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의 비(非)화제 주어 (1)

        劉丹?(Dan-Qing Liu),吳有晶(역)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1

        Li & Thompson(1976)에 따라 많은 학자들이 중국어를 화제 부각형 언어로 분류한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중국어의 주어를 화용적 화제로 이해하고, 심지어 중국어에는 통사적 주어는 없고, 오직 화용적 화제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통사, 정보구조, 운율적 특징 및 범언어적 비교를 통해 최소한 1) 주어가 대조 초점인 경우 2) 주어가 정보초점인 경우 3) 주어가 문장 초점문에 사용된 경우 4) 주어가 초점 운용자의 결속을 받는 경우 5) 비한정 주어문일 경우 6) 신정보 주어문일 경우 7) 최소 양화 주어문일 경우에는 주절의 주어가 화제가 아니며, 특히 종속절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더욱 많음을 주장한다. 중국어의 주어와 화제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지만 엄연히 독립적인 통사 성분인 것이다. 나아가 범언어적 관점에서 주어와 화제의 관계를 살피고, 이를 통해 주어의 원형은 행위자라는 관점을 지지한다. 주어는 행위자 원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미역으로 확대될 수 있으나, 그 원근 거리는 언어마다 차이를 보일 수 있다. 화제 부각형 언어의 주어는 다른 유형의 주어보다 화제적 특성이 뚜렷하지만, 그렇다고 비화제적 행위자 성분이 주어가 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Many Chinese linguists agree to various degrees that Chinese is a topic-prominent language, as is proposed by Li & Thompson (1976). It is presupposed in Li and Thompson’s theory that subject and topic are not identical. Many grammarians, however, still hold the viewpoint initially claimed by Yuen-Ren Chao and Charles Hockett that all subjects in Chinese clauses are topics pragmatically. Since in Chinese there is no overt morphosyntactic marking specified on subjects and the subjects do often function as pragmatic topics, it is rather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distinguish the two overlapping notions. This paper aims to set a cluster of criteria under which one can specify situations where subjects are definitely not topics. The criteria are based on syntax, information structure, prosody and cross-linguistic comparison. By the application of these criteria to Mandarin Chinese, the paper identifies seven situations in which subjects are not topics, i.e. 1) subject is a contrastive focus; 2) subject is an information focus; 3) the whole sentence is in focus; 4) subject is indefinite; 5) subject is bound by a focus-sensitive operator; 6) subject is determined by a minimal quantifier, and, 7) subject is new information. In many cases, non-topic subject occurs in a thetic judgement rather than a categorical judgement. Finally, the paper revisits the issue concerning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and topic in general. The author agrees with M. Shibatani that cross-linguistically the prototypical subject is the agent semantically. Languages vary in how far a subject can deviate from the role of agent. In many languages, some non-agent elements with topicality are not allowed to serve as subjects while any agent element, even being in focus, can freely occur as subject. In topic-prominent languages like Chinese, subjects bear topicality more often than in other languages; yet, subjects without topicality, i.e. non-topic subjects are still allow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cases, as is shown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역사문화공간의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수원 화성의 방화수류정과 용연을 중심으로

        김동찬,이세미,류단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1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3 No.1

        The city equate to organism. It has historicity since born and grown.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of city are appear unique identity. And it wa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ver the rarity and particularity, appear vision and driving force that development and growth of city. This research is to take a look at Bangwhasurujung’s And Yongyeon’s components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to suggest Hwaseong’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of course, development of city’s identity. In the literature survey, the related materials were collected to obtain the most useful information for references, POE study of the Bangwhasurujung and Yongyeon in Hwaseong were conducted. The instrument for survey is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a portion of questions regarding Bangwhasurujung and Yongye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18.0 for Windows). Through the POE analysis the usage status, and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affect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paces and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found. It has been found that Bangwhasurujung and Yongyeon requires facilities security and noise or stink seem to be the most two problematic aspects in the park; facilities security should be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overall park design in the future.

      • 스티렌 모노머를 수축저감재로 사용한 UP-폴리머 복합재료의 내약품성

        황의환,한종현,류단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폴리머 결합재의 첨가량에 따라 20종류의 공시체를 제조하여 황산, 초산, 수산화나트륨 및 염화칼슘 수용액에 28일간 침적시켜 중량 변화율과 강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제조한 공시체의 내약품성 시험 전의 압축 및 휨 최대강도는 폴리머 결합재 14% 및 15%에서 각각 나타났다. 4종의 시약 수용액에 의한 중량 감소율과 압축 및 휨강도의 감소율 분석결과, 올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공시체보다 이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공시체의 내약품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티렌모노머 희석제 대신 아크릴로니트릴을 20% 대체하여 제조한 공시체의 중량 감소율과 압축 및 휨강도의 감소율은 시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4종류의 내약품성시험 중에서 수산화나트륨에 의한 중량 감소율과 강도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2017년도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과제번호: 2017R1D1A3B030306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