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 윤리학과 실학: 도덕수양에 대한 다산의 접근

        베이커 한국실학학회 2009 한국실학연구 Vol.0 No.18

        70년이 넘게 실학(實學)이라는 명칭은 조선 후기에 살았던 흥미로운 많은 저술가들에게 적용돼 왔다. 그러나 어떤 사상가들을 ‘실학 사상가’라고 불러야 한다는 것에 대해선 광범위한 합의가 존재하긴 하지만, ‘실학’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선 여전히 합의가 없는 상태다. ‘실학’이라는 말의 의미가 명료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이 아닌 사람들은 어떤 사상가는 ‘실학 사상가’라고 표식을 붙이며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와는 별개로 나는 실학개념에 좀 더 정확한 정의를 내리고 싶다. 그 방향으로 향하는 첫 번째 걸음으로 나는 모든 사람들이 가장 위대한 실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라고 인정하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보통 다산을 ‘실학’자로 상찬(賞讚)하는 사람들은 그의 정부행정, 토지개혁 그리고 다른 경세문제를 다룬 글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한 글들이 실질적인 문제를 언급하고 다산이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유교경전에 대한 다산의 주석 또한 그의 ‘실학정신’의 증거로서 자주 인용된다. 그 주석이 다산 당시 지배적이었던 성리학의 몇 가지 기본 전제에 도전하는 독창적인 사상가의 면모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산이 개인의 행동에 대해 쓴 글을 주목한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그의 도덕성과 자기 수양에 대한 글은 획기적인 실용성과 인간의 도덕 심리학, 인간의 도덕적 의무에 기초하며 이를 계발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다산은 인간 본성에 내재하는 선(善)에 대한 성리학의 수사(修辭)를 넘어 선하게 살려는 인간의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다산은 자신이 설명한 그러한 인간의 나약함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술을 제안하였는데, 그것은 우리의 행동을 언제 어디서나 늘 보고 있는 상제(上帝)를 의식하도록 고무시켜 준 것이었다. 더욱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그의 처방은 일상생활 속의 개인행동에 나타나는 도덕 심리학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다산의 구체적인 도덕 처방과 그의 실용신학(實用神學)만으로도, 이백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배울 점이 있는 중요한 사상가로서 그를 실학의 일급 사상가로 지칭하는데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