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에서 발생한 슬개골 상단부 소매형 골절

        유문집 ( Moon Jib Yoo ),유재성 ( Jae Sung Yoo ),류지원 ( Jee Won Ryu ) 대한외상학회 2013 大韓外傷學會誌 Vol.26 No.3

        A patella sleeve fracture is a type of avulsion fracture in which a small osseous fragment gets, along with a sleeve of periosteum and cartilage, is pulled off from the patella. The avulsed sleeve of cartilage and periosteum is not apparent on plain radiographs, which can result in a missed diagnosis or an underestimate of the extent of injury. An avulsion or sleeve fracture of the patella in a child can occur at the superior or the inferior pole of the patella. However, most reported cases of sleeve fractures involve the inferior patellar pole, with fractures involving the superior patellar pole being very ra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 sleeve fracture of the superior pole of the patella in an adolescent; the fracture was diagnos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was treated with surgery after early diagnosis. Th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 outcome was excellent.

      • KCI등재

        슬관절 통증을 유발한 사구체 종양

        박희곤(Hee-Gon Park),김성현(Sung-Hyun Kim),류지원(Jee-Won R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사구종은 피하 지방층의 사구체에서 발생하는 혈관종의 일종으로 수부의 원위부, 조갑하에 특징적으로 호발하며 슬관절 주위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 압통, 추위 민감성이 삼주징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증상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수지 이외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구종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수년간 지속적으로 슬관절 통증이 있었던 사구종 증례 2예를 경험하였으며 각각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하였다. 슬관절 주위의 지속되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사구종의 삼주징인 극심한 통증, 추위 민감성, 압통의 증상 유무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사구종도 감별해야 함을 이 증례를 통하여 알 수 있었고 빠른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Glomus tumor is a kind of hemangioma that occurs at the glomerulus in the subcutaneous layer. It mainly occurs at the distal hand and subungual area, and rarely at the knee joint. Pain, tenderness, and cold intolerance are known symptoms; however, symptoms in practice are not so easily detectable, and the diagnosis can be delayed if it is presented at areas other than the hand. If the diagnosis is delayed, patients could suffer extreme pain.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are important. Ultrasoun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re used to diagnose glomus tumor in our cases, which were found in subcutaneous tissue and muscle fascia. We claim that, for patients with persistent pain, known symptoms—extreme pain, cold intolerance, and tenderness—should be examined carefully and rule out glomus tumor. We report 2 cases of glomus tumors around the knee joint, which is not a common location of occurrence.

      • KCI등재

        극상근 지방변성에서 탄성초음파의 정확도

        서중배(Joong-Bae Seo),유재성(Jae-Sung Yoo),류지원(Jee-Won R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공명영상을 기준으로 극상근의 지방변성을 평가함에 있어 탄성초음파의 정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자기공명영상과 탄성초음파를 시행하였던 126명(131예)의 견관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탄성초음파를 이용해 극상근의 사위 시상면 영상을 얻었으며, 탄성초음파 영상은 256단계의 색조지도영상을 이용해 두 명의 정형외과의사에 의해 평가되었다. 결과: 극상근의 지방변성을 자기공명영상을 기준으로 했을 때, 탄성초음파의 민감도는 89.47%, 특이도 92.85%, 정확도 91.60%였다. 탄성초음파영상의 관찰자 간 일치도는 almost perfect agreement로 weighted kappa coefficient는 0.81이었다. 자기공명영상과 탄성초음파의 등급은 양의 상관관계(r=0.85, p≤0.001)를 보였다. Occupation ratio와 blue region area ratio 역시 양의 상관관계(r=0.69, p≤0.001)를 보였다. 결론: 탄성초음파는 극상근의 지방변성정도의 정량적 평가에서 높은 정확도와 자기공명영상과의 일치도, 관찰자 간 일치도를 보여 극상근의 지방변성 평가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s the standard of 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onoelastography (SE) for assessment of fatty degeneration of suprasupinatus (SSP).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131 shoulders of 126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houlder MRI, and SE. Oblique sagittal images of SSP were obtained using SE; the SE images were evaluated by two orthopedic surgeons using a 256 degree color map image. Results: When the supraspinatus fatty degenerations were based on MRI findings, the sensitivity of SE was 89.47%, specificity 92.85%, and accuracy 91.60%.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the SE findings was ‘almost perfect agreement’ with a weighted kappa coefficient of 0.81. By comparison of MRI with the SE findings, the grades of MRI and S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0.85, p≤0.001). In addition, the occupation ratio and blue region area ratio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0.69, p≤0.001). Conclusion: SE is valuable in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fatty atrophy of the supraspinatus and has excellent accuracy, excellent correlation with MRI and conventional ultrasonography, and excellent interobserver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