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전무(古典舞)’의 성립과 다원화

        남종진 ( Nam Jongji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2

        중국의 ‘고전무’는 1954년에 새로운 무용교육과정으로 만든 ‘중국고전무(中國古典舞)’에서 시작되었는데, 본래 전통 희곡(戱曲)에 남아있는 무용 요소를 발췌한 신단(身段)을 발레의 훈련방법에 접목시킨 것이었다. 이후 무용의 중국적 정체성을 보완하려는 의도에서 중국의 고유한 문화적 색채를 가미하면서 ‘중국고전무’는 ‘신운고전무(身韻古典舞)’로 진전되었다. 그리고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1979년에 이르러 둔황(敦煌)의 벽화에 묘사된 무용 장면에서 영감을 얻어 ‘돈황무(敦煌舞)’가 만들어 졌는데, 이것이 이론적 체계를 갖추면서 새로운 유파로 인정되면서 ‘고전무’는 마침내 다원화의 새로운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이후 1995년에는 타이완(臺灣)의 한당악부(漢唐樂府)가 중세 이래로 푸젠성(福建省) 일대에서 전해지던 이원희(梨園戱)에 근거하여 ‘이원무도(梨園舞蹈)’를 만들었고, 2001년에는 베이징무도학원(北京舞蹈學院)의 쑨잉(孫穎) 교수가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를 근거로 역사적 고증을 거쳐 ‘한당무(漢唐舞)’를 재구성해냈다. 이 두 유파는 무용이 지닌 역사성, 전승성, 정체성에 근거를 둔 것으로 기존의 ‘신운무’나 ‘돈황무’와 비교하여 전승의 기제가 확연히 다른 것이다. 또 2009년에 이르러 남방의 전통 희곡인 곤곡(崑曲)을 기반으로 ‘곤무(崑舞)’가 창안됨에 따라 ‘고전무’는 마침내 다섯 유파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오늘날 중국의 ‘고전무’는 규범성, 역사성, 계승성을 바탕으로 하는 ‘고전무용’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현대 중국의 무용 전문가들이 중국 전통 무용의 동작을 서양 발레의 훈련방법에 접목시켜 창안한 데서 출발한 새로운 춤이다. 따라서 고전무용을 계승한 일반적 의미의 ‘고전무용’과는 다르며, 고전 무용의 분위기를 담아낸 ‘고전풍의 춤’이라는 점에서 ‘모던 클래식(Modern Classic)’의 일종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first emerged in 1954 as one of the dance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 Dance(中國古典舞)’. Since then, it has been developed into ‘Shenyun Dance(身韻舞)’, incorporating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Chinese native culture to contain Chinese identity. And by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9, ‘Dunhuang Dance(敦煌舞)’, which was inspired by dance scenes in the murals of Dunhuang, was created and recognized as a new school,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entered the path of pluralization. In 1995, the ‘Han-Tang Yuefu(漢唐樂府)’ of Taiwan presented the ‘Yiyuan Dance(梨園舞蹈)’ based on ‘Yiyuan Opera(梨園戱)’,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Fujian province in China since the Middle Ages. In 2001, ‘Han-Tang Dance(漢唐舞)’ was reconstructed after the historical testimony by professor Sun Ying(孫穎) of Beijing Dance Academy. These are based on the history, tradition and identity of Chinese traditional dance, so the mechanism of tradition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at of ‘Shenyun Dance(身韻舞)’ and ‘Dunhuang Dance(敦煌舞)’. And in 2009, ‘Kun Dance(崑舞)’ was created utilizing the southern main play, ‘Kun Opera(崑曲)’. Today, what is called ‘Chinese classic dance’ in China is different from what is commonly defined as ‘Classic dance’.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is a new genre of dance that combines western ballet training with the style of traditional Chinese dance. Therefore,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is a ‘classical dance’ that recreates the atmosphere of ‘Chinese classic dance’, and is a kind of ‘Modern Classic’.

      • KCI등재

        중국 묘지명의 변천과 문체 확립

        남종진 ( Nam Jongji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8 동방학 Vol.38 No.-

        이 글은 중국에서 묘지명(墓誌銘)이 언제 어떻게 생겨났으며 또 그 문체적 안정성을 갖추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묘지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송나라 이래로 여러 기록이 있지만 대개 사실관계를 고증할 수 없고 또 그대로 신뢰하기도 어렵다. 오히려 묘전(墓磚), 와편(瓦片), 신좌(神坐), 곽명(槨銘), 묘기(墓記) 등의 부장품에 대상 인물의 신원기록이 있는 자료를 활용하면 묘지명의 성립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여러 견해가 있으나 현존 자료 가운데는 후한 때의 <가무중처마강묘기(賈武仲妻馬姜墓記)>가 후대 묘지명의 격식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이후 묘지명이 확산되고 정착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위(魏), 진(晉) 시기에 몇 차례 묘비(墓碑) 사용을 금지하고 또 사회 혼란에 편승한 잦은 도굴 때문에 사람들이 묘비 대신 묘지를 사용하면서 묘지명의 사용이 늘어났다. 하지만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묘지명의 명칭, 묘지석의 형태, 기술의 범위, 행문의 격식은 여전히 불안정하였는데, 남북조시대에 이르자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특히 북조의 후위, 북제, 북주에 이르러 묘지명 사용이 확산되면서 괄목할만한 변화가 생겼다. 5세기 중반에는 ‘묘지’ 또는 ‘묘지명’이라는 말이 제목에 널리 사용되었고, 또 기본적으로 정방형의 묘지석을 사용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아울러 묘지명에 기술하는 내용도 확대되어 신원 사항, 이력 사항, 상장(喪葬) 관계를 두루 기록하게 되었고, 또 ‘지(誌)’와 ‘명(銘)’을 나란히 운용하여 인물의 신원과 행적을 기록하는 한편 인물에 대한 송찬을 말미에 덧붙임으로써 명실상부한 묘지명의 행문 격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This paper was reviewed two issues; One is the origin of Chinese traditional buried epitaph, and the other one is the stylistic establishment of buried epitaph. About the origin of Chinese traditional buried epitaph, we already have many old records, but we can not ascertain historical facts. However, if based on archaeological remains is to find a more clear evidence. Looking based on archaeological remains, the Chinese traditional buried epitaph ha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mid period of Eastern Han dynasty, and it was beginning from < Ma Jang, the wife of Jia Wuzhong's buried epitaph > written in A.D.205. Therefore, Chinese buried epitaph has a history of two thousand years. But it thereafter took a lot of time to settled. In the Wei-Jin dynasty, owing to prohibit the establishment of a gravestone, more and more people were used a tombstone inscription instead of an buried epitaph. But the title, type, scope and the extent and type of record were still not stable. At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situation was changed. Especially, at the Later Wei, Northern Ji and Northern Zhou dynasty, the buried epitaph became widely used, and was recorded all the problem of dead person's identity, history and fu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