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컨텐츠 이용욕구 및 지원방안 연구

        류명화(Ryoo, Myung-Hw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1 재활복지 Vol.5 No.1

        장애인의 정보격차 요소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크게 경제력, 지식과 교육,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한 제약, 컨텐츠의 부재 등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문제는 지식정보사회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서 정부를 중심으로 공동의 책임하에 모든 국민이 누려야 하는 정보권을 장애인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제공실태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개별기관들이 기관을 홍보하는 홈페이지 성격의 아주 초보적인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인터넷이 사회에 대한 접근성을 제약받는 장애인에게는 사회의 주체세력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을 질적인 다양한 컨텐츠제공, 커뮤니티형성, 응용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 등 장애인복지분야에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이용욕구조사에서 장애인과 장애인단체의 욕구는 모두 높았으며, 욕구의 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의 재활관련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이용욕구는 평균 2.78로 높았으며, 의료재활, 종합, 정보통신 및 보장구 순이었으며, 교육재활영역이 가장 낮았다. 구체적으로 장애인들은 재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컨텐츠 외에도 재활보조기 및 생활용품, 교통 및 편의시설, 자동차, 정보접근을 위한 특수장비, 정보화교육, 컴퓨터보급, 여행이나 여가시설 정보 등 사회에 참여하면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장애인단체의 컨텐츠 이용욕구 또한 평균 3.44로 매우 높았으며, 단체가 장애인보다 많이 높았다. 재활영역 중 가장 높은 욕구를 보인 영역은 재활종합영역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정보통신 · 보장구, 의료 순이었다. 이는 장애인의 의료, 재활종합, 정보통신 · 보장구와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순과 대조를 보였다. 이와 같이 재활단체는 전문가들이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텐츠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민간재활기관간 사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공유와 연계를 위한 컨텐츠와 재활관련 전문자료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컨텐츠지원방안으로 제공 주체는 장애인복지의 전반적인 사업을 정부와 연계하에 운영하거나, 관련 산하 복지시설을 관리하여 정보의 생성,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 비영리단체가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특화된 컨텐츠의 경우에는 영리단체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유지관리방안으로는 질적인 컨텐츠의 확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와 컨텐츠제공자, 그리고 정보제공자간의 연계하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Th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ccurs in various factors. Mainly, four factors can be investigated: financial state, knowledge and education, the limitations caused by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and the lack of contents. The biggest problem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nformation rights have to be ensured for all people,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ommon responsibility of, especially, the government as a central figure.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ual state of cont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insufficient. Most of the web sites run by individual agencies to publicize their activities are in an elementary level. Although the Internet is a key way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of access to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mainstream of society, they have not utilized properly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supplying diverse qualitative contents, forming community, and providing applied rehabilitation services, etc.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both high in the needs survey on contents utiliz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tems of needs. The total utilization needs for rehabilitation-related content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s high as an average, 2.78. Medical rehabilitation is top, followed by and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ssistive devices in sequence and the edu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is the lowest. To put it concrete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 needs of practical contents necessary for participating in social life, such as, assistive devices, daily necessaries,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vehicles, special equipments for having access to information, computer education, providing computers, and information on traveling or leisure facilities, as well as basically necessary contents for rehabilitation. The utilization needs of contents by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also very high as an average, 3.44; their needs are superior to tha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highest Held is general rehabilitation, followed by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medical rehabilitation. It contrasts with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dical rehabilitation,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 sequence. Thus, the professionals in the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request necessary contents for providing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tents for shared information and linkage on activities and programs of inter-agencies for rehabilitation and contents for specialized data are highly needed for them. Therefore, as the assistance schemes of contents, assistance subjects have to operate overall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or through the management of government-subordinate agencies creation and maintenance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formed the basis to precede information programs are most appropriate and in case of specialized contents, profit organizations are needed to consider as assistance subjects. As the maintenance schemes of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linking between the government, contents provid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is required to secure and manage qualitative contents.

      • KCI등재

        장애인의 컨텐츠 이용욕구 및 지원방안 연구

        류명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1 재활복지 Vol.5 No.1

        장애인의 정보격차 요소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크게 경제력, 지식과 교육,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한 제약, 컨텐츠의 부재 등 네가지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문제는 지식정보사회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서 정부를 중심으로 공동의 책임하에 모든 국민이 누려야 하는 정보권을 장애인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제공실태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개별기관들이 기관을 홍보하는 홈페이지 성격의 아주 초보적인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인터넷이 사회에 대한 접근성을 제약받는 장애인에게는 사회의 주체세력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을 질적인 다양한 컨텐츠제공, 커뮤니티형성, 응용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 등 장애인복지분야에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이용욕구조사에서 장애인과 장애인단체의 욕구는 모두 높았으며, 욕구의 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의 재활관련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이용욕구는 평균 2.78로 높았으며, 의료재활, 종합, 정보통신 및 보장구 순이었으며, 교육재활영역이 가장 낮았다. 구체적으로 장애인들은 재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컨텐츠 외에도 재활보조기 및 생활용품, 교통 및 편의시설, 자동차, 정보접근을 위한 특수장비, 정보화교육, 컴퓨터보급, 여행이나 여가시설 정보 등 사회에 참여하면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장애인단체의 컨텐츠 이용욕구 또한 평균 3.44로 매우 높았으며, 단체가 장애인보다 많이 높았다. 재활영역 중 가장 높은 욕구를 보인 영역은 재활종합영역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정보통신 · 보장구, 의료 순이었다. 이는 장애인의 의료, 재활종합, 정보통신 · 보장구와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순과 대조를 보였다. 이와 같이 재활단체는 전문가들이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텐츠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민간재활기관간 사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공유와 연계를 위한 컨텐츠와 재활관련 전문자료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컨텐츠지원방안으로 제공 주체는 장애인복지의 전반적인 사업을 정부와 연계하에 운영하거나, 관련 산하 복지시설을 관리하여 정보의 생성,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 비영리단체가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특화된 컨텐츠의 경우에는 영리단체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유지관리방안으로는 질적인 컨텐츠의 확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와 컨텐츠제공자, 그리고 정보제공자간의 연계하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Th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ccurs in various factors. Mainly, four factors can be investigated: financial state, knowledge and education, the limitations caused by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and the lack of contents. The biggest problem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nformation rights have to be ensured for all people,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ommon responsibility of, especially, the government as a central figure.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ual state of cont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insufficient. Most of the web sites run by individual agencies to publicize their activities are in an elementary level. Although the Internet is a key way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of access to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mainstream of society, they have not utilized properly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supplying diverse qualitative contents, forming community, and providing applied rehabilitation services, etc.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both high in the needs survey on contents utiliz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tems of needs. The total utilization needs for rehabilitation-related content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s high as an average, 2.78. Medical rehabilitation is top, followed by and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ssistive devices in sequence and the edu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is the lowest. To put it concrete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 needs of practical contents necessary for participating in social life, such as, assistive devices, daily necessaries,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vehicles, special equipments for having access to information, computer education, providing computers, and information on traveling or leisure facilities, as well as basically necessary contents for rehabilitation. The utilization needs of contents by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also very high as an average, 3.44; their needs are superior to tha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highest Held is general rehabilitation, followed by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medical rehabilitation. It contrasts with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dical rehabilitation,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 sequence. Thus, the professionals in the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request necessary contents for providing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tents for shared information and linkage on activities and programs of inter-agencies for rehabilitation and contents for specialized data are highly needed for them. Therefore, as the assistance schemes of contents, assistance subjects have to operate overall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or through the management of government-subordinate agencies creation and maintenance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formed the basis to precede information programs are most appropriate and in case of specialized contents, profit organizations are needed to consider as assistance subjects. As the maintenance schemes of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linking between the government, contents provid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is required to secure and manage qualitativ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