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inn.)의 온도별 발육특성

        류동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매미나방의 생활사를 구명하고자 온도별 발육 실험을 실시한 결과, 15℃에서 암컷은 149.7±7.4일, 수컷이 140.3±10.8일, 20℃에서 암컷이 81.0±3.3일, 수컷이 71.6±2.5일, 25℃에서 암컷이 46.7±2.2일, 수컷이 43.2±2.4일, 30℃에서 암컷이 42.6±2.5일, 수컷이 39.7±3.1일의 발육기간을 나타내었다. 30℃에서 암컷 42.6±2.5일, 수컷 39.7±3.1일로 가장 짧은 발육기간을 가졌으며, 15℃에서 암컷 149.7±7.4일, 수컷 140.3±10.8일로 가장 느린 발육기간을 가져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짧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기별 기간은 암수 모두 2령 기간이 가장 짧았으며, 번데기 기간이 가장 길고, 유충기간에는 번데기가 되기 전의 영기(암컷은 6령, 수컷은 5령)가 다음으로 긴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life cycle of Asian Gypsy Moth(AGM), Lymantria dispar (Linne),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15, 20, 25, and 30℃). As a result, developmental periods from larvae to adult were 149.7±7.4; 140.3±10.8, 81.0±3.3; 71.6±2.5, 46.7±2.2; 43.2±2.4, 42.6±2.5 and 39.7±3.1 days in female and male, respectively. The longest development period was observed at 30℃, whereas the shortest development period was observed at 15℃. Consequently, higher temperature affected shorten the development of AGM. Irrespective of gender, the shortest instar period was 2nd and longest was pupa stage, last-instar period was longer than other instar periods.

      • KCI등재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uren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discovered in Busan sea port, Korea

        류동표,이흥식,Lyu, Dong Pyo,Lee, Heung Si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uren, 1972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was discovered in Busan sea port, Korea. Only one colony was found and then removed rapidly by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벌목 개미과 두마디개미아과(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의 Solenopsis invicta Buren, 1972가 국내 부산항에서 처음 발견되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해 신속하게 제거되었다.

      • KCI등재

        Taxonomic Study on the Poneromorph Subfamilies Group (Hymenoptera: Formicidae) in Korea

        류동표,Lyu, Dong-Pye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한국산 침개미형아과군에 6속 12종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조사된 표본들은 3아과로 톱니침개미아과, 배굽은침개미아과, 침개미아과로 분류되었다. 6속중에서 Cryptopone, Hypoponera, Pachycondyla와 Ponera이 침개미아과에 속하고 Amblyopone와 Proceratium은 각각 톱니침개미아과와 배굽은침개미아과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속 및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12종의 일개미의 외부형태적 특징과 간략한 기술을 일개미의 전자현미경사진과 함께 도해하였다. A total of 12 species in six genera of the poneromorph subfamilies group in Korea was reviewed. All investigated specimens are classified into three subfamilies; Amblyoponinae, Proceratinae and Ponerinae. Totally six genera were known and Cryptopone, Hypoponera, Pachycondyla and Ponera belong to the subfamily Ponerinae and Amblyopone and Proceratium belongs to the subfamily Amblyoponinae and Proceratinae respectively. In this study, keys to the all known genera and species of the subfamilies in Korea are presented. A synonymic list, description of a worker and comments on each species are given with SEM photographs of worker.

      • KCI등재

        식생별에 따른 가리왕산의 개미분포

        류동표 ( Dong Pyo Ly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2

        가리왕산에 분포하는 개미상은 5아과 24속 39종으로 확인되었는데 두마디개미아과는 11속 16종이, 불개미아과는 5속 15종이, 침개미아과는 4속 6종이, 톱니침개미아과와 시베리아개미아과는 각각 1속 1종이 채집되었다. 식생별 개미상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층층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활엽수지역에서는 23속 36종의 개미들이 채집되었는데, 스미스개미와 코토쿠뿔개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활엽수지역에서만 12속 13종이 채집되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이 우점종으로 나타난 침엽수지역에서 총 15속 24종의 개미가 채집되었으며, 왕침개미와 스미스개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침엽수지역에서만 3속 4종이 채집되었다. 일본왕개미와 곰개미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된 지역에서도 스미스개미가 우점하였고, 특히 침개미아과와 시베리아개미아과의 개미들은 고지대로 갈수록 거의 볼 수가 없었다. 두 지역의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은 13속 20종으로 이들 중 가장 두드러진 종인 스미스개미(불개미아과)와 코토쿠뿔개미(두마디개미아과)의 colony현황은 저지대에서는 스미스개미가 우세하였고, 고지대에서는 코토쿠뿔개미의 세력이 우세하였다. The ant fauna in Mt. Gariwangsan was composed of 39 species 24 genera 5 subfamilies. The collected ants in Mt. Gariwangsan were Subfamily Myrmicinae(16 species 11 genera), Subfamily Formicinae(15 species 5 genera), Subfamily Ponerinae(6 species 4 genera), Subfamily Amblyoponinae(1 species 1 genera), and Subfamily Dolichoderrinae(1 species 1 genera). Ant fauna by vegetation in Mt. Gariwangsan, 36 species 23 genera were collected in broadleaf tree areas in which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Tilia amurensis, and Cornus controversa were dominant species. Paratrechina flavipes and Myrmica kotokui were dominant species. 13 species 12 genera were collected only in broadleaf tree areas. In the coniferous tree areas where Pinus densiflora, Pinus korainensis, and Larix kaempferi were dominant, 24 species 15 genera of ants in total were collected. Pachycondyla chinensis and Paratrechina flavipes were dominant species. 4 species 3 genera were collected only in the coniferous tree areas. Paratrechina flavipes was dominant even in the areas in which Camponotus japonicas and Formica japonica had been assumed to be dominan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and was, the rarer Ponerinae and Dolichoderinae were observed. The common species observed in both areas were 20 species 13 genera. Of these ants, Paratrechina flavipes(Subfamily Formicinae) and Myrmica kotokui(Subfamily Myrmicinae) were distinctive ants. With regard to the current state of colony of these species, Paratrechina flavipes was dominant in lowland areas. Myrmica kotokui, on the other hand, was dominant in highland are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잣나무 조림지내 숲가꾸기 지역의 딱정벌레류 분포조사.

        이근섭,류동표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본 연구는 잣나무 조림지의 현지조사를 통해 산림생태와 숲가꾸기 지역에서 발생하는 딱정벌레류를 조사함으로써 딱정벌레류의 분포 및 우점종을 분석하여 잣나무 조림지내 숲가꾸기 지역의 딱정벌레류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사 시기는 2008년 7월부터 10월,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9개월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조사방법은 malaise trap을 세 곳을 설치하고 1-2주 간격으로 수거하였다. Malaise trap을 중심으로 5m 간격으로 pit fall trap을 15개 설치하였으며 48시간 후 수거 하였다. 또한 수거당일에는 sweeping과 direct collection을 실시하였다. Light trap은 비교적 딱정벌레류가 많이 나타나는 7월과 8월에 3회 실시하였다. 채집된 딱정벌레목 35과 213종이 채집되었으며, 잎벌레과의 Sphenoraia intermedia Jacoby, 개미붙이과의 Tenerus lewisi Lohde, 긴썩덩벌레과의 Holostrophus orientalis Lewis, Orchesia elegantula Lewis, Aderidae과의 Phytobaenus amabilis Sahlberg등 총 4개과에서 5종의 한국미기록종이 동정확인되었다. 또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딱정벌레목 중에서 나무좀과가 86.5%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고, 비교적 다양한 종이 채집된 과는 하늘소과로 총 50종이 채집되었다. 우점도 지수를 보면 0.81로써 특정종의 우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나무좀과에 왕녹나무좀이 2008년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2009년에 갑자기 많이 개체수가 채집되어 종다양도는 0.45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왕녹나무좀을 제외한 나머지 분류군을 보면 최대종다양성 지수는 2.31로 비교적 다양한 딱정벌레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는 균재성은 0.19로 낮게 나타났다. 이 또한 나무좀과의 왕녹나무좀에 개체수가 워낙 많이 채집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