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9세기 다윈의 인과성 개념의 분기와 사회과학

        노승미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7

        Darwin’s concepts of causality in the 19th century contributes to the explanation of random variation, stochastic process and unpredictability of transformation, and evolutionary imbalance in central principles, while providing a place for order in which rather strict self-organization parameters are built. The Origin of Species pays attention to irreversible mutations and irreducible differences within a population that are not homogeneous to a species, and argues that it is essentially a fundamental resource of the anti-human and mindless nature of biological dynamics. Darwin’s mechanism of evolution is the distribution of non-linear and local orders created by the accidental variation of biological variation and the stochastic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and is an open system that flows. Darwin offers a legacy from the modern to today, which also encompasses social science, without a deviation from the rationality of science itself. Darwin’s biological system overturns the principle of linear causality established by modern science in an extremely materialistic and empirical manner, and is interpreted as bifurcation and momentum of new metaphysics that goes beyond the simple contradiction between indeterminism and determinism. This not only breaks down powerful deterministic thinking based on the balance and predictability of nature in modern science, but also the humanistic methodology of modern social science in which such images of nature act as extrapolation. 19세기 찰스 다윈의 인과성 개념은 그 중심적 원리에서 임의적 변이, 변동의 확률과 정과 예측불가능성, 진화의 불균형에 대한 설명에 기여하면서도 다소 엄격한 자기-조 직화 파라미터가 구축되는 질서의 장을 제공한다. 종의 기원은 범주 내부의 동질성 이 아닌 개체의 비가역적 변이와 환원 불가능한 차이에 주목하며, 그것이 근본적으로 반휴머니즘적이고 무심한(mindless) 실재 세계의 동학이자 근본적 자원이라고 주장한 다. 다윈이 구축하는 진화의 메커니즘이란 생물의 변이라는 완전한 임의성과 자연선택 이라는 확률과정이 만들어내는 비선형적이면서도 국지적인 질서들의 분포이며, 비가 역적 시간에 따른 변동을 포괄하는 개방형 체계다. 다윈은 사회과학 역시 포괄하는 근 대과학이 구축해 온 인과성의 체계를 과학 자체에 대한 합리성의 일탈 없이 도약하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유산을 제공한다. 다윈의 생물학적 체계는 기존 근대과학이 구축 한 선형적 인과성의 원리를 지극히 유물론적이며 경험적인 방식에서 전복하며, 비결정 론과 결정론의 단순한 이분법적 모순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이상학의 분기이자 모멘텀 으로 해석된다. 이는 자연의 균형과 예측가능성을 토대로 하는 근대과학의 강력한 결정 론적 사고는 물론 그러한 자연의 상이 외삽으로 작동하는 근대적 사회과학의 휴머니즘 적 방법론에도 균열을 가져온다.

      • KCI등재

        현대 과학 지식의 위기와 확률의 인식론

        노승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2 동향과 전망 Vol.- No.116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the crisis of contemporary scientific knowledge as a crisis of public epistemology and general principles of the knowledge, and to analyze the cause of such crisis from the sociology of knowledge.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epistemological issue of probability, which is positioned as a mainstream methodology in contemporary scientific knowledge, it is intended to confirm what internal instability the scientific perception of the 20th century holds. The probability of emerging in the 19th century has been overwhelmingly applied throughout all fields of scientific knowledge until today, producing nomothetic causality. The probability of frequentist in the 19th century served as an imprimatur between facts and laws and became a protector of deterministic causality. However, the more the probability method is used to contribute to the law, the more the existence of individual facts that are not fully reduced to the law based on the mean is always left on the boundary. By the 20th century, scientific discoveries that the empirical world does not follow the deterministic inevitability of classical science continue, and a probability debate arises criticizing that the probability of frequentist cannot be a measure of the empirical world in the first place. Probability is perceived as a method that arises in the direction of indeterminism, but in fact, the world-view basis of the existing frequentist probabilit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basic premises of classical determinism, producing points of contradiction in themselves. The probability of losing this issue of epistemology in contemporary scientific knowledge is a source of intellectual anxiety while producing countless mechanical correlations. 본 연구는 현대 과학 지식의 위기를 공적 인식론의 위기이자 지식 심층의 일반 원리의 위기로서 조명하고, 그러한 위기의 원인을 지식사회학의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특히 현대 과학 지식에서 주류 방법론으로 자리하고 있는 확률의 인식론적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20세기의 과학적 인식이 어떤 내적 불안정성을 담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19세기에 부상한 확률은 현대까지 과학 지식전 분야에 걸쳐 압도적으로 적용되어 법칙정립적 인과성을 생산하고 있다. 19세기의 빈도주의 확률은 사실과 법칙 사이를 매끈하게 연결하는 아교로 기능하며 결정론적 인과성의 보호대가 되었다. 그러나 확률 방법을 법칙에 기여하도록 사용할수록, 평균을 근거로 하는 법칙으로 완벽히 환원되지 않는 개별 사실들의 존재는언제나 경계에 남겨진다. 20세기에 이르자 경험적 세계가 고전과학의 결정론적필연성을 따르지 않는다는 과학적 발견들이 이어지고, 빈도주의 확률이 애초에 경험적 세계에 대한 측정이 될 수 없음을 비판하는 확률논쟁이 발생한다. 확률은 마치 비결정론의 방향에서 발생하는 방법처럼 인식되지만, 실상 기존 빈도주의 확률의 세계관적 기조는 고전적 결정론의 기초 전제들과 분리될 수 없기에 그 자체로모순의 지점들을 생산한다. 현대 과학 지식에서 이런 인식론의 쟁점을 상실한 확률은 기계적인 상관관계를 무수히 생산하면서도 되레 지적 불안의 원천이 되고 있다.

      • KCI등재

        전남 일부 농·어촌 지역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식습관과 식생활 태도 및 영양지식의 비교

        장혜순(Hye Soon Chang),노승미(Seung Mi Roh)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6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s, perceptions for nutritional importance, nutritional knowledge and frequency of food intake to get the basic data of effective nutritional knowledge to form desirable dietary habits of stud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362 teenagers (boys 161, girls 201) in some farming and fishing regions of Jeonnam. The most desirable dietary habit was that both boys and girls never skipped their lunch, the undesirable dietary habit was that boys ate too fast and girls had too many snacks. While boys ate faster than girls (p < 0.01), girls skipped dinner more frequently than boys (p < 0.01). In terms of dietary attitudes, boys had more desirable attitudes than girls in that they choose nutritious food (p < 0.01), enjoyed healthy food more than favorite food (p < 0.01), think about basic food groups when having something (p < 0.01) while girls had more desirable attitudes than boys in that they only have favorite food (p < 0.01). In nutritional knowledge, girls showed a percentage of more correct answers than boys in is likely to suffer anemia without enough iron (p < 0.05), and it doesn`t need to eat fat, which causes obesity (p < 0.05). In general, girls had higher nutritional knowledge than boys. For frequency of food intake, boys ate more fried and broiled food than girls (p < 0.05). In general, boys had nutritional unbalanced diets more than girls. As a result, girls had higher levels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boys had more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attitudes. We should have systematic and repetitive education about nutrition so that teenagers could practice their nutritional knowledge in die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per education for their gend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4) : 459~468, 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