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중학교 사회과 경제교육 내용의 변천

        마웨이화,이윤호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economic education content in China’s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the time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present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country’s national development ideology due to regime change. The analysis reveals thre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education in China’s middle school curriculum. Firstly, the curriculum actively reflects relevant content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ideology of China. Secondly, labor education has always been given great importance. Thirdly, the history of human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content of economic education. China's curriculum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Korea’s middle school economic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nomics.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between China, a socialist country, and Korea, a capitalist country, are reflected in their middle school economic education. 이 글은 개혁개방 이후 현재까지 중국에서 정권 교체에 따른 국가발전이념의 변화와 연계해서 중국 중학교 교육과정의 경제교육 내용 요소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서 중국 중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경제교육 관련한 세 가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각 발전 시기와 발전 이념에 발맞추어 교육과정에 관련 내용이 적극 반영되고 있다. 둘째, 노동 교육이 시종일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셋째, 인류의 경제 발전사를 경제교육의 중요한 내용으로 취급해왔다. 중국의 교육과정은 경제학 원론 체계를 따르고 있는 한국의 중등학교 경제교육과 구조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주의국가인 중국과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의 정치경제 체제의 차이가 경제교육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