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양국 수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과 수출잠재력 예측

        김석민 ( Seog Min Kim ),류유 ( Yu Liu ) 한국도서(섬)학회 2010 韓國島嶼硏究 Vol.22 No.2

        한국의 수산업 수출은 세계 무역시장의 개방화 자유화 흐름에 적응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한국 경제성장에 일조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수산업 수출확대 정책 등으로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수입이 급증하면서 2001년을 기점으로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매년 적자폭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중 양국 수산업의 국제경쟁력과 수출잠재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국가별 수출전략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세계 수산업 수출시장에서의 한·중 양국의 국제경쟁력을 현시비교우위지수(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수산업의 국제경쟁력은 보통수준(0.87)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중국에 비하여 약세(0.53)로 분석되었으나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중 양국 수산업(HS03류) 수출의 무역패턴과 국가별 수출잠재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GDP, 시장규모(인구), 거리변수를 투입한 중력모형식을 수립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 무역초과국은 뉴질랜드, 태국, 일본, 스페인 등이며, 수출 부족국가는 브라질, 영국, 중앙아시아 국가 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에서는 이를 토대로 하여 교역대상 그룹별(초과, 균형, 부족) 수출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export market of aquatic products met the flow of global trade liberalization and continued to grow,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However, due to the promotion policies of aquatic products exports in China and more stronger competitiveness in major export markets, the trade deficit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since imports increased in 2001. Hence,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otential of aquatic products in Korea and China and pres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mainly based on the export strategies for other countries. Firstly, in order to presen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aquatic products exports in Korea and Chin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RCA) has been appli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China is moderate(average RCA 0.87), wherea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 is relatively weak with a slightly upward trend(average RCA 0.53).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trading pattern for aquatic products(HS03 class) in Korea and China and export potential for other countrie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a gravity model has been drawn out by variables like GDP, domestic market size(population) and distance. From the analysis in Korea, it can be known that countries like New Zealand, Thailand, Japan, and Spain are over trade whereas Brazil, UK, and central Asian countries are in lack of trade. The strategies forwards countries(which is over, balance or lack of trade) of export is shown in the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