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이다

        류인태 ( Ryu Inta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3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 인문학으로서 지닌본질적 성격에 대해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시점에서 디지털인문학 조류가 갖는 학술적 시사점과 향후 디지털 인문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조망하였다.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이 발표된 지 약 1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사이에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대한 논의와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낯설고 불편한 기술(技術)로서 즉 연구와는 무관한 대상으로서 디지털·데이터 환경을 바라보는 인문학연구자가 다수이다. 인문학 연구로서의 글쓰기 또한 과거 하나의 기술(技術)로서 인지되었음을 고려할 때, 디지털·데이터 환경에서 지식의 자유로운 ‘공유’와 ‘표현’을 실천하고자 하는 디지털 인문학은 기술(技術)을 접목한 인문학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 기술(記述)을 위한 최첨단 리터러시의 일환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points out the essential nature of studies in Digital Humanities as Humanities and looked at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current Digital Humanities trend. The purpose of this approach is to get closer to the truth of Digital Humanities. Despite the steadily increasing discussion and interest in Digital Humanities research since the issue of the ‘Digital Humanities Manifesto’ (2009, 2010), there are still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the Humanities that shun digital data technologies. Writing within the Humanities had been perceived as a Technology (Techne, 技術) in the past, but now it is regarded as a form of academic activity. Given this historical fact, Digital Humanities, freely sharing and expressing knowledge, must be accepted not as a kind of academic methodology that mechanically applies technology but as a part of a high-tech literacy for writing (記述) knowledge.

      • KCI등재

        데이터 기반의 고전 읽기 교육 ― 『논어』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인태 ( Ryu Inta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1

        이 글은 『논어』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의 고전 읽기가 어떻게 가능하며, 그러한 방식의 접근이 교육적 차원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해당 강의가 일반적이지 않은 디지털·데이터 기반의 교수방법론을 차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다소 실험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글이 집중한 논증의 결론은 보편적 차원에서 수용되지 못할수도 있다. 다만 그러한 현실적 수용의 여부와 별개로 해당 강의에서 『논어』 읽기에 적용한 데이터 설계·구축·해석의 과정은 고전을 향한 비판적 접근이자 고전을 다루는 협업적 활동이자 고전에 대한 창의적 제안으로 여겨질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하겠다. 디지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급격한 사회 변화 가운데 인문학 교육 또한 새로운 형식의 리터러시를 고민·수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 글이 던지는 시사점이 작게나마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based on a case of the digital humanities lecture for reading Analects [論語]. This Research focuses on data-based instruction for reading the Classics, and looks at the educational meaning of such an instruction. Considering that the lecture has adopted idiosyncratic teaching methods, the conclusions of this article may not be the universal, or indeed represent the majority view. But apart from that, the process of data design, construction, and analysis in reading Analects [論語] in the lecture is enough to be accepted as presenting a critical approach to classics, a collaborative activity dealing with classics, and a creative suggestion for classics. In a rapidly changing, digital-based environment, we are now approaching a situation in which we have to think about a new literacy for reading Classics. In that context,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is article presents several implications.

      • KCI등재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김지선 ( Kim Ji-sun ),장문석 ( Jang Moon-seok ),류인태 ( Ryu Inta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0

        이 글은 인문학 글쓰기의 새로운 토대인 디지털 환경에 유의하여 인문학 연구 및 교육 플랫폼으로서 위키의 의미와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1장에서는 아날로그 환경의 선형적 글쓰기와 디지털 환경의 조합적 글쓰기를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소프트웨어 엔진, 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 등 위키의 여러 외연을 조망하였으며, 멀티미디어 활용 플랫폼이자 데이터 편찬 플랫폼으로서 위키가 지닌 의미를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웹상의 대표적 위키 활용 사례를 검토하는 가운데, 인문학의 영역에서 위키가 협업과 공유의 지식 플랫폼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4장에서는 인문학 연구 플랫폼으로서 위키를 활용한 여러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위키 환경에서 가능한 인문학 교육의 구체적 형식이 무엇인지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데이터 리터러시의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new space for writing, and comprehensively reviews the value and availability of Wiki as a platform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In Chapter 1, this article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linear writing in analog environments and combinatorial writing in digital environments. In Chapter 2, this article describes the meaning of Wiki in three aspects: software engine, database, and website. Furtherm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availability of Wiki as a multimedia utilization platform and a constructing data platform. In Chapter 3, this articl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Wiki, a platform of cooperation and sharing, being utilized in the humanities field while review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Wiki use on the web. In Chapter 4, this article explores several cases in which Wiki was utilized as a platform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xamines the various ways of humanities education possible in the Wiki environment in terms of digital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ata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