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해상습지 적응 뽕품종 용천뽕의 재배학적 특성 및 동해 발생빈도에 따른 잠작상황의 몇가지 고찰

        박광준 ( Park Kwang Jun ),조장호 ( Cho Chang Ho ),남학우 ( Nam Hak Woo ),성규병 ( Sung Gyoo Byung ) 한국잠사학회 200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44 No.1

        용천뽕을 수원지방에서 비닐피복 밀식재배법으로 관리한 경우의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으며 동해발생시의 육잠성과의 몇가지 예를 고찰하였다. 1. 춘기 탈포기는 개량뽕보다 3일 빠르나 5개엽기는 동일한 중생뽕이고 춘잠기 수확 당시 신소장은 길다. 2. 용천뽕의 수량은 개량뽕보다 춘잠기에 많고 추잠기에는 적은 春型이다. 3. 용천뽕은 개량뽕보다 가지수가 약간 많고 지조장도 길어서 가지뽕치기에 적합하다. 4. 용천뽕은 뽕나무 눈마름병과 줄기마름병에 약간 강하고 오갈병에 다소 약하다. 5. 용천뽕은 내동성이 극히 강하여 동해상습지에 적합하며, 연도간의 육잠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경영상의 이점이 있다. 춘천지방에서의 육잠성과에 있어서 동해의 빈도가 2년 1회의 경우에는 용천뽕이 개량뽕보다 11%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3년 1회 빈도의 경우는 두 품종이 비슷하였다. The Yongcheonppong was cultured in the form of a dense mufberry field coverd with polyethylene film and was tested in Suwon and Chunchon. The agronomic charateristic and some consideration on the result of the silkworm rearing were as sollows. The Yongcheonppong was the medium budding variety and was longer in length of young shoots than the Kaeryangppong. The Yongcheonppong was higher in leaf yield in spring than the Kaeryangppong and was lower in leaf yield in autumn than the Kaeryangppong to the contrary. The Yongcheonppong was a little higher in the number of branches and was longer in the length of the branch than the Kaeryangppong and so was appropriate for rearing with mulberry shoots. Yongcheonppong was more resistant to twing blight and die-back and was a little susceptible to dwarf desease. As the Yongcheonppong was most resistant to the freezing injury. it was appropriate for the cheonppong increased by 11% in cocoon yield than the Kaeryangppong when the freezing injury occurred 1 year out of 2 years and produced about the same as the Kaeryangppong in cocoon yield when the freezing injury occurred 1 year out of 3 years.

      • SCOPUSKCI등재

        Monascus sp. J101을 이용한 적색색소의 Extractive Fermentation

        주재영,남학우,윤주천,신철수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1

        Monascus sp.의 변이주인 색소생성능이 높은 Monascus sp. J101을 이용한 적색색소 생산의 발효특성을 분석하고 extractive fermentation을 시도하여 색소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Amberlite XAD-7 resin을 첨가한 경우에 대한 동력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Monascus sp. J101이 생산하는 적색색소는 균체의 색소의 생산량이 총 색소생산량의 약 17%에 해당하였으며, 색소의 생산은 product에 의해 regulation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균체의 생육은 48시간부터 정지기에 도달하였으나 색소의 생산은 그 이후에도 계속되어 mixed growth-associated의 양상을 보였다. 균체의 배양중에 permeabilizing agents를 첨가하여 extractive fermentation을 수행한 결과, 배양 48시간에 Triton X-100 0.05%를 첨가했을 때 약 18%의 색소생산의 증가를 보였으며, ethyl acetate를 0.25% 첨가한 경우는 약 12%, deoxycholate 0.05%인 경우는 약 15% 증가하였다. 균체의 배양중에 nonionic adsorbent인 Amberlite XAD-7을 첨가하고 extractive fermentation을 행한 결과, 배양 48시간에 Amberlite XAD-7을 12.0%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은 control에 비해 색소의 생산이 약 48.9%가 증가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monascus fermentation using a hyperpigment-producing mutant, Monascus sp. J101, were analyzed, and the extractive fermentations employing permeabilizing agents and resin were carried out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red pigment. And the kinetic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in case of the monascus fermentation using Amberlite XAD-7. The extracellular content of the red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J101 was about 17% of the total, and the production of pigment was regulted by its own product. The cell growth reached a stationary phase at 48 hours after inoculation, whereas the pigment production continued up to 110 hours, which showed the pattern of a mixed growth-associated type. During the fermentation, various permeabilizing agents were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nd their effects on pigment production were examined. By adding 0.05% Triton X-100 at 48 hours of cultivation, about an 18% increase in pigment production was accomplish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12% for 0.25% ethyl acetate and 15% for 0.05% deoxycholate, respectively. When a nonionic adsorbent, Amberlite XAD-7 was added to theh culture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12.0% at 48 hours of cultivation, the pigment production was enhanced by about 48.9% as compared to the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