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촉진질문 제공과 자기설명 지시가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인지욕구와의 상호작용

        도경수(Kyung Soo Do),이효희(Hyo-hee Lee)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2

        촉진질문을 제공해서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 알려주거나 자기설명을 하게 지시하면 기억과 이해가 향상되는지, 그리고 자기설명 지시와 촉진질문 제공의 효과가 학습자의 인지욕구와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3요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촉진질문과 자기설명 지시의 효과는 과제와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억검사에서는 인지욕구가 낮은 학습자에게서 자기설명 지시와 질문 제공이 기억 수행을 향상시켰다.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는 촉진질문이나 자기설명지시는 기억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촉진질문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항목에 대한 기억은 저하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해검사에서는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의 이해 수행이 좋았다. 특히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 촉진질문을 제공하고 자기설명을 하게 지시한 경우에는 이해 수행이 좋았으나,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 촉진질문을 제공하지 않고 자기설명을 하게 한 경우에는 이해 수행이 나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자기설명 지시와 촉진문의 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인지욕구 수준이 낮은 경우 자기설명 지시와 촉진질문의 효과는 가산적일 수 있으며,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자기설명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A three facto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giving prompts and asking for self explanation and the modulating effect of the need for cognition (NC) on the two interventions. The effects of giving prompts and asking for self explan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sk and the level of need for cognition. Participants of low NC conditions showed the prompt effect and the self explanation effect in the memory tes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the high NC conditions performed better in the comprehension test when they were given prompts and were asked to self explain. However, high NC participants performed worse when they were asked to self explain without providing the prompt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detecting the right parts in getting the self explanation effect.

      • KCI등재

        세 사건간의 인과관계 판단

        도경수(Kyung Soo Do),최재혁(Jae Hyuk Choi)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1

        인과도식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과 빈도 자료 해석에 의한 상향처리 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 사건들의 빈도 자료를 주고 인과관계를 판단하게 하였다. 중성 사건들을 주고 판단하게 한 실험 1에서는 Or 구조의 정답율이 높았다. 인과도식 정보와 빈도자료를 주고 판단하게 한 실험 2에서는 Or 구조의 정답율이 높았고, 인과도식과 빈도자료가 일치할 때 정답율이 높았다. 정반응 수와 오반응 수를 대상으로 반응에 이르는 인지과정을 이산적인 과정들의 조합으로 가정하는 Multinomial Processing Tree Modeling을 실시하였다. 모델 피팅 결과 사람들이 빈도자료를 이용하여 인과 구조를 판단할 때 기본적으로 작동하는 인과 도식이 Or 구조라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the Or structure works as a default causal model in inferring the causal structure from the contingency data. The contingencies of three unfamiliar variables were used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inferred the Or structure quite well from the OR data, but incorrectly inferred the Or structure from the And data for about a little less than half of the time, and almost always inferred the Or structure from the chain data.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 interpretation can be the default causal model. The prevalence of the Or interpretation from the contingency data was reported even when the three variables were familiar ones in Experiment 2. Multinomial modeling performed on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Or interpretation work as a default causal mode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서편집기 pull-down menu 배열방식과 명령어 탐지의 효율성

        도경수(Kyung Soo Do),신현정(Hyun Jung Shin),이재식(Jae-Sik Lee),최양규(Yang-Gyu Choi) 한국인지과학회 1998 인지과학 Vol.9 No.4

        문서편집기 pull-down menu 명령어들의 배열방식이 명령어 탐지시간에 어떤 차이를 주는가 알아보았다. 모든 명령어가 포함된 pull-down menu를 사용한 실험 1에서는 기존 메뉴에서 보다 사용빈도순으로 재배열한 메뉴에서 탐사선택기간이 짧았다. 이 차이는 특히 키보드로 반응하는 경우에 유의하였다. 실험참가자별로 명령어를 탐지 · 선택하는 데 걸린 시간이 회귀분석한 결과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 반응하는 경우 각기 다른 탐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실험 2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명령어들로만 단축메뉴를 구성하여 탐지선택과제를 실시하였다. 사용빈도순으로 배열한 단축빈도메뉴와 해당되는 고빈도 명령어들만 제시하는 두 종류의 단축기존메뉴에서 명령어 탐사선택기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빈도단축메뉴에서 탐사선택시간이 짧은 경향을 보인데 반해, 마우스의 경우에는 빈도단축메뉴에서 가장 긴 경향을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를 비교하였더니 명령어들의 배열방식과 상관없이 단축메뉴에서의 탐사선택시간이 짧았다. 실험 3에서는 명령어의 탐사만을 요구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탐사시간을 회귀분석한 결과, 명령어를 탐색할 때 관련된 pull-down menu 내에서 탐색하는 경향과 친숙한 위치에 근거해 탐색하는 경향이 있었다. Effects of word processor pull-down menu arrangements on search time of commands were investigated. Whole pull-down menus were used in Experiment 1 to test the efficiency of frequency-based menu arrangement, in which the commands within a pull-down menu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use. Detection time was shorter in the frequency-base menu than in the traditional menu. especially when keyboard was used as an input devic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detection time suggested that different search strategies might be used depending on the input devices. Reduced menus which contain only the high frequency commands in a pull-down menu were tested in Experiment 2. Reduced frequency-based menu resulted in the shortest time when keyboard was used as an input device. whereas it yielded longer time,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mouse was the input device. Menu search time without using input devices for locating was recorded in Experiment 3 to explore the pure search strategie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wo possible strategies: Search within a pull-down menu from top to bottom, and direct search for well-known positions of the high frequency command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노인집단의 다중 정보 통합과정에 대한 연구

        유현주(Yoo, Hyunjoo),이정모(Lee, Jung-Mo),도경수(Do, Kyung Soo)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4

        전전두엽기능이론이 예상하듯이 시각정보처리와 언어정보처리를 동시에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과제보다 통합하여 처리하는 과제가 노인집단에게 더 어려운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명의 청년집단과 16명의 노인집단 참가자들에게 병행과제, 낮은 수준의 통합과제인 비교과제, 그리고 높은 수준의 통합과제인 추리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청년집단의 경우 병행과제보다 비교과제의 수행시간이 더 짧았고 병행과제와 추리과제간의 수행시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노인집단의 경우 병행과제보다 비교과제의 수행시간이 더 길었고 추리과제의 수행시간이 다른 과제에 비해 가장 길었다. 이 결과는 작업기억에서 중앙집행기의 기능이 노화에 따라 감퇴되어 여러 정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노인집단이 수행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ge-difference effect among adults in their working memory abilities to integrate and coordinate 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 The performances of 20 young adult participants and 16 aged (Mean = 59.75 yrs. old) participants in two different levels of integration tasks, comparison task and reasoning task, were compared with their performance in coordination task. Young participants showed a longer response time in coordination task than in comparison task, but showed no difference in response time for reasoning task and for coordination task. In contrast to young participants, the aged participants showed a longer response time in integration task than in coordination task.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frontal lobe dysfunction theory, and that aging brain entails a decline in the working memory ability of integrat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especially when the integration is of making inferences rather than of simply comparing th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