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 - 40Ni - 10Cu ( at % ) 형상기억합금의 정하중열싸이클 피로거동

        남태현(Tae Hyun Nam),허경철(Gyung Chul Hur),이규창(Gyu Chang Lee)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199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2 No.6

        Effects of thermo-mechanical treatments and thermal cycle fatigue on shape memory charac-teristics of Ti-50.2Ni and Ti-40Ni-10Cu(at %) alloys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and thermal cycling tests under constant load. Transformation temperatures of the Ti-40Ni-l0Cu ternary alloy was increased by applying thermo-mechanical treatments to the solution treated alloy, while those of Ti-50.2 binary alloy decreased largely. By repeating thermal cycling tests under constant load,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ncreased while the transformation hysteresis de-creased.

      • 흉부 CT 검사에서 Scan Direction이 Automatic Exposure Control을 적용한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태현(Tae Hyun Nam),정용환(Yong Hwan Jeong),김주현(Joo Hyun Kim),권순안(Soon Ahn Gwon),대창민(Chang Min Dae),김성룡(Sung Ryong Kim),민관홍(Kwan Hong Mi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2

        목적 적정한 영상의 질과 합리적인 선량위해 이용되고 있는 Automatic Exposure Control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scan direction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기에, 본 논문에서는 AE를 적용한 흉부 CT검사에서 scan direction이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Healthcare, 이하 S사), Aquilion 64(Toshiba Medical System, 이하 T사), LightSpeed VCT(General Electric Medical System, 이하 G사), Brilliance iCT(Philips healthcare, 이하 p시)와 인체 등가물질의 whole body phantom을 이용하였다. Phantom position은 supine, feet first로 위치시키고, SPR parameter 중 관전압을 120, 100, 80 kV로 각각 group 1, group 2, group 3으로 분류 후, cranio-caudal scan direction, caudo-cranial scan direction으로 각 5회 반복 scan 하고 선량 비교는 장비에서 제공하는 CTDIvol 값의 평균값을 구하여 scan direction에 따른 변화를 각 제조사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S사의 평균 CTDIvol 값을 비교해 본 결과 cranio-caudal scan direction에 대한 caudo-cranial scan direction의 증감률은 group 1에서 -4.22%, group 2에서 -5.27%, group 3에서 -4.50%로 나타났고, T사의 증감률은 group 1에서 -9.41%, group 2에서 -8.20%, group 3에서 -9.31%로 측정되었다. G사의 증감률은 group 1에서 -1.65%, group 2에서 -3.41%, group 3에서 -3.23%로 나타났으며. P사의 증감률은 group 1에서 +1.21%, group 2에서 -1.58% group 3에서 -2.41%로 나타났다. 결론 AEC를 적용한 흉부 CT검사에서 scan direction이 변화함에 따라 환자에 적용되는 선량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존에 AEC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 외에 scan direction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조사별 AEC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그 영향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검사부위에 맞는 최적화된 기법을 적용한다면 더욱 합리적인 선량감소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 Purpose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However, there is not enough study between scan direction and AB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adiation exposure dose in chest CT depending on scan direction. II. Meterial and Methods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Healthcare), Aquilion 64(Toshiba Medical system), LightSpeed VCT(General Electric Medical System), Brilliance iCT(Philips healthcare) and whole body phantom(KUPBU - 50 Kyoto kagaku Co.Ltd) are used in this study, Phantom position was supine, feet first. Study was de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scan projection radiography tube voltage: group 1(120kV), group 2(100 kV), group 3(80 kV). Average CTDIvol values are compared between cranio-caudal scan direction and caudo-cranial scan direction in each group. III. Result The CTDIvol between cranio-caudal scan direction and caudo-cranial scan direction is changed. Siemens result is -4.22% in group 1, -5.27% in group 2, -4.50% in group 3. Toshiba result is -9.41% in group 1, -8.20% in group 2, -9.31% in group 3. GE result is -1.65% in group 1, -3.41% in group 2, -3.23% in group 3. Philips result is +1.21% in group 1, -1.58% in group 2, -2.41% in group 3. IV. Conclusions Radiation exposure dose was changed between cranio-caudal scan direction and caudo-cranial scan direction in Chest CT with ABC. Therefore, scan direction can affect to AEC. We should consider about many factors of AEC and create suitable protocol for each body part in order to reduce radiation dose.

      •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planning을 위한 MDCT 활용 Coronary venous classification의 유용성

        남태현(Tae Hyun Nam),권순안(Soon Ahn Kwon),민관홍(Kwan Hong Min),전은주(Eun Ju Chu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0 No.1

        목적 :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는 뉴욕심장협회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의 기준 class III 및 IV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적용하는 최신 치료 기법이다. 최신 Multi-detector CT (MDCT)로 촬영한 영상은 3차원 재구성을 통해 관상정맥의 평가가 가능해짐에 따라 CRT 계획을 위한 적절한 CT 검사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심장정맥을 표현하는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256 MDCT에서 CRT 프로토콜로 심장 CT를 촬영한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T CRT 프로토콜은 Late arterial phase와 venous phase를 촬영하고 조영제는 두번 나누어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를 이용하였으며, 정성적 평가는 관상정맥에 대해 “0-5 points scale 평가법”을 사용하였고 정량적 평가는 관상정맥의 유무와 존재하는 각 혈관의 직경을 측정하고 결과값을 토대로 “LPM method”라 명명한 새로운 관상정맥 분류 표기법에 따라 구분해 보았다. “LPM method”는 세 개의 관상정맥을 유무 및 우세한 혈관을 앞으로 배치하여 표현하는 분류법으로 left marginal vein 은 [L, 1], posterior vein of left ventricle은 [P, 2], middle cardiac vein은 [M, 3]로 표기한다. 결과 : 본 논문에서 제시한 CT CRT 프로토콜로 촬영한 모든 환자의 영상에서는 관상정맥의 관찰이 가능했고 (135 excellent, 46 good, 8 fair), 관상정맥의 평가를 토대로 새로운 관상정맥 분류 표기법에 따라 구분해본 결과 189명 중 142명 (75.1 %)의 환자는 기준으로 하는 세관상정맥 (L, P, M)을 모두 관찰 할 수 있는 LPM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18명 (9.5 %)의 환자는 두 관상정맥 (P, M)을 관찰 할 수 있는 PM그룹으로 나타났고, 23명 (12.2 %)은 두 관상정맥 (L, M)을 관찰 할 수 있는 LM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2명 (1 %)의 환자가 두 관상정맥 (L,P)을 관찰 할 수 있는 LP그룹으로 나타났다. 분류법으로 표현하지 못한 환자는 4명 (2 %)으로 나타났다. 우세한 혈관의 분류 기준을 포함한 결과로는 LPM-3_1_2 (M>L>P)가 29.8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PM-3_2_1이 25.7 %, LM-3_1이 11.5 % 그리고 LPM-3_1,2가 10.5 %로 그 뒤를 따랐다. 결론 : 본 논문에서 제시한 CT CRT 프로토콜로 촬영한 환자 모두에게서 관상정맥을 관찰 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정성적 평과 결과 평균 4.7점으로 나타났다. CRT 시술을 진행하기 전에 MDCT를 활용하고 “LPM method”를 적용하여 시술에 사용되는 관상정맥을 분류하면 시술에 사용되는 fluoroscopy의 사용시간, 조영제의 사용량 그리고 전체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is being used heart failure patients, category III and IV of NewYork Heart Association (NYHA). Multi-detector CT (MDCT) has allowed visualization of the 3-dimensional coronary venous anatomy. We aimed to evaluate the venous anatomy with coronary CT angiography using appropriate protocol and suggest the new classification for the coronary venous anatomy and anatomic variants. Materials and Methods : 189 patients underwent 256-row MDCT (Brilliance iCT, Philips Healthcare, Cleveland, OH, USA) were retrospectively involved for this study. We used CT protocol for CRT which has two phases scan (late arterial and venous phases) and split contrast agent injection technique. A volume rendering image set and a curved multi-planar reconstruction image set by 3D reconstruction workstations were used for identifying and measuring coronary veins. Image quality is graded with the 0-5 points scale method by a radiologist. We categorized the venous anatomy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ain 3 veins (left marginal vein [L, 1], posterior vein of left ventricle [P, 2] and middle cardiac vein [M, 3]) for CRT and order of their dominance. Results : The venous anatomy can be evaluated from all patients using this protocol. (135 excellent, 46 good and 8 fair). Depending on “Coronary Venous Anatomy Classification”, 142 out of 189 (75.1 %) patients had all 3 main veins (termed as “LPM” group), 18 patients (9.5 %) had P and M veins (termed as “PM” group), 23 patients (12.2 %) were “LM” group, 2 patients (1 %) were “LP” group. Only 4 out of 189 (2 %) patients were included in group “etc.” which cannot represent with thi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category of dominant vein order, LPM_3_1_2 (M>L>P) is highest frequency (29.8 %), followed by LPM_3_2_1 (25.7 %), LM_3_1 (11.5 %) and LPM_3_1,2 (10.5 %). Conclusions : MDCT using two phase protocol can visualize the venous anatomy and variants with good image quality. By using the coronary venous anatomical information depend upon MDCT, simply categorized “Coronary Venous Anatomy Classification” can be useful prior to CRT implantation, it may save the procedure time.

      • KCI등재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연안여객선 취항계획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여기태 ( Yeo Gi-tae ),박성훈 ( Park Sung-hoon ),오재균 ( Oh Jae-gyun ),양태현 ( Yang Tae-hyun ),남태현 ( Nam Tae-hyu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9 해운물류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패널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연안여객선 취항계획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GLS와 고정효과 분석결과 결항일수와 여객수송실적은 취항계획에 정의 영향을 끼치며 화물수송실적과 운임수입은 모형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SDV 및 OLS분석을 통해 지방청별로 군집을 이루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방청마다 여객선업체 및 선박의 잦은 변동이 존재하며 무조건적인 선박의 증편보다는 다양한 측면에서 심도있는 계획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후속 연구에서는 항로별, 선종별로 나누고 세부적인 요인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세밀하고 실무적인 결과를 도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astal passenger vessels’ voyage scheduling using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GLS and Fixed Effect Analysis show that the number of canceled flights and passenger transport performa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voyage scheduling, and that the freight transport performance and freight income vary from model to model. Also, through the LSDV and OLS analysis, the trend of cluster formation by regional office was confirmed.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frequent changes in passenger ship companies and ships, and in-depth plans are needed in various respects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unconditional ships. Subsequent studies need to generate more detailed and practical results by further analysis of detailed factors, dividing them by route and vessel type.

      •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Open-Mouth Method and O-MAR Algorithm in Oropharynx CT Examination of Patients with Dental Implants

        김태은(Tae-Eun Kim),배윤정(Yun Jung Bae),남태현(Tae-Hyun Nam),서은희(Eun-Hee Seo),대창민(Chang-Min Da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0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2 No.2

        목적: 입인두 CT검사에서 Open-Mouth Method 와 O-MAR 기법의 최적의 효용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Philips 사의 64-slice MDCT (Brilliance 64, Philips Healthcare, Cleveland, OH, USA)를 사용하였다. 팬텀연구 는 돼지 머리를 사용하였으며, Metal Artifact를 만들 Implant는 실제 Implant와 같은 재질의 티타늄 나사 4개를 사용하였다. 기존 Close-Mouth Position에 4가지 Device를 적용한 총 다섯 가지 실험 별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였다. 저자는 팬텀의 두 가지 해부학적 영역에서 Noise를 측정하였고, 가장 합리적인 Device를 임상 연구에 적용하기로 하였다. 임상 연구는 Oropharynx CT 검사를 한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저자는 O-MAR가 없는 기존 Conventional CT와 O-MAR가 적용된 기존 Conventional CT, O-MAR가 없는 Open-Mouth CT와 O-MAR가 적용된 Open-Mouth CT 총 4가지 방법을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 구강과 입인두 안의 여러 해부학적 영역의 Noise를 측정했다.S treak Artifact의 시각적 점수와 주관적 이미지 품질은 두 명의 독자가 평가했다. 결과: 팬텀연구 에서 Device 3의 Noise 평균값이 가장 작게 나왔기 때문에, 이를 임상 연구에 적용하였다. 임상 연구에서 구강 안 Noise 평균값은 CTc, CTc_O보다 CTo, CTo_O에서 현저히 낮았다.(All, p<0.008) 평균 시각 점수는 CTc, CTc_O보다 CTo, CTo_O에서 상당히 높았다.(All, P<0.008) 반면에 입인두 안에서는 CTc, CTc_O보다 오히려 CTo_O에서 Noise 평균값이 더 높았다.(All, P<0.008) 평균 시각 점수 또한 CTo, CTo_O보다 오히려 CTc, CTc_O에서 점수가 높았다.(All, P<0.008). 결론: Open-Mouth Method와 O-MAR 기법은 구강 안과 입인두 안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CT 영상 화질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 Conventional CT 촬영 후, Open-Mouth Method를 추가로 진행하는 Protocol은 구강 안 질병과 입인두 질병 모두를 평가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려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utility of Open-Mouth Method and Metal Artifact Reduction for Orthopedic Implants (O-MAR) technique in Oropharynx CT. Material and Method: Philips 64-slice MDCT was used in the study.A Pig head was used and four titanium screws were used as the Dental Implant.T he images obtained from five experiments were analyzed.T he author measured noise level in two anatomic regions and decided to apply the most reasonable device to clinical study.5 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On conventional CT with/without O-MAR(CTc_O/CTc) and Open-Mouth CT with/without O-MAR(CTo_O/CTo), The author measured noise level in multiple anatomic regions of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T he visual scores for streak artifact and overall subjective image quality were assessed. Results: Device 3 was applied to clinical studies because of the lowest noise average in phantom study. In Oral Cavity, the mean noise was lower with CTo or CTo_O than with CTc or CTc_O, and the mean visual scores were higher with CTo or CTo_O than with CTc or CTc_O.C ontrarily, in Oropharynx, the mean noise was higher with CTo_O than with CTc or CTc_O, and the mean visual scores were higher with CTc or CTc_O than with CTo or CTo_O. Conclusions: Open-Mouth Method and O-MAR could have different influence on CT image quality. The Protocol, which further proceeds with Open-Mouth Method, after the Conventional CT, will be useful in assessing both Oral Cavity Diseases and Oropharynx Diseases.

      • 임부(姙婦)의 Flack test에 관(關)하여

        김원재,남태현,김규수,채의업,Kim, Won-Jae,Nam, Tae-Hyun,Kim, Kyu-Soo,Chae, E-Up 대한생리학회 1976 대한생리학회지 Vol.10 No.1

        The change of heart rates during Flack Test was observed in the pregnant women, $24{\sim}48$weeks, of gestational age, to analyze mechanical and neural regulatory factors in responses to the positive lung infl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Endurance tine of Flack Test was 37.6 sec, in the nonpregnant women, and 25.1 sec. in the pregnant women. 2) When Flack Test was employed, heart rate was decreased in early stage of Flack Test in the pregnant women, while heart rate was increased in the nonpregnant women. 3) In the pregnant women bradycardia due to abdominal mechanical intervention in early stage of Flack Test was prominent, while tachycardia was found in the nonpregnant women. 4) During Flack Test, tachycardia due to sympathetic central reflex activation was observed immediately after bradycardia in early stage of Flack Test. 5) It may be noted that Flack Test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is a useful model to evaluate and analyze the neural and mechanical abdominal intervention factor in response to the positive inflation of lung in pregnant women.

      • DynaCT와 XperCT의 FPCT protocol간 선량 및 영상평가

        김상현(Sang-Hyun Kim),남태현(Tae-Hyun Nam),고중석(Joong-seok Go),대창민(Chang-Min Dae)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1

        목적 : 본 연구는 Philips 사의 Xper CT와 Siemens 사의 Dyna CT에서 제공하는 부위별 다양한 Protocol을 이용해 두 장비사별, 각 Protocol별 선량 및 Phantom 영상을 물리적으로 평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Xper CT와 Dyna CT에 있는 검사별 FPCT protocol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량 비교 실험은 각 장비 사에서 제공하는 면적선량 (Dose Area Product, DAP) (μGym2)과 Air Kerma (mGy)로 하였다. Phantom 영상비교 실험은 각 Protocol에서 얻어진 영상을 Uniformity, Slice thickness, High contrast Resolution, Low contrast Resolution 와 같이 4가지 항목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 Philips사의 FPCT Head protocol에서는 Cereb. HD가 선량이 가장 높았으며, 영상평가에서 우수하였다. 높은 High contrast resolution은 HR ICS (8”) protocol이 가장 우수하였다. Philips사의 FPCT Abdomen protocol에서는 Propeller scan 방식이 Roll 방식보다 선량이 높았으며, 영상의 질 평가에서도 우수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611) Siemens사의 FPCT Head protocol에서는 20s DCT 70kV가 선량이 가장 높았으며, 영상평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Siemens사의 FPCT Abdomen protocol에서는 6s DCT가 선량이 가장 높았으며, 영상평가에서도 우수 하였다. 결론 : 선량은 Philips XperCT가 상대적으로 20~30%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상 평가에서는 Siemens DynaCT가 좀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모든 Protocol에서 Slice thickness는 정확한 반면 Uniformity는 Philips FPCT Head protocol에서만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에 환자상태 및 검사목적에 맞는 Protocol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hysical evaluation of the two instruments, each Protocol-specific doses and Phantom image using a variety of Protocol provided by Philips" Xper CT and Siemens"s Dyna CT. Materials and Methods : The FPCT protocol for each test in XperCT and DynaCT was studied, The dose comparison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Dose Area Product (DAP) (μGym2) and Air Kerma (mGy) provided by each equipment company. The phantom image comparison experiment was compared with four items such as Uniformity, Slice thickness, High contrast resolution and Low contrast resolution. Result : In Philips" FPCT Head protocol, Cereb. HD had the highest dose and was excellent in image evaluation. HR ICS (8 ") protocol showed the highest high contrast resolution. In the Philips FPCT Abdomen protocol, the propeller scan method had a higher dose than the Roll method, and the image quality was excellen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611) In Siemens" FPCT Head protocol, 20s DCT 70kV was the highest dose and the best in image evaluation. In Siemens" FPCT Abdomen protocol, the 6s DCT showed the highest dose and was excellent in image evaluation. Conclusion : The dose was found to be 20 ~ 30% less in Philips XperCT, and the Siemens DynaCT was better in image evaluation. Also, Slice thickness is correct in all protocols, while Uniformity is only suitable for Philips FPCT Head protocol. Therefore, it seems to be preferable to apply the protocol appropriate for the patient condition and the purpose of the test.

      • Dynamic Abdomen CT 검사 시 Bolus tracking과 Split injection technique을 비교

        이재현(Jae Hyun Lee),정용환(Yong Hwan Chung),남태현(Tae Hyun Nam),권순안(Soon Ahn Kwon),민관홍(Gwan Hong Mi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7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9 No.1

        목적 : Dynamic Abdomen CT검사에서 Bolus tracking technique을 이용하는 Multi-phase 검사와 Split injection technique을 이용하는 single-phase 검사를 비교하여 영상과 선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0월부터 12월까지 본원에서 Dynamic Abdomen CT를 시행한 환자들 중에서 Bolus tracking technique(이하, A technique)과 split injection technique(이하, B technique)을 이용하여 검사한 환자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장비 64MDCT(Brilliance 64, Philips health care, Cleveland. OH, USA)와 분석용 워크스테이션 Extended Brilliance Workspace V4.5(Philips)를 사용하였다. A technique의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은 flow rate 3.0mL/sec (volume; weight*2, maximum 180mL), Bolus tracking 프로토콜은 Threshold ; 200HU, ROI ; Abdominal aorta, Post injection delay scan 시간은 20sec & 60sec로 arterial phase와 portal venous phase 두 번 scan을 진행한다. B technique의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은 1차와 2차 주입으로 나누어지며, 1차 주입은 flow rate 3.0mL/sec(volume; weight*2, maximum 120mL), 2차 주입은 1차 주입 시작 후 65sec에 flow rate 5.0mL/sec로 contrast media 50mL와 normal saline 20mL를 차례로 주입한다. 단, scan은 조영wp 1차 주입시작 후 90secdp 1회 scan 한다. 각 검사별 환자가 피폭 받은 선량 비교는 장비에서 제시하는 DLP 값을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평가는 원형 ROI를 두어 CT number를 측정하는데 Aorta와 portal vein, Liver parenchyma은 각각 250, 150, 50이상을 기준 값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고, 정성적 방법은 복부 판독의 2명이 A technique영상과 B technique영상의 3개 항목에 대해 각각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선량을 비교 한 결과, DLP 값은 A technique에서 1123.8±271.7mGY*cm, B technique에서 536.5±114.3mGY*cm로 나타났다. 정량적 영상평가에서 Aorta CT Number는 A technique 268.6∼735.2와 B technique 286.3∼531.0로 측정되어 100% 기준 값을 충족하였고 Portal vein CT number는 A technique 117.1∼247.9와 B technique 122.7∼390.7로 측정되어 96% 기준 값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Liver parenchyma CT number는 A technique 87.1∼162.0와 B technique 102.0∼162.5로 측정되어 100% 기준값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는 Arterial phase 영상에서 A technique 평균 4.5점, B technique 평균 4.3점, portal phase 영상에서 A technique 평균 4.2점, B technique 평균 4.5점, 판독여부 항목에서 A technique 평균 4.3점, B technique 평균 4.2점으로 나타났다. 결론 : 기존의 Dynamic 복부 검사에서 사용하는 A technique보다 조영제를 적정 시간에 나누어 주입하는 B technique을통해 검사를 한 경우 영상의 질 저하 없이 평균 선량이 47% 감소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Purpose : To compare a multi-phase test using bolus tracking and a single-phase test employing the split injection technique in dynamic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to study the influence on exposure dosage and image quality. Materials and Methods :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dynamic abdominal CT from October to December 2015, patients examined with either bolus tracking (technique A) or split injection (technique B)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CT system and an analysis workstation were used. Technique A involved one contrast medium (CM) injection. Scanning was conducted twice in the arterial phase and portal venous phase. CM injection in technique B comprised two phases: phase 1 and 2. However, scanning was performed once at 90s manually. The exposure dos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tests using the DLP value. The image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by measuring the CT number at the location of the aorta, portal vein, and liver parenchyma. Two radiologists qualitatively analyzed the images obtained using techniques A and B on 5-point scale method. Result : The average DLP value was 1123.8 mGy*cm in technique A and 536.5 mGy*cm in technique B. The aorta CT number of technique A and B were achieving the 100% of standard value. The portal vein CT number of technique A and B were achieving 96% of the standard value. The liver parenchyma CT number of technique A and B were fulfilling 100% of the standard value. Qualitative evaluation revealed an average of 4.5 for technique A and 4.3 for technique B in the arterial phase; 4.2 and 4.5, respectively, in the portal phase image; and 4.3 and 4.2, respectively, in the interpretation category. Conclusion : Compared to technique A, which is used currently in dynamic abdominal imaging, technique B that injects contrast medium at regular intervals can reduce the exposure dose by 47% without downgrading Image quality.

      • The Study of the Usefulness of Breathing method using Straw for Larynx CT Examination

        채희창(Hee-Chang Chae),남태현(Tae-Hyun Nam),서충범(Choong-Beom Seo),김성관(Seong-Gwan Kim),권순안(Soon-Ahn Kwon),대창민(Chang-Min Da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9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2

        목적: 후두 CT검사에서 후두부의 움직임 인공물을 제한하기 위해 보조기구를 이용한 호흡법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를 위해 64 MDCT와 3D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였다. 빨대를 다른 세 가지 각도로 적용한 두경부 팬텀을 스캔하였다. CT number와 noise를 측정하기 위해 4곳의 해부학적 위치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다. CT number와 noise의 기준값은 ±5%로 설정하였다. 임상 연구는 성문상부, 성문부, 성문하부의 면적 평가와 성문부분에서의 성문각의 변화, 이상동의 확장 및 후두실의 묘출능력을 측정하였다. 5점 척도로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팬텀 연구에서 측정된 CT number와 noise는 기준값인 ±5%를 만족하였다. 임상 연구에서 정량적 평가 결과 성문상부 및 성문하부의 변화율은 각 각 22.6%, 8.7% 증가하였으나, 성문부는 18.2% 감소하였다. 성문각의 변화율은 10.1% 감소하였다. 이상동은 28.1% (좌), 26.2% (우) 증가하였다. 후두실은 실험군 50명에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에서 빨대를 이용한 호흡법을 사용하였을 때 motion artifact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빨대를 이용한 호흡법은 충분한 진단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두의 고품질 영상이 병기 결정에 도움을 주어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study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traw-blow method to limit the motion artifact of the larynx. Material and Method: 64 MDCTs and a 3D workstation were used for this study. In phantom study, we scan a head phantom with three different angles of straw. We set area of interests at the four anatomical location to measure CT number and noise. The reference value of CT number and noise is set to ±5%. In clinical study, assessment of supraglottis, glottis, subglottis and the glottic angle, the vertical distance of the pyriform sinus and the appearance of laryngeal ventricle were measured. In addition, five points scale method was used as a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In phantom study, measured CT number and noise were satisfied reference value of ±5%. In clinical study, quantitativ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rate of supraglottis and subglottis area increased by 22.6% and 8.7%, while the glottis area decreased by 18.2%. The rate of change in the glottic angle decreased by 10.1%. the pyriform sinus increased by 28.1% (left) and 26.2% (right). the laryngeal ventricle was shown that 50 ca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Qualitative evaluation showed that motion artifact didn’t occur with straw-blow method. Conclusions: Straw-blow technique can provide sufficient diagnostic information. Furthermore, high quality image of larynx will be helpful for decision-making of appropriate treat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