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발전계획의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안

        노일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정책과제 Vol.2020 No.-

        본 연구는 중장기발전전략 및 계획에 기반한 대학발전계획의 성과관리체계 구축의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발전계획 이행이 대학의 구체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진단 및 대학 교육에서의 시사점 탐색

        노일경,황지원,정혜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4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1

        핵심역량은 평생학습시대의 토대가 되는 능력으로서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삶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핵심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그간 간과되어 왔던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관련변인을 탐색하여 그 의미와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K-CESA)’을 활용하여 성인대학 생들로 구성된 방송대 프라임칼리지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였다. 진단에 응한 총 63명의 학생들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역량은 전통적인 대학생보다 낮은 반면, 종합적 사고력은 이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관련있는 변인은 연령을 제외하고 없는 반 면, 종합적 사고력과 관련있는 변인은 성, 학년, 직업분야, 연령 등으로 다양했다. 성인 대학생 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연령과 생애 경험 요소가 핵심역량 형성에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드러난 결과는 청년층의 단일 연령 중심으로 시행된 기존의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핵심역 량 연구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가 성인대학생을 포함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대학 평생학습 참여 학습자 특성 분석

        노일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본 연구는 향후 대학평생학습 지형 변화 예측에 있어 우선적으로 주목해야 할 것은 학습자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새로운 학습자군, 즉 성인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어떤 목적으로,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의 과정에서 이들 학습자 특성에 부합하는, 또는 부합하지 않는 대학의 조건과 요소는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삼았다. 이에 대학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고, 이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들의 특성에 조응하는 대학 평생학습체제 구축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우선 대학 평생학습 참여 학습자의 특성 파악에 앞서, 우리나라 대학 평생학습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대학 평생학습의 정책 동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대학 평생학습 관련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진입한 성인학습자의 분포 현황 및 실태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대학 평생학습 참여 학습자의 제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영역에 진입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평생학습 참여 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초분석을 통해 드러난 대학 평생학습 참여 학습자의 특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진입, 참여 과정, 학습 성과의 각 단계별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대학에 진입하는 성인학습자들은 대학과정을 통해 기본적으로 능력 획득을 추구하고 그 결과 학위까지 취득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특히 학위 취득은 대학 진입의 명목상 목적으로 능력획득 및 체계적 지식 습득은 대학 진학의 실질적 목적으로 해석된다. 성인학습자들의 대학 참여 특성과 관련해서는 인문사회계열보다는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대학의 성인학습자 지원에 대한 노력이 적은 경우, 은퇴자 및 학생보다는 취업자의 경우, 고소득층보다는 중산층의 경우, 40대 보다는 20대의 경우, 스터디 참여가 적은 경우 학업 중단을 고민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기대성과와 관련해서는 사이버대 학습자의 경우에는 경제적 성과를, 방송대 학습자는 학습적 성과를 더 많이 기대하였으며, 자연공학계열 및 의약학계열 학습자들의 경우 경제적 성과에 대해 더 많이 기대하였다. 또한 기관의 노력이 많을수록, 취업자보다는 주부가, 고졸자보다는 대졸 이상자가, 남자보다는 여자가 학업 성취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들이 제안되었다. 첫째, 기존의 학령기 학습자 중심의 단일한 학습자군을 기반으로 조성된 대학의 체제 및 운영방식을 보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성인 학습자군에 친화적인 형태로 개편, 변경해야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양교육과정과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의미를 재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다양한 대학교육과정 구성의 모델이 구안되어져야 한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대학 진입 및 이수의 조건들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자신의 교육적 필요에 따라 대학교육과정을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체제와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성인학습자들이 대학의 학습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성인 친화적 교수학습방식을 개발하고 접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성인학습자의 대학 참여 목적 및 기대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대학 평생학습의 성과를 다각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측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각 개별 대학 차원에서 성인학습자 특화 서비스를 차별적으로 마련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 40∼50대의 생애주기에 따른 제2인생 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략

        노일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본 연구는 생애주기 및 생애발달 개념에 근거하여 40~50대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하고, 해당 세대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제2인생 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현 방식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2012년도 ‘방송대 중심의 블렌디드러닝 환경 구축’ 사업의 일부인 프로그램 개발 운영의 사례를 시범 사례로 연계하여 연구 결과의 구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첫째, 생애주기 및 생애발달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둘째, 본 연구에서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40∼50대 또는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셋째, 40∼50대의 평생학습에 대한 요구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제2인생 준비 및 생애설계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선행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생애주기 개념에 기반한 40∼50대 제2인생 준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개발의 각 단계에 따른 주요 원칙 및 방향을 수립하고, 각 내용에 부합하는 실제 프로그램을 파일럿(pilot) 차원에서 예시하는 방식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헌 분석, 설문조사 분석, 전문가협의회 등의 방법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40~50대의 제2인생 준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시 고려 사항으로 제안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내용 선정을 위해, 생애주기 및 생애개발의 주요 논의들을 프로그램 개발의 주된 배경으로 삼을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주된 수혜 대상인 40∼50대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의 목표인 ‘제2인생 준비’의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조직과 관련해서는 대상 학습자 및 학습자의 수요에 대한 이해, 추구하고자 하는 주된 관점, 프로그램의 목표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데, 본 연구에서는 앞서의 40-50대 학습자 및 학습요구 특징 및 제2인생 준비 목적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모듈식 프로그램과 자기 설계식 프로그램으로 내용을 조직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구현 및 공급과 관련하여 역시 40~50대 학습자 집단의 특성, 제2인생 준비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 모듈식 및 자기설계식 프로그램 조직 방식이 잘 구현될 수 있도록 관련 과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에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 체제 구축 및 학습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상담 시스템 구축을 별도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특성 및 프로그램 목적이 반영된 학습 방법 활용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에 40~50대가 선호하는 공동학습 및 협업학습, 경험학습, 참여식 학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 스스로가 실행과 실습을 통해 역량을 획득함과 동시에 관련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실행공동체(CoP)의 방식 등이 적절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4050세대의 제2인생 설계 및 준비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을 프로그램 내용 선정, 프로그램 조직 구성, 프로그램 공급 및 구현 전략 등 각각의 영역 과제로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시 주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송대 중심의 블렌디드러닝 환경 구축‘ 사업-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수행에 적용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직접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방송대 교육과정 혁신 방안 연구(I): 고등평생교육과정 운영 모델 수립과 방송대 특성화 방안

        노일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3 정책과제 Vol.- No.-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4 3. 연구 방법 5 Ⅱ. 고등평생교육과정 관련 용어 및 개념 지형 분석 7 1.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평생교육 강조의 배경 7 가. 고등교육의 사회경제적 기능 강화 요구의 시점 확대 7 나. 저출생 고령화로 인한 고등교육에 대한 학습 요구 다변화 9 다. 평생교육으로서 고등교육 참여 권리에 대한 시각 전환 11 2. 고등평생교육과정 관련 용어 및 개념 지형 분석 13 가. 고등 수준의 평생교육, 평생학습 맥락에서의 고등교육 13 나. 평생학습대학(Lifelong Learning University, LLU) 14 다. 60년 교육과정(60-year curriculum) 16 3. 고등평생교육과정 관련 교육과정 특징 18 가. 역량 기반 교육과정 18 나. 융합교육과정 22 4. 소결 및 시사점 26 Ⅲ. 고등평생교육과정 운영의 국내‧외 사례분석 29 1. 해외 사례 29 가. 애리조나주립대학교 평생교육과정 29 나. 스탠퍼드대학교 개방 순환형 교육과정 34 다. 웨스턴 거버너스 대학교와 퍼듀 글로벌 대학교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39 라. 해외 개방대학의 개방형 교육과정 42 2. 국내 사례 44 가.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 참여대학의 성인 친화형 교육과정 44 나.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대학의 혁신 교육과정 53 다. 전주대학교 지역사회 문제 해결 기반 교육과정_리빙랩 55 라. 한양사이버대 온라인 방식 역량 및 프로젝트 기반 교육과정 68 3. 논의 및 시사점 80 Ⅳ. 고등평생교육과정 개념 구성요소 탐색: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 83 1. 델파이 조사 시행 개요 83 가. 고등평생교육과정 개념 정의 및 구성요소(안) 83 나. 델파이 조사 시행 개요 86 2.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 88 가. 분석결과(1): 고등평생교육과정 개념 구성요소 88 나. 분석결과(2): 고등평생교육과정 개념 정의 104 다. 델파이 조사 결과 검토 및 반영 105 Ⅴ. 고등평생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모델과 방송대 특성화 방안 108 1. 고등평생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모델 108 가. 고등평생교육과정 개념 108 나. 고등평생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모델 110 2. 방송대의 고등평생교육과정 특성화 방향 및 전략 123 가. 고등평생교육과정으로서 방송대 교육과정의 현황 123 나. 방송대 고등평생교육과정 특성화 방향 및 전략 131 참고문헌 137 부록 141

      • KCI등재

        고등평생교육 분야 대학재정지원사업 참여가 대학구성원 인식에 미친 영향 탐색: 방송대 사례를 중심으로

        노일경,양은아,황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0 평생학습사회 Vol.16 No.3

        본 연구는 대학의 시점에서 본 고등평생교육 분야 재정지원사업의 의미와 역할 및 사업이 대학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방송대 재정지원사업에 대한 대학 내외부 관계자의 인식을 양적․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송대 재정지원사업은 대외 효과보다 대내 효과에서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또한 해당 사업이 정책 집행을 위한 특수목적지원사업으로 시행되었지만, 대학 입장에서는 대학 발전을 위한 일반재정지원사업으로서 효과 창출을 기대하였다. 아울러 대학재정지원사업의 긍정적 평가 및 체감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업 이해도와 참여도 향상, 대학 내외부 관계자와의 소통과 공감대 형성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평생교육 분야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정체성 확립, 사업 수행 방법론의 정교화, 대학 자체 발전계획과 재정지원사업 간의 연계성 강화와 이를 위한 사업 수행 및 관리 방식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차별성 구축의 쟁점 분석

        노일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 평생교육원의 지속가능성의 전제조건으로 여겨지고 있는 프로그램 차 별성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학 평생교육원 프 로그램 차별성 구축의 준거로 교육대상, 교육내용 선정, 교육과정 조직 등을 설정하고, 각 준거에서 제기되는 주요 쟁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고등교육시스템과 성 인교육시스템 간 또는 시스템 하부 요소 간의 관계와 차이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평생교육원이 포함된 시스템 내부의 하위요소 간에는 명확한 지위와 역할 배분 및 유기적이고 촘촘한 연계망이 보장되어야 하고, 시스템 외부 요소와는 차 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것의 내용으로 고등교육 수준의 교 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하는 역할 및 해당 교육 내용을 학습자의 내적 의미 경 험의 성장에 부합하도록 책임 있게 공급해야 하는 역할을 제시하였다. 또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공급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계속교육 진입을 위한 기초 교육 제공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Differentiation in education program has been recently regarded as a requisite to sustai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ULEC). The study addresses the problem on way to differentiate the ULEC’s education program. We consider object of education, program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 program as criteria of the program differentiation, and tried to verify the point at issue included in the criteria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inter-system interaction for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adult education systems. The study reveals that clear definition in role and responsibility of ULEC as substructures, systematic connection among sub-structures in the system, and differentiation from external system element are essential.

      • KCI등재

        재직 학습자의 원격고등교육과정에서의 학습활동 특성 및학업성취 영향 변인 분석 : 학습분석을 적용하여

        노일경,이성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4

        This study analyzed learning behavior and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achievement to identify employed learners’ characteristics of learning participation in an online higher education using learning analytics approach. The results first showed that employed learners mostly study at night and in their spare time at work. Second, among various learning behavior variables, the best predictor of achievement was learning frequency. Third, due to time limits for studying, employed learners were less affected by effective management of learning time such as regularity of learning interval. Finally,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teractions with instructor, tutor and peer students during onlin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that online higher education program for employed learners should consider (1) learning support system expansion taking into account employed learners’ online learning behaviors, (2) operation of real-time information system of learning activity, (3) periodic guidance and encouragement for learning participation on the basis of learning activity analysis, (4) information service of time management and learning strategies, and (5) improvement of interaction during online learning courses. 이 연구에서는 재직 학습자의 원격고등교육과정 참여의 질적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재직 학습자의 학습활동의 특성 및 학업성취의 영향 변인을 학습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재직 학습자는 주로 야간에 그리고 일과시간 틈틈이 학습에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게시판 참여, 학습규칙성, 학습빈도 등의 학습활동 변인이 학업성취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재직 학습자의 경우 규칙적 학습참여의 개인차가 비교적 적은 편이었지만, 학습참여의 규칙성이 학업성취에는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시간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학습과정에서 교수자, 튜터, 그리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적극성 정도는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재직 학습자의 학습참여 패턴을 고려한 학습지원서비스 확충, 학습활동 정보의 실시간 안내 시스템 가동 및 시스템 활용의 학습참여 독려 시행, 학습시간 관리 전략 및 학습방법의 안내 서비스 제공, 온라인 학습과정의 상호작용 제고 방안 마련 등 재직 학습자 대상 원격고등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