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명 전거제어 및 전거형 접근점 작성을 위한 한국목록규칙 개정 방안

        노지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on the Korean cataloging rules (KCR) for personal name access points. KCR4 revised in 2003 has been criticized in the absence of related rules.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objectives and functions of personal name access points in the changing bibliographic universe, (2) the detailed rules for persons in RDA and new NCR, and (3) the cases of personal name access points in LC(Library of Congress), NDL(National Diet Library in Japan) authority records. (4) Based on theses, suggested are rules and examples for recording attributes and the authorized access points of persons in KCR to be revi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the case study, and the interviews with catalogers. 이 연구의 목적은 KCR4와 그 후속 논의에서조차 배제되어 왔던 접근점, 그 중에서도 ‘개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의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FRBR와 FRAD 개념모델, FRBR 실행 시나리오, ICP 등을 토대로 하여 개인명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2) RDA와 일본목록규칙 개정(안)에 수록된 개인의 속성과 접근점에 관한 규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어, (3) 미의회도서관(LC)과 일본국립국회도서관(NDL)에서 구축한 개인명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사례를 분석하고, (4) 관련 규정의 부재 속에서 그간 국내 도서관들이 나름의 방식에 따라 구축해 온 개인명 전거레코드의 사례를 참조하면서 향후 KCR 개정에 반영할 개인명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방안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 형식에 관한 논의

        노지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4

        With the rapid progress toward a new cataloging model,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ing Rules (KCR) are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on constructing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multilingual works,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guage and script of authorized access points.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extended functions and meanings of access points on the new model, (2) relat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reflected in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 and typical cataloging rules,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access points in the current Korean cataloging practices. Finally, (4) desirable languages and script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representing multilingual works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거대한 서지구조에서 개체를 식별하고 개체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데 있어 핵심적 요소인 전거형 접근점에 대해 우리 도서관계가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며, 더불어 전거형 접근점은 어떠한 형식이 보다 바람직한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KCR 2판 이후로 관련 논의조차 전무하였던 접근점의 개념이 오늘날의 정보환경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2) 국제목록원칙과 최근의 새로운 목록규칙에 반영된 전거형 접근점의 개념과 관련 규정을 분석한 후, (3) 우리의 목록레코드에 반영되어 있는 접근점의 실체를 추적해 가면서, (4) KCR 4판의 개정 작업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의 형식, 그 중에서도 문자 형식에 대해 ① 원어 형식, ② 한글 형식, ③ 번자 형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4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Focus was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librarians who have provided a service for the children.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ildren's information behavior and search behavior of OPAC from the viewpoint of librarians, and figured out what barriers are confronted when children are looking for read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data, discussed in details are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kid's catalogs to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 of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depth interview with 29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nd referred to the existing OPAC for the discussion.

      • KCI등재

        명·청대 주석가들과 다산의 「함유일덕咸有一德」 주석 비교

        노지현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4 다산학 Vol.- No.25

        The aim of this paper is fi rstly to analyze the exegeses of “Both Hadthe Same Virtue” by scholars of Ming and Qing periods, and Tasan ofChosŏn Korea, who considered the 25 chapters in old script of the Bookof Documents apocryphal. Secondly, through their comparison with thenewly discovered and deciphered “Exhortation of Yi Yin” by QinghuaUniversity of the Republic of China, it proves the philological truth oftheir analyses. Through this kind of analysis, the article aims to discoverwhat their arguments were, how they infl uenced each other, and howtheir arguments changed. The second chapter is on the exegeses of “Both Had the Same Virtue”by Chinese scholars. It begins with Ma Mingheng, who did notconsider this chapter apocryphal, and continues with Mei Zhuo, HaoJing, Yao Jiheng, Yan Ruoqu, Mao Qiling, Hui Dong and Song Jian. Mao Qiling considering the Book of Documents in old script genuine isquite important in further understanding Tasan’s later analysis. The third chapter concerns Tasan’s analysis exclusively. This analysis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Mei Zhuo’s textual investigationand by a thorough reading of the quality of discourse of “Both Hadthe Same Virtue” by Hao Jing and Yao Jiheng. Conversely, Tasan’s attackswere targeted mostly towards Mao Qiling and partly towards YanRuoqu. The fourth chapter is on the “Exhortation of Yi Yin,” the recentlydeciphered chapter by Qinghua University. Through a translation, consideringthis chapter authentic, the exegeses seen in the fi rst two chaptersare compared with it in order to assign the pros and cons of theirphilological analysis. 이 논문의 목적은 고문『상서』 25편 중 하나인 「함유일덕」을 위작이라고 생각한 명·청대 학자들의 주석들과 다산의 것들을 분석해 보고 또이것들을 최근에 발견된 전국시대 『상서』본 중 최근 중국의 청화대학교에서 해독한 「윤고」의 원본과 대조해 보면서 그들 분석의 문헌학적 진리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런 분석을 통해서 이 논문은 고문『상서』가 위서라고 주장한 학자들의 논쟁이 무엇이었으며, 그들의 논쟁이 어떤 식으로 상호간에 영향을 주었고 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본다. 2장에서는 중국 학자들의 「함유일덕」 주석들을 살펴본다. 이 편을 위작이라고 간주하지 않은 마명형으로부터 시작해서 매작, 학경, 요제항,염약거, 모기령, 혜동, 송감의 주석들을 다룬다. 모기령은 고문『상서』를진본이라고 주장했으나 다산의 주석을 살펴보기 위해 중요하다. 3장에서는 다산의 주석만 살펴본다. 그의 주석은 매작이 한 세밀한텍스트 위작 경위 추적과 학경의 과감한 담론 분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모기령과 염약거는 모두 그가 반론을 편 대상이 됨도 주목할만하다. 4장에서는 최근 청화대학교에서 해독한 「윤고」를 다룬다. 이 편을 번역하고 그것이 원본이라는 가정 하에, 2~3장에서 살펴본 주석가들의문헌학적 분석들의 찬반을 가늠하기 위해 「윤고」와 대조한다.

      • 국립박물관 전시조명 환경조사

        노지현,이승은,곽홍인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21 동원학술논문집 Vol.22 No.-

        Conventional types of exhibition lighting at museums include halogen lighting, optical fiber lighting, and color fading preventive fluorescent lighting. Strict standards have been applied to the use of lighting at museums. However, the 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 in 2013 and the Paris Climate Agreement in 2015 both impacted the use of these existing types of lighting at museums. Accordingly, more eco-friendly lighting such as light-emitting diodes (LED) has become popular. The current regulations for exhibition lighting at museums apply to fluorescent lights. Thus, in order to use LED lights safely and efficiently, new exhibition conditions need to be specifie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otential impacts of LEDs on cultural properties. This investigation is part of a three-year survey project conducted from 2017 through 2019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and Well Light, Inc. to examine exhibition lighting conditions at national museums. It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LED lights and propose conditions for their use in exhibition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ED lights in use at national museums, their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olor fidelity, color fidelity by color, spectral wavelength, chroma shift by hue, and color gamut were investigated. Moreover, a survey of LED lights being sold in the market reviewed whether or not they are suitable for use in museum exhibitions. The kinds of LED lighting being used at national museums ranged from concealed panels and angle adjustable spotlights to ceiling concealed and angle adjustable lights. Most of them had color temperatures of about 3,000 to 4,000 K. LED lights being used at national museums showed wide discrepancies in average color fidelity with differences of 70 to 90 Rf and color fidelity by color with differences of 4 to 25 Rf. The color gamut of these lights ranged from 91 to 98 Rg, they showed a low chroma and desaturation, and most of them had a considerably low range of red (which determines the vividness of color). LED lights characterized by these features are insufficient to fully express the original colors of cultural properties. A survey on LED lights in the marke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product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quality of some LED lights has been upgraded, and their levels of color fidelity, color gamut, chroma, and saturation are similar to recommended levels. These features allow them to fairly express the original colors of cultural properties containing different materials in exhibitions. Previously,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nd color rendering index have been taken into account to assess the quality of lighting. As LEDs with varying spectra develop, however, the precise evaluation of lighting quality is subject to other considerations, including color fidelity, color gamut, and chroma shift by hue. For future use of LED lighting for museum exhibitions, color fidelity, an index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an original color can be reproduced, is recommended to be above 80 for all colors. Moreover, the recommended color gamut, an index indicating whether color is saturated or washed out, should fall between 97 and 115. Color fidelity for red, which determines vividness, should be above 95. Similarly, the higher the better for chroma shift by hue. If museums select LED lights that satisfy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the original colors of cultural properties will be faithfully expressed regardless of their materials or colors. Displayed objects are influenced by lighting as well as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colors of exhibition spaces, display mounts and veiling reflection. Therefore, if LED lighting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e properly applied, the best possible exhibition lighting allowing cultural properties to display their original colors can be provided.

      • KCI등재

        '디지털 키즈'를 위한 기존 OPAC의 한계와 과제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OPAC이 어린이의 보편적 특성은 물론이고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의 정보행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유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어린이의 관점에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키즈가 도서관에서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과 OPAC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행태적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OPAC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등학교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자들 중에서 선정한 8명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6개 도서관에서 진행했던 어린이들의 탐색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Korean library OPACs have failed in reflecting the information needs of children, and especially the behavioral aspects of digital kids. Maintaining such problem recogni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weak points and limits of Korean OPACs for digital kids, and explores the possible solutions. In details, identified at the first hand is digital kids' library use behavior, in particular, their search behavior of library OPACs. Also discussed is on the development of a new generation OPAC for digital ki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with 54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ith 8 carefully selected students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and a direct observation on the children's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 6 libr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