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학교 경제교육 개혁 연구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김경모,다카하시 카츠야(高橋勝也)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e how the practices for changing econom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Japan were carried out around 2015 when Japan's full-scale education reform was carried out. To this en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Japan’'s economic education reform work over the past 20 years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pre-2015, Japan's sweeping education reform, and post-2015 economic education reform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reveal specific relationships. As a result, Japan’s economic education reform before 2015 was characterized by government-led, relatively separate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it is judged that the government-led education reform in 2015 enabled the connection between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a teaching method, Active Learning. Japan’s economic education reform work since 2015 has still been strongly led by the government, but it suggests to us that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economic education are linked through the methodical concept of active learning. 본 연구는 전면적인 교육개혁이 이루어진 2015년을 전후하여 일본의 중등학교와 대학의 경제교육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들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그 특징과 연관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년 간 진행된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 작업을 2015년 이전, 전면적인 교육개혁, 그리고 2015년 이후의 경제교육 개혁 등 세 개의 시기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2015년 이전의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은 정부 주도로, 상대적으로 내용을 중심으로, 중등학교와 대학이 따로 진행된 특징이 있다. 이런 면에서 중등학교와 대학 간의 연계성을 방법적인 면에서 가능하게 한 것은 2015년에 일본 정부 주도로 진행된 전면적인 교육개혁 작업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2015년 이후의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 작업은 여전히 정부가 주도한 측면이 강했으나 액티브러닝(Active Learning)이라는 방법적인 개념을 통해 중등학교와 대학의 경제교육이 연계되었다. 특히 대학의 경제교육 개혁과 관련하여 민간 부분인 일본경제교육학회가 진보적인 성향의 국제적인 온라인 경제학 교과서인 [The Economy]의 가이드 북의 제작을 주도하고 이를 확산 보급하고자 하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