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간 감성 극성 분석에서의 기계번역의 영향

        남영자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영어 뉴스 기사를 대상으로 딥러닝을 활용하여 기계번역이 감성 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교차 언어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이에 인공 신경망에 기반하여 한국어와 영어 감성 분석모델을 생성하였고, 한국어와 영어 뉴스 기사 각각 10개를 대상으로 구글 번역을 사용하여 한국어와영어 번역 그리고 영어와 한국어 번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감성 분석 결과 한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간 감성 극성 유형의 차이가 5개의 뉴스 기사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영어와 한국어 번역에서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1개를 제외한 모든 뉴스 기사에서 감성 극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성 극성이 기계번역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어와 영어 뉴스 기사를 대상으로 기계번역을 통한 언어 간 감성 분석을 고찰한 첫 연구이다. 나아가본 연구는 기계번역에 있어 언어 간 감성 극성 분석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chine translation on sentiment polarity by exploiting a deep learning-based approach to sentiment analysis for Korean and English news in a cross-linguistic context. A sentiment analysis model was generated for each language,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sentiment analysis model was comparatively evaluated with 10 Korean and 10 English news articles and their respective English and Korean translations via Google Translate. The sentiment analysis showed disparities in sentiment polarity types for five news articles between original Korean and English translation. This pattern was more evident between original English and Korean translation, showing different types of sentiment polarity for all news articles with only one excep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ntiment polarity could be affected by machine translation.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cross-linguistic sentiment polarity analysis using machine translation.

      • KCI등재

        중국인 중급 및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평음과 격음 변별

        남영자 한국중원언어학회 2024 언어학연구 Vol.- No.7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rceptual assimilation patterns of non-native sounds to native sound categories predict discriminability of non-native contrasts in terms of the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were tested with the Korean lenis-aspirated stop contrasts /pa/-/pha/, /ta/-/tha/, and /ka/-/kha/ in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tasks. Results of the assimilation task showed that the intermediate group categorized /pa/, /pha/, /ka/, and /kha/, while the advanced group categorized /pha/ and /kha/.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istener groups revealed high assimilation overlap for the three Korean stop contrasts in which two Korean stop consonants were assimilated to the same Chinese category, indicating their perceptual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lenis stops from aspirated stops. The results of discrimination task showed that not only the intermediate group but also the advanced group performed poorly on the three Korean lenis-aspirated stop contrasts, suggesting that high assimilation overlap affected discrimination performance.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ssimilation overlap scores.

      • KCI등재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남영자,박태영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by self-esteem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aptation. Three-hundred ninety-seven 10th and 11th grader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clas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al analys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family strengths, self-esteem, school adaptation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revealed as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aptation. Therefore, the model , which school adaptation would be affected by family strengths via self-esteem as mediating variable, was fitted. Thes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was important to raise up the self-esteem for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suggests the individual and family counseling can be used to improve family strengths and self-esteem for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 2학년생 39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족건강성을 예언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학교적응을 결과변인으로 하여 부분매개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완전매개모형을 경합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Sobel 검증 중 Aroian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간 모든 변인들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으로 가는 경로를 가정하는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 및 상담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CNN을 활용한 방송 뉴스의 감정 분석

        남영자,Nam, Youngja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한국의 영상기반 뉴스 미디어는 크게 지상파 방송, 종합편성 방송, 그리고 유튜브 방송과 같은 온라인 미디어로 나뉘어진다. 최근 이들 미디어의 방송 뉴스는 특정 시청자를 목표로 삼아 공정성과 중립성을 기대할 수 없는 주관적, 감정적인 성향의 내용을 송출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시청자의 이슈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 결과는 영상기반 미디어 뉴스 유형별로 감정 유형을 드러내는 성향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만약 차이가 존재한다면, 그 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감정 유형은 '딥러닝' 기법인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사용하여 중립, 행복, 슬픔 그리고 분노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뉴스 보도가 감정을 드러내는 성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방송 뉴스에서 표출되는 감정을 다룬 첫 양적 연구이자 방송 뉴스 감정 분석에서 딥러닝을 사용한 첫 사례이다. In Korea, video-based news broadcasters are primarily classified into terrestrial broadcasters, general programming cable broadcasters and YouTube broadcasters. Recently, news broadcasters get subjective while targeting the desired specific audience. This violates normative expectations of impartiality and neutrality on journalism from its audience. This phenomenon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audience perceptions of issu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broadcast news reporting conveys emotions and if so, how news broadcasters differ according to emotion type. Emo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neutrality, happiness, sadness and anger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hich is a class of deep neural networks. Results showed that news anchors or reporters tend to express their emotions during TV broadcasts regardless of broadcast system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quantative investigation of emotions in broadcasting news. In addition, this study is the first deep learning-based approach to emotion analysis of broadcasting new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방송사의 코로나19 뉴스에 대해 CNN 기반 정량적 음성 감정 양상 비교 분석

        남영자,채선규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2

        During the unprecedented COVID-19 outbreak, the public’s information needs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they overwhelmingly consume information on the chronic disease. Given that news media affect the public’s emotional well-being, the pandemic situa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how news stories frame their coverage. In this study, COVID-19 news speech emotion from mainstream broadcaster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 were analyzed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sults showed that neutrality was detected across broadcasters. However, emotions such as sadness and anger were also detected. This was evident in Korean broadcasters, whereas those emotions were not detected in the US broadcasters. This is the first quantitative vocal emotion analysis of COVID-19 news speech. Overall, our findings provide new insight into news emotion analysis and have broad implica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pandemic. 전례 없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중의 정보에의 요구는 과도한 코로나19 뉴스 소비를 조장하였다. 뉴스는 대중의 심리적 안녕에도 영향을 미치기에 뉴스 보도 양태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뉴스 미디어의 코로나19 관련 뉴스의 음성 감정 양상을 합성곱 신경망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뉴스 미디어에서 중립이 탐지되었으나 슬픔과 분노도 탐지되었다. 이러한 양상은한국의 뉴스 미디어에서 두드러진 반면 미국 뉴스 미디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뉴스의 첫 음성 감정 분석 연구로, 뉴스의 감정 분석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팬데믹에 대한 이해 증진에 있어 광범위한 함의를 지닌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청자의 영어 파열음-마찰음 쌍의 지각 동화와 변별

        남영자 언어과학회 2019 언어과학연구 Vol.0 No.88

        Discrimination of non-native contrasts often differs as a function of stimulus presentation direc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se directional asymmetries by assessing the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PAM). Korean listeners completed a forced-choice identification test and a categorical AX discrimination tests on six English stop-fricative contrasts, /pi/-/fi/, /bi/-/vi/, /di/-/ði/, /pu/-/fu/, /bu/-/vu/ and /du/-/ðu/. The identification test results yielded uncategorized-categorized (UC) assimilations for /bi/-/vi/, /pu/-/fu/ and /bu/-/vu/ and category-goodness (CG) assimilations for /pi/-/fi/, /di/-/ði/ and /du/-/ðu/. The discrimination test results revealed that directional asymmetries in which performance was better in the fricative to stop direction than the reverse direction were found for both UC and CG assimilation types, inconsistent with P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non-native stop-fricative perception directional asymmetries might be modulated by language experience. (Chung-Ang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