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노영희,노동조,안인자,김성진,Noh, Younghee,Noh, Dong-Jo,Ahn, In-Ja,Kim, Sung-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4

        주제전문서비스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문화 특성화 개인화 등의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논문을 통해 주제전문사서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현장의 많은 도서관들에서 실제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들 도서관들의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배경, 주제전문서비스 내용 및 효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및 운영방법, 주제전문사서 채용방법 및 교육훈련방법,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제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구인구직 수요도 비교 분석하였다.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are introduced in library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which become more specialized, characterized, and personalized. This concept dates back to the 1960 in Korean scholarly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many libraries in Korea have provided this kind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to library users.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appropriate direc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seven library cases the structure of which is organized by subject specialization. It tried to give a good grasp of background of building up the subject specialization system, current state of the service and its effects, problems and challenges of operating the system, recruitment and training iss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ir duties and tasks, and so on. Also Announcements of academic subject specialist positions in Korea are compared to in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UK, and Canada in order to analyze the demand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 KCI등재

        국내 분류체계와 학술표준분류체계의 비교·분석 연구

        노영희,양정모,강지혜,김용환,이종욱,왕동호,Noh, Younghee,Yang, Jeong-Mo,Kang, Ji Hei,Kim, Yong Hwan,Lee, Jongwook,Wang, Dongho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the domestic classification system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m with the academic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o deriv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The direction of futur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presented based on this is as follows. First, it seems necessary to clearly guarantee the oper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s a law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academic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 to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principle that satisfies both current issues and global universality so that domestic and foreign data can be collected and compared smoothly by producing a wide-ranging classification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select a clear revision cycle of the academic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and it seems appropriate to proceed with the revision every five years in order to reflect the academic field across a vast field. Currently, research on such a domestic classification system is insufficient, and such investigations are continuously conducted in the future, requiring continuous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domestic classification system.

      • KCI등재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프로그램과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 연구

        노영희,강정아,정은지,Noh, Younghee,Kang, Jung-A,Jung, Eun-J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무한창조공간에서 시행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창의성 증진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에 소재한 J도서관의 무한창조공간에서 '그림책 제작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3~6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은 Torrance가 개발한 TTCT(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언어검사도구이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 전 과정을 통해 환경과학에 대한 흥미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고, 둘째,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경험으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환경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창작활동을 통해 참여자 개인별 창의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섯째, 참여어린이들의 창작활동 결과물을 책으로 발행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자존감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suitable for operating an infinite creative space within the public library, and analyzed the effect of promoting participants' creativity through a trial run of the program. To do this, we operated a "picture book making activities" program in the infinite creative space of J library located in Chungbuk. This program was performed for 18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3-6. Torrance TTCT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ools were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overall creativity. As a result, firs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sci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whole program process. Second, participants' problem-solving abilities improved during the program by having to derive a solution for a given problem through brainstorming. Third, storytelling ability improved after the story-creating elements of the program. Fourth, each participants' creativity was improv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Fifth, by publishing the results of creative activities of participants as books, the self-esteem of participating children improved as well.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방향에 대한 도서관 관장의 인식조사 연구

        노영희,오의경,Noh, Younghee,Oh, Euiky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년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library specialization and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n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 total of 69 director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ain result was that while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and budget in providing the specialization services, they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need and value of the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s and were willing to maintain and develop the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placement of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t the public libraries are essential. The qualification for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was said to be higher than a master's degree and 4 to 7 years or longer of relevant work experience and must be managed as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discussions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comprised of the training system for specialized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theme related organiza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among others.

      • KCI등재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한 도서관의 역할강화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2

        현 시대는 고령화 사회,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증대, 의료비 감소를 위한 국가의 관심 증대 등으로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증가된 상황이다. 이에 문헌정보학계의 연구노력, 도서관계의 건강특화서비스 제공 노력, 그리고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도서관계에서의 통합적 및 체계적으로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나 전략은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수행된 선행연구 및 정책연구, 그리고 사례조사를 통해서 도서관에서 건강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건강정보제공통합시스템 구축, 건강관련정보의 총체적 DB 구축, 건강특화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건강정보서비스 총괄지원센터 운영, 건강정보서비스관련 부처 및 기관 간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이후 도서관이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oday, interest in health information has risen overall due to the aging society,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creased state's interest in reducing medical costs. Accordingly, efforts have been made acros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libraries in terms of providing health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state, yet policie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anner through the libraries have not been proposed with clarity to date. Thu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ethod to provide the health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by the libraries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policy studies, and case studies. Consequently, it proposes to build a system to integrate the health information, build an overall database of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develop and operate a health specialized library program, operate a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and build a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rel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for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e details proposed by this study is likely to contribute to developing services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citizens of this country.

      • KCI등재

        도서관을 대피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사서 인식 조사 연구

        노영희,노지윤,Noh, Younghee,Ro, Ji-Y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서는 도서관의 공식 및 비공식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을 추진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대피시설 지정여부 및 관련 서비스 현황,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지도,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의 활성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제공 주체인 사서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임시 또는 상시 등 공간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재난 및 재해 관련 서비스 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도서관의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 수행의 실효성을 위해서는 행정부의 지원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다섯째, 사회적 대피처로서 도서관의 역할과 관련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시에 개별 도서관과 사서들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될 필요가 있다. In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the formal and informal social safety space function of the library is used as a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ibraries were designated as evacuation facilities and related service status, and librarians' awarenes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isaster and disaster response services.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direction to activate disaster and disaster response servic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who are the service providers. Second, discussions on spatial aspects, such as temporary or permanent, are needed. Third, development of disaster and disaster-related service models is required. Fourth, the administration's support and management are essential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library's function as a social safety space. Fifth, when developing guidelines for the role of libraries as social shelters and related services, specific details to address the concerns of individual libraries and librarians need to be specified.

      • KCI등재

        인천광역시 동구 특화도서관 운영전략 도출에 관한 연구

        노영희,장인호,강지혜,김동석,Noh, Younghee,Chang, Inho,Kang, Ji Hei,Kim, Dongseok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동구 지역 내 소재한 다양한 문화재 및 콘텐츠와 '2022 동구 Master Plan'에서 제시된 동구 발전권역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추가 건립 시 운영할 수 있는 특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인천광역시 동구 지역을 문화관광·테마관광권역, 역사문화권역, 중심상업권역, 기반산업권역 등 4권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문화재 및 콘텐츠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주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둘째, 2022년 완공이 예정되어 있는 어린이 도서관의 특화 주제 및 전략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셋째, 인천광역시 동구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도서관이 추진해야 할 특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specialized strategies to be operated in additionally constructing a library, based on a variety of cultural properties and contents, which exist in Dong-gu, Incheon, and the Dong-gu development zone proposed by 'Dong-gu Master Plan 2022'. First, it attempted to select specialized theme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cultural properties and contents by each region, by dividing Dong-gu in Incheon into four areas: culture tourism/theme tourism, historical culture, central commercial and infrastructure industry area. Second, it proposed a specialized theme and strategy for children's library to be completed in 2022 by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Third, it also suggested the specialized strategy which the representative library should pursue, by conside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Dong-gu.

      • KCI등재

        정부 3.0에 대한 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2

        최근 정부 3.0 정책에 따라 공공데이터가 대량으로 공개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하여 창업에 성공하거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앱을 개발하고 국민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앱 등이 수없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관도 공공의 영역으로서 정부 3.0 정책에 따라 데이터를 개방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이 나와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3.0에 대한 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도서관,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의 정부 3.0에 대한 인지도는 3.6 정도로 평균 이상이지만 추진과제에 대해서는 3.0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 3.0 정책이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3.65%로 그렇지 않다는 7.14%보다 6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부 3.0 정책에 의해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도서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분야별로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테마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개인정보보호관련 이용자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에 의해 공개된 공공데이터가 이용자와 도서관의 역할 변화 및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에 60% 정도가 동의했고, 오직 2.38%만이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Recently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3.0 policy, public data is being released in large quantities and entrepreneurs are succeeding in utilizing this policy to develop products and apps that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to use the information. As libraries belong to the public domain, libraries must open a variety of data to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3.0 policy, and make the various applications utilizing the dat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overnment 3.0 Policy, classified the success cases of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identified data having high availability from the library data, and tried to discover data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value through the library from other subject areas. An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of librarians of the University and Special Libra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brarians'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 3.0 was more than the average of 3.6, whereas for the initiatives presented in 3.0. Second, those responding that the government 3.0 polic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libraries were six times higher than those responding negatively. Third, the respondents listed the ways that the polic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library, in order, as providing to the user public open data classified by topic, providing user education about utilizing method of public open data, and privacy-related user education regarding open data utilization. Fourth, there was overall agreement by the respondents that public open data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library's changing role and image, with 60% responding in a positive way.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문헌정보학회 200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9 No.1

        In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specialists with a specific concentration are more appreciated than broad knowledge. Therefore, it is a growing trend that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restructure their vision and plans to foster specialized professionals. While responding to the needs of working libraries and adhering to the basic educational goals, the Program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tor should be flexible to the external changes. In this sense, each university should develop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its related policies, resources,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with an emphasis on specialization over standardization. This paper discusses how to buil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in line with specific environments that each university is surrounded with, and by doing so, raise information professionals with specialized concentrations. 지식정보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널리 아는 것보다 특정 분야에 특성화된 전문가를 원하며 그러한 전문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특성화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목표와 교육방향을 설계하는 대학 및 학과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도 대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도서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대학 자원과 환경을 바탕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과 자원과 환경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즉 표준화된 교과과정이 아닌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운영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학의 처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으며 정보전문가로서의 보다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자질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한 운영 개선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노영희,장인호,강지혜,곽우정,Noh, Younghee,Chang, Inho,Kang, Ji Hei,Kwak, Wooj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1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was analyz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areas in need of improvement and the status of portals of similar institutions. Based on which, a proposal was made to help improve the function of utilization as well as search the products of studies by and for the research institutes funded by the government having jurisdiction by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developing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purposes of aiding and fostering with efficiency toward achieving the goal of establishment for such institutes, while strengthening the utility of NKIS. First, in order to secure the membership, it is necessary to find the targets for polic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for policy information, such as by preparing the people friendly policy reports, infographics, and information delivery in an easy manner.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n the manner which reinforces reports and policy data on the social issues and education topics, which are among the interests of the primary user base by considering the ratio of visiting occupations. Third, for th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video data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lternatives, such as by setting regulations and encouraging the institutions of jurisdiction to upload the video data.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public relations service. It is also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NKIS' publicity webtoon serialization with the latest contents or abolish the current webtoon promotion, while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plan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contest, further to the need to discuss the secondary publicity after the contest rather than halting after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