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관령 지역 경제림에 대한 내풍 안정성 분석 및 임업적 적용

        마니람목탄 ( Mani Ram Moktan ),권진오 ( Ji No Kwon ),임주훈 ( Joo Hoon Lim ),신문현 ( Moon Hyun Shin ),박찬우 ( Chan Woo Park ),배상원 ( Sang Won Ba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대관령 특수조림지에 식재된 주요 경제수종인 잣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의 내풍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여 조림지의 풍해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각 수종별로 5개씩 총 15개의 임시 방형구(20m × 20 m)를 설치하였으며, 흉고직경 10cm 이상의 수목에 대하여 수고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수종별 수고/흉고직경 비율(h/d 비율)을 분석한 결과 잣나무와 전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해 비교적 낮은 h/d 비율을 나타내어 내풍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 약 9%의 일본잎갈나무가 내풍 임계치(80) 이상의 h/d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수목들은 풍해에 매우 취약하여 다음간벌 기간 동안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산분석 결과 수종별 h/d 비율과 흉고직경의 지니계수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종별 흉고직경의 지니계수는 전나무 16.4%, 잣나무 14%, 일본잎갈나무14%로 나타났다. 낮은 h/d 비율은 수종별 형태학적 차이와 간벌 시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목의 내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h/d 비율이 80 이상인 수목에 대한 하층간벌이 초기 혹은 임분 분화기(stand distinction phase)에 집중되어야 한다. 산림관리자와 시업자는 수목의 h/d 비율을 측정하고 임분 밀도를 관리하여 비율을 내풍 임계치인 80 이하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동령림에서 수목의 흉고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h/d 비율이 높은 수목에 대한 택벌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wind stability of Larix kaempferi (Lamb.) Carr., Pinus koraiensis Sie. & Zucc. and Abies holophylla Maxim. to understand and inform wind risk management of these plantation trees at Daegwallyeong, Korea. Temporary square plots of 20 m × 20 m (400 m2) were laid out, and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height for trees greater than 10 cm in DBH were measured by species. A total of 15 plots with 5 plots each in L. kaempferi,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stands were sampled at random. Among the species, A. holophylla and P. koraiensis have comparatively lower h/d (Height/DBH) ratios than L. kaempfer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rmer two species are more wind firm than the latter species. About 9% of the L. kaempferi trees have higher h/d ratios than the critical threshold limit 80. These trees are vulnerable to wind damage and should be removed in the next thinning regime. The analysis of variance det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in the h/d ratios and Gini coefficient indicating species differences and DBH size variation, respectively. Gini coefficient was 16.4% in A. holophylla, 15.9% in P. koraiensis and 14% in L. kaempferi stands indicating limited DBH size variation. Lower h/d ratios are attributed to thinning in these stands and tree morphological differences. To increase wind firmness, low thinning should concentrate to remove trees with the h/d ratio above 80 coinciding at the time of stand distinction phase. Forest managers and practitioners should measure and maintain h/d ratios of trees below the critical threshold limit of 80 through stand density management. Variable density thinning approach should be tested to increase tree DBH sizes of the even-aged st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