusion depended significantly on its storage temperature.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to consumers for choosing the proper way of drinking green tea infusions after storage at home.

      • KCI등재후보

        녹차추출물의 넙치 어병세균,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항균 효과

        김선준(Seon-Jun Kim),채송아(Song-A Chae),김두운(Duwoon Kim),황재호(Jae-Ho Hwang),한경호(Kyeong-Ho Han),오명주(Myung-Ju Oh),조정용(Jeong-Yong Cho),승진(Seung-Jin Ma),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ong Park),김선재(Seon-Jae Kim) 한국차학회 2009 한국차학회지 Vol.15 No.3

        녹차의 EtOH 추출물과 중성획분, 산성획분을 이용하여 넙치 에드워드병의 원인균 E. tarda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EtOH 추출물과 중성획분 그리고 산성획분을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E. tarda를 10?CFU/mL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추출한 genomic DNA의 감소로 항균성을 측정하였고,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E. tarda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EtOH 추출물>중성획분>산성획분이었으며, EtOH 추출물 1500, 2000 ppm에서 E. tarda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이에 대한 MIC와 MBC는 1000~2000 ppm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Green tea extract was tes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Paralichthys olivaceus pathogenic bacteria, Edwardsiella tarda.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genomic DNA concentration level of E. tarda, which was obtained after treatment of green tea ethanol extract, EtOAc-soluble neutral and acidic solvent-fractionation, respectively. Green tea extract showed the concentration dependent killing against E. tarda, where the green te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E. tarda 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1000~2000 ppm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1500~2000 ppm.

      • KCI등재후보

        우림조건에 따른 녹차 기능성 성분의 용출양상

        손경현(Gyeong Hyun Son),추민아(Min-A Choo),조정용(Jeong-Yong Cho),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승진(Seung-Jin Ma),김두운(Duwoon Kim),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2

        우림 조건에 따른 녹차 유용 성분의 용출 양상을 구명하고자, 가공 방법이 다른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증제 녹차와 덖음 녹차를 대상으로 우림 온도(60-95℃), 우림 시간(60-120초), 우림 횟수(1-5회) 등의 우림 조건을 달리 하여 조제한 녹차 우림물에 용출된 catechin류, caffeine, ascorbic acid의 용출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atechin류는 우림 온도와 우림 시간에 따라 용출 양상에 차이가 있었으며 두 종의 녹차 모두 1회째에서 5회째까지의 우림물에서 검출되었으며 2회째 혹은 3회째의 우림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용출되었다. 특히 catechin류는 높은 온도의 우린 물에 서 긴 시간 동안 우릴 때 많은 양이 용출되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Caffeine은 catechin류와 유사하게 모든 우림물에서 검출되었으나 catechin류 보다 용출이 더 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Ascorbic acid는 덖음 녹차보다 증제 녹차에 다량 존재하고 있었으며, 두 녹차 모두 1회째와 2회째의 우림물에서 대부분 용출됨이 확인 되었다. 이 결과, 우림 조건을 달리 할 때 증제 녹차와 덖음 녹차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성분인 catechin류, caffeine, 그리고 ascorbic acid의 용출 양상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녹차 우린물의 함유된 기능성 성분에 관한 정보와 최적 녹차 음용 방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catechins, caffeine, and ascorbic acid of Korea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infusions prepared under different infusion conditions. The teas were infused by different water temperature (60-95℃), infusion time (60-120 sec), and infusion number (1-5 times), respectively. Catechins were detected in all infusions (1-5 times) of both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s, although their contents were differed by different infusion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infusion time. Second and third tea infusions showed the highest catechin contents. Caffeine infused faster than catechins and the infusion pattern of caffeine was similar to that of catechins. Almost of ascorbic acid was elut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infusions. Steamed green tea showed higher ascorbic acid content than roasted green tea.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in choosing the correct way to drink tea with biological active comp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